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역 시간여행]
군위군에 있는 화본역은 중앙선의 철도역에 해당하며 얼마전 복선 공사 완료로 폐역이 되었으며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가 된 이후에 많은 이들이 찾고 있는 간이역이 되었다.
역내에는 급수탑이 남아 있으며 문화재로 보호 되고 있지만 여느 급수탑처럼 국가 등록문화재는 아니지만 높이나 규모로 보면 빠지지 않는다.
과거에는 일부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했으며, 군위군 유일의 여객 열차 정차역에 속했으며 중앙선의 복선 전철화와 함께 철로가 의흥면 파전리 방향으로 이설됨에 따라, 우보역과 함께 폐역 된 후로 관광 테마 역으로 최근 개발되었다.
주소 : 대구시 군위군 산성면 산성가음로 711-9
[간이역 시간여행]
진주 남문산역은 경전선의 철도역이었다가 새로운 노선으로 이설되어 폐역이 되면서 남문산역은 카페로 새로운 변신을 하게 되었다.
파주시에 있는 경의선의 문산역과 역명이 중복되기 때문에 남부 지방에 있는 문산역이라는 의미에서 남문산역이라 명명되었다.
아직까지 화물 운송을 위한 창고와 화물을 싣기 위해 신설한 높은 콘크리트 운송장이 남아 있어 옛스러움을 더해주는 철로 광장이 되었으며 지금은 진주역까지 연장 개통되었을 때 선로가 이설되어 폐역되었다.
주소 : 경남 진주시 문산읍 동부로 556-14
[간이역 시간여행]
진주역은 경전선의 철도역이었으며 고속 전철의 개통으로 지금의 역은 폐역이 되고 방치되었다가 다시 복원화 하여 시민들에게 공원으로 돌려준 역이다.
역사 매표소에서 한국 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으며, 인근에 구 개양역 건물이 남아 있었으나, 진주역 역세권 개발 사업 부지에 포함되어 철거 되었다.
하루 KTX 와 ITX-새마을호, 일부 무궁화호가 이 역을 기·종점으로 운행했으며, 남도 해양 열차 전 열차가 정차할 정도로 운행되었지만 지금은 고속 철도 개설로 새롭게 복원하여 개방되었다.
주소 : 경남 진주시 개양로116번길 33
[간이역 시간여행]
서천군에서는 구장항역 건물을 장항 도시탐험역으로 만들어 여행객에게 소개하고 있으며 당시 장항제련소에 생산된 제품들이 장항역을 통해서 운송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진 제련소는 충남 서부의 공업의 중심지였기에 운송에 활발하였으며, 경기와 충남권의 쌀을 수탈해 장항역을 통하여 들어온 곡류가 일본으로 강제 운송됐던 창구 역할을 했다.
장항역은 역사의 흔적이자 증거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건물을 유지한 체 리모델링을 통하여 새롭게 변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많은 여행객이 간이역이 주는 서정미를 눈과 카메라에 담아가고 있다.
주소 : 충남 서천군 장항읍 장항로161번길 27
[간이역 시간여행]
우보역은 중앙선의 철도역에 해당하지만 복선 구간 완공으로 이설되면서 폐역이 되어 지금은 철로마저 모두 철거되었고 간이역만 남아 있다.
1938년에 개업하여 이설되기 전인 했으며 2007년 6월 1일에 여객 취급이 중단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는 오래된 간이역 중 하나이다.
지금도 역광장에는 박해수 시 우보역의 시비가 있는데 과거 폐역되기 전 향수를 자아내고 여기서 조금만 걸어 나가면 우보면사무소 등의 중심지가 보인다.
주소 : 대구시 군위군 우보면 동부로 1557-10
[간이역 시간여행]
우보역은 중앙선의 철도역에 해당하지만 복선 구간 완공으로 이설되면서 폐역이 되어 지금은 철로마저 모두 철거되었고 간이역만 남아 있다.
1938년에 개업하여 이설되기 전인 했으며 2007년 6월 1일에 여객 취급이 중단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는 오래된 간이역 중 하나이다.
지금도 역광장에는 박해수 시 우보역의 시비가 있는데 과거 폐역되기 전 향수를 자아내고 여기서 조금만 걸어 나가면 우보면사무소 등의 중심지가 보인다.
주소 : 대구시 군위군 우보면 동부로 1557-10
[간이역 시간여행]
아화역은 1918년 11월 1일 : 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하여 얼마선 복선화 공사 완료로 폐역이 되기까지 운영을 한 문화재급 간이역에 속한다.
