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도서]
금당도는 장흥군과 고흥군이 인접하고 있으며 피문어, 장어, 멸치, 미역, 톳 등이 생산되는 곳이기에 언제나 어선들의 왕래가 많은 수로에 있다.
금당의 해안은 수만 년간 파도와 바람이 만들어 낸 주상절리와 기암괴석이 인상적인 절경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영조 때 존재 위백규가 금당도의 경치에 반해 지은 금당별곡이 존재하고 있다.
수 만년 동안 파도와 풍우에 씻겨 신비로운 형상을 이룬 기암괴석과 섬 전체의 경관이 빼어나 해금강을 방불케 하는 아름다운 해안절벽으로 형성된 금당 8경(천불전, 코끼리바위, 남근바위, 초가바위, 상여바위, 스님바위, 부채바위, 병풍바위 등)이 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금당면 금당로 50-1
[유인도서]
임자도에는 간조시에만 걸어 들어갈 수 있는 굴이 있는데 이곳이 용난굴이며 간조시에 건너편 모래사장으로 나갈 수 있는 터널형의 천연 동굴이다.
간조시에 용난굴의 내부까지 걸어 들어가 실루엣의 인물을 촬영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 사진가들에게도 인기가 높은 곳 중에 하나이며 간조의 시간대가 맞아 노을이 들 무렵에는 동굴안에서 바라 보는 해변가의 모래사장과 붉은 하늘은 아름다움을 연출한다.
동굴 탐사 후에는 들어간 길로 다시 나와야 하지만 깊이가 짧고 위함한 구간이 없어 미끄러지는 것만 주의한다면 인생샷을 건질 수 있는 멋진 장소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임자면 이흑암리
[유인도서]
신안 고이도는 무안군과 접해 있으며 주소지는 신안군에 속하지만 육지와 가깝기는 무안군 신월항이 훨 가까운 유인도서에 해당한다.
고이도는 일제 강점기 말까지도 왕도라 부르다가 그 후 고이도로 개칭하였는데 고려 태조 왕건의 숙부인 왕망이 고려 왕조의 전복을 꾀하며 왕이라 자칭하고 살았던 곳이라 하여 옛 도시의 옛 고(古) 자를, 섬의 모양이 귀와 비슷하다 하여 귀 이(耳) 자를 써서 고이도라 하였다고 한다.
고이도는 주변의 작은 섬을 연결하여 면적을 크게 넓혔으며 최근에는 갯국을 심어 꽃의 섬 축제를 매년 가을에 개최하여 섬을 알리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압해읍 고이리
[유인도서]
음지도는 창원시 진해구 명동에 위치한 유인도서로 면적은 82,946 m2 정도로 작은 섬이지만 이곳에 창원 솔라 타워와 창원 해양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1469년경 발행된 경상도 속찬지리지에는 오음지도로 기록되어 있으며 2십년전에 육지와 이어주는 연륙교가 완공되면서 많은 관광객이 오게된 섬이 되었다.
연륙교 개통된 뒤로 2012년 3월 남쪽의 우도와 이어지는 또 다른 교각도 개설되면서 2개의 섬을 모두 걸어서 둘러 볼 수 있게 되었고 마리나항 방파제 등대가 있는 곳까지 모두 걸어서 갈 수 있게 되었다.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명동
[유인도서]
선갑도는 서해에 존재하는 화산섬으로 인천시에서 출발하는 곳이기는 하나 주소상으로는 서산시와 태안군에 가까운 섬이다.
6.25 전쟁 당시 미군 부대가 주둔했었으며 이후에 선갑도 부대라는 육군 산하의 특수 부대가 주둔하기도 했고, 지금은 모두 철수한 섬이다.
주소상으로는 유인도서이지만 배편이 없고 식수가 없어 무인도서에 가까우며 국내 섬중에서 94번째로 큰 섬이며, 현재 섬 전체가 사유지이다. 최근에는 4명이 전입 신고를 하고 실제 거주하고 있다.
섬의 서쪽엔 작은 만이 위치하는데, 이 만은 태고적 화산 활동으로 생긴 분화구 한켠이 침식으로 사라져 생긴 것으로 추정되고 주상절리 등 화산 활동으로 생긴 각종 지질 지형들이 있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덕적면 문갑리
[유인도서]
죽굴도는 완도군에 위치하고 있지만 거리상으로는 해남 송호항에서 더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바로 앞 해상에는 역사 등대 중 하나인 어룡도 등대가 있다.
