[무인도서]
완도군과 북제주군 간에 영해 다툼을 벌이다가 2005년에야 비로소 해결된 섬이 사수도인데 지역간의 바다의 경계에 있는 섬을 26년간이나 분쟁을 벌였다.
북제주군에서는 사수도라 부르고 완도군은 장수도라 부르면서 서로 관리권을 주장하면서 시작된 영해 분쟁은 26년만에 제주도 영해로 해결되었다.
사수도는 현재 절대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어 있으며 주변은 천연기념물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완도군과 북제주군 간에 영해 다툼을 벌이다가 2005년에야 비로소 해결된 섬이 사수도인데 지역간의 바다의 경계에 있는 섬을 26년간이나 분쟁을 벌였다.
북제주군에서는 사수도라 부르고 완도군은 장수도라 부르면서 서로 관리권을 주장하면서 시작된 영해 분쟁은 26년만에 제주도 영해로 해결되었다.
사수도는 현재 절대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어 있으며 주변은 천연기념물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무인도서]
추자도의 방서섬은 작은 바위로 이루어진 섬인데 이섬은 대부분이 바다에 잠겨 있고, 상부의 일부만 해면 위에 노출됐다.
해초가 자라지 않아 비어 있는 섬이라고도 하며, 해수의 영향으로 육상식물은 생육할 수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섬 형상이 모가 나 있어서 모여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방서(方嶼)로 표기한다.
바위섬 위에 무인등대가 있고 서쪽 해역은 수심이 매우 얕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대형선박이 잘못 들어왔다가는 좌초될 위험성이 존재하는 곳이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모여)
[무인도서]
추자도에 속한 무인도서인 보론섬은 특정도서로 지정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보름섬이라고도 하며 제주항과 완도항을 오가는 선박에서 보이는 섬이다.
보론섬은 섬천남성, 덩굴민백미꽃 등 희귀식물이 생육하고, 멸종위기야생동물인 매, 팔색조, 흑비둘기, 섬개개비가 서식하고 있어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등대로 오르는 길은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무인도서화 되어 길마저 잡풀로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지만 생태 보존은 우수한 편이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 산 154
[무인도서]
제주도의 부속섬인 달서도는 북촌리 포구 바로 앞에 있는 무인도서이지만 수싶이 깊지 않아 도선이 쉽지 않은 무인도서이다.
마을 주민과 낚시객의 이용도가 높은 섬이지만 간조에는 멀리서 등대와 섬만 보기만할뿐 접안하지 못하는 섬 중에 하나이다.
섬 자체는 사유지이며 단일한 섬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4개의 암초가 모여 하나의 섬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며 섬 위에는 낚시객과 해녀들을 위한 팔각정이 자리하고 있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산 90
[무인도서]
추자도의 다무래미 등대는 세워진 자리의 평단면이 좁은 까닭에 시멘트로 형성된 등대가 아닌 철로된 일반적인 등주 형태로 된 등대이다.
다무래미라는 말 자체가 외국어 처럼 들리지만 이곳은 상추자도의 북쪽에 위치하여 간조에 걸어서 가볼 수 있는 섬 속의 섬에 해당한다.
설치년도는 짧지만 꼭 있어야할 자리의 등대로서 추자도의 북쪽 수로를 항해하는 선박에게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무래미는 해수면 높낮이에 따라 섬이 되기도 하고 산이 되기도 하는 곳이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 산 151
[해변/해수욕장]
개민포 등대가 있는 해변은 등대 이름보다도 아이리스 등대로 유명해졌으며 드라마 시즌1의 마지막 장면에서 이병헌이 기다리던 등대가 나와 유명해졌다.
제주 해변길을 걸을 때는 무엇보다도 날카로운 현무암 바위를 조심해야 하고 날카로운 부분에 다치는 일이 없도록 안전모와 장갑을 착용하여 걸으면 좋다.
등대 주변은 현무암의 작은 바위들로 이루어져 있어길따라 걷는 것이 안전한 길이며 올레의 4코스가 등대 바로 뒤쪽으로 가기에 많은 이들이 찾고 있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9
[해변/해수욕장]
가마 등대가 있는 세화리 해변은 바로 바다 앞까지 승용차로 들어갈 수 있는 길이 있지만 현무암이 탄화석으로 되어 있어 부서질 수 있는 돌이 많다.
돌을 밟고 지날때에도 안전에 유의해야 하며 날카로운 바위에 다치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언제나 신경을 써야할 해변 중에 하나이다.
올레 4번길에서 만나는 가마 등대는 올레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면서 많이 변했다고 하지만 세화리 해수욕장은 다시 찾게 되는 해안 중 하나이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세화리 190-2
[유인도서]
제주 우도는 성산항에서 2곳의 선착장으로 매일 운항하기에 여행객이 선택해서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여행객이 붐비는 섬에 해당한다.
우도는 전체를 한나절이면 다 돌아볼 수 있기에 제주에 가는 여행객은 방문 1순위에 해당할 정도로 뛰어난 경치를 안고 있는 섬이다.
지금은 주말에는 렌트카는 입도하지 못하고 입도한 후 스쿠터나 자전거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은 있지만 나름 걸어보는 것도 권해보고 싶다.
주소 : 제주 제주시 우도면 우도
[무인도서]
전남 완도군에 속한 대병풍도는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해안절벽이 아름다운 섬 중 하나이며 주변에 소병풍도와 함께 있다.
제주의 범섬의 축소판이라 할 정도로 아름다운 절벽의 기암이 보는 이로 하여금 탄성을 내게 하는 멋진 모습으로 바다를 지키고 있다.
아쉽게도 무인도서인 관계로 정기 여객선이 없어 쉽게 접하기는 어려운 섬이지만 맹골도를 가는 방향에서 날이 좋은 날 볼 수는 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금일읍 사동리 산258
[무인도서]
담추서는 암초에 해당하며 진도 남단에 위치한 조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군도는 행정 구역상 조도면에 속하며 모두 합쳐서 독거군도라고 한다.
담추서 등대 역시 무인등대로 이 담추서는 담초여라고 하기도 하며 작은 바위섬인 암초에 해당하기에 한눈에 들어오기에 충분한 섬이다.
죽항도를 출입하는 연안여객선들이 이 담추서의 북동쪽 수역에는 언제나 소용돌이의 위험 발생이 높기때문에 조류에 휩쓸리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죽항도리 산 41번지
[무인도서]
다라도 등대는 흑산군도에 위치한 무인등대로 하태도의 부속도서인 다라도 동남쪽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나 홀로 등대이다.
주로 가거도와 만재도 사이 수역을 지난 뒤 하태도 동편을 지나는 선박들의 항로표지가 되는 등대로 2014년 이후 신설된 등대이지만 중요한 위치이다.
주변 암벽은 대규모 해식애, 풍화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동굴 등의 경관이 수려하고,현재는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태도리 산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