현재 문화재로 등록 되어 있는 전북 임포역과 동년도에 영업을 개시 하였으니 벌써 백년의 역사를 안고 있는 간이역이라 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는 비지정 문화재에 속하고 있다.
지붕 형태는 그 당시에 간이역 건축 양식인 박공 지붕 형태로 되어 있으며 굴뚝과 화장실 외관이 원형대로 남아 있는 간이역 중에 하나이다.
주소 : 경북 경주시 서면 심곡로 41 (심곡리 809-3)
[간이역 시간여행]
안동역은 중앙선 개통 당시 역명은 경북 안동역이었으나, 1949년 7월에 현재의 안동역으로 변경되어 이설되기전까지 영업을 하였던 역이다.
1931년 10월 16일에 개업했으며, 중앙선 및 영동선을 직결 운행하는 모든 여객 열차가 정차했지만 지금은 이설로 폐역이 되었으며 선로는 모두 철거되었다.
청량리역에서 출발한 중앙선 KTX-이음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여 경주역에서 동해선과 합류해 부전역까지 운행하였으며 1940년에 설치된 구 역사의 급수탑은 12각형의 구조물로 그 형태가 독특하여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소 : 경북 안동시 송현동
[간이역 시간여행]
정읍 드림랜드 조성 사업의 하나로 현 이학수 시장의 관광 관심도를 그대로 보여 주는 멋진 관광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내장산 문화 광장 순환 열차다.
오늘처럼 설국의 나라로 바뀌는 정읍에 오히려 설국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여 기관사의 제복 등을 비치해 두어 설국의 정읍을 꿈꾸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강하게 드는 날이다.
증기 기관차 머리 부분은 유럽형 관광 열차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화통에 해당하는 부분은 밧데리 2기가 장착되었으며 객실은 3량 중 2량이 연결되어 있어 서있는 것만으로도 그림이 되는 설국의 하루이다.
주소 : 정읍 내장산 문화 광장 순환 열차
[간이역 시간여행]
진영역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는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군사들의 진영의 형국이며 금병산은 상제봉조형으로 보고 여래리 동쪽을 장군대좌형의 명당으로 보고 진영역이라는 칭호를 하게 되었다.
현재 이설된 진영역은 모든 경전선 일반 열차와 일부 KTX가 정차한다는 점에서 김해시의 철도 여객 수송을 담당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12월 15일 경전선 복선 전철화 관계로 진영 - 덕산 구간이 폐지되고 덕산 - 용강 구간이 별선인 덕산선으로 분리되면서, 경전선 열차는 진례역으로 향한다. 개역 당시인 1905년부터 진영읍 중심지인 진영리에 역이 위치해 있었으나, 복선 전철화 개통과 함께 진영읍 외곽의 설창리로 역사를 이전하여 영업하고 있다.
주소 : 경남 김해시 진영읍 김해대로 809
[간이역 시간여행]
진영역이라고 부르게 된 이유는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군사들의 진영의 형국이며 금병산은 상제봉조형으로 보고 여래리 동쪽을 장군대좌형의 명당으로 보고 진영역이라는 칭호를 하게 되었다.
현재 이설된 진영역은 모든 경전선 일반 열차와 일부 KTX가 정차한다는 점에서 김해시의 철도 여객 수송을 담당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10년 12월 15일 경전선 복선 전철화 관계로 진영 - 덕산 구간이 폐지되고 덕산 - 용강 구간이 별선인 덕산선으로 분리되면서, 경전선 열차는 진례역으로 향한다. 개역 당시인 1905년부터 진영읍 중심지인 진영리에 역이 위치해 있었으나, 복선 전철화 개통과 함께 진영읍 외곽의 설창리로 역사를 이전하여 영업하고 있다.
주소 : 경남 김해시 진영읍 김해대로 809
[간이역 시간여행]
경남의 벚꽃 명소로 유명해진 경화역은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에 있는 간이역으로 이미 업무가 중단되었으나 벚꽃 축제 기간에는 열차가 운행된다.
성주사 역과 진해 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철길따라 쭉 펼쳐진 벚꽃이 개화하면 꽃 터널을 이루어 아름다운 간이역으로 탈바꿈한다.
벚꽃이 만발한 철길 위를 자유롭게 거닐 수 있으며, 벚꽃이 낙화할 때는 열차에 흩날리는 벚꽃이 환상적인 낭만을 느끼게 해주어 많은 드라마와 영화의 단골 촬영지에 속한다. 군항제 기간에만 일시적으로 여객업무를 재개하기도 하여 이 곳을 지나는 열차들은 모두 서행 운전을 하여 봄 날의 낭만을 보여 준다.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