죽굴도는 몇 해전 삼시세끼라는 TV프로그램 촬영으로 일반인에게 알려진 섬이지만 형제가 살다가 불의의 사고로 형제 중 한 분이 유명을 달리하여 1가구만 있는 섬이기에 거의 무인도서에 가까운 섬이다.
또한 촬영 중에 화재가 발생하여 복구를 약속하여 화재로 인한 상처를 지워낸 섬이 되었고, 지금은 섬 끝단 정상에 등대가 있지만 길이 없어질 정도로 무성한 풀이 자라난 섬이 되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 산 3
[유인도서]
1980년 완도군 노화면이 노화읍으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고 았으며 조선 효종 때 안동 장씨가 처음 들어와 마을이 형성되어 마을을 형성하였다.
산 정산 높이 157m에 이르고 완만한 경사의 구릉지와 해안가로 이루어져 있기에 년중 바다 낚시를 즐기는 이들로 성황을 이루고 있는 유인도서이다.
해안은 대부분 암석 해안이고, 서쪽 해안 일대에는 해식애도 발달해 있고, 주민들은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며, 서쪽에 서넙도 등대가 있고, 4월과 10월에 풍어와 해신의 달래기 위한 도제굿이 열린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 산97
[유인도서]
통영 국도는 낚시인과 해당 종교인들만 출입하는 독특한 유인도서로써 사람의 발길이 잘 닿지 않은 통영 최고의 낚시터에 속하는 섬이다.
절혜의 아름다운 풍경을 갖춘 남해 홍도와 거리상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통영권에서 가장 원도에 속하는 섬에 해당한다.
거센 조류와 태풍과 풍랑으로 좀처럼 입도하기 힘든 섬에 해당하며 출입 자체가 힘들 때가 많지만 해조류가 많이 서식하여 낚시 포인트 여건이 좋다. 현재는 청우일신회에서 종교인들이 모여 살고 있다.
주소 : 경남 통영시 욕지면 동항리 산198
[유인도서]
통영 비진도는 최고봉이 외항산으로 비교적은 낮은 정상인 해발 311m이지만 바다에서 바로 시작하는 정상이기에 제법 등산을 해야 한다.
인구는 108가구이지만 어느 섬이나 마찬가지로 지금은 많이 줄어든 섬이며 현지인 보다도 경치가 아름다워 관광객이 더 붐비는 휴양지 섬에 해당한다.
선착장 입구에는 무인도서인 춘복도가 가을에는 단풍으로 아름다움을 보여 주고 있으며 주위에는 매물도와 용초도, 한산도와 근접하고 있다.
주소 : 경남 통영시 한산면
[유인도서]
진도 내병도는 서남해에서도 아름다운 낙조의 섬으로 유명한 유인도서 중 하나이며 해안선 길이가 작은 섬에 해당한다.
인구는 한 때 20가구 가량 살고 있었지만 지금은 미역철을 제외하고는 10여가구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는 도서로 바뀌었다.
섬의 생김새가 갈매기처럼 생겼다고 하여 어민들은 갈미섬 또는 갈매기섬이라 부르기도 하며 구도(鷗島) 또는 안에 있다고 하여 안갈미섬으로도 부르고 있으며 두 섬이 나란히 있다고 하여 병도(竝島)라고도 부르다 보니 안과 밖의 섬을 내,외병도로 칭하고 있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내병도리
[유인도서]
진도군에 위치한 갈목도는 면적은 작지만 가구수가 옹기종기 모여 살고 있는 유인도서 중 하나이며 섬사랑호가 하루 한 차례 오가는 섬이다.
갈목도는 예전부터 칡이 많이 생산되어 갈마도라 부르기도 했으며 갈씨라는 성을 가진 사람이 자기 성을 따서 갈목도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
팽목항과의 거리는 12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지금은 미역철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진도나 목포로 나가 살고 있어 3가구 2명만이 거주하고 있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진목도리
[유인도서]
진도 모도는 일년에 한번 모세의 기적의 물갈라짐으로 축제가 열리는 섬으로 알려진 섬으로 국가 명승지로 지정을 받아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섬이다.
섬의 모양은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이루어졌으며 평소에는 모두 육지에 나가 생활을 하고 바쁜 철에만 섬으로 들어 오기에 평소에는 한적하기 그지 없는 섬이 된다.
우리나라 보다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섬이 모도이며 물갈라짐으로 유명한 바닷길은 조수간만의 차이로 수심이 낮아질 때 모래톱이 들어나는데 이 현상을 치등이라 부르기도 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의신면 모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