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영광 계마항 방파제 등대는 주변에 원자력 발전소가 있으며 발전 시설이 국가 시설인 관계로 아직까지 초소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항구에 위치하고 있다.
국가 어항치고는 작은 항구이지만 바람과 파도가 잦아 항구 기능이 대피의 기능이 가장 크기에 등대의 역할은 여느 방파제 못지 않게 중요한 항구이다.
인근 법성포항에 비해서는 협소하며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선박을 주선하는데 애를 먹는 곳이기에 낚시배와 철부선이 주가 되는 곳이지만 관광 자원도 으뜸인 매력적인 항구이며 전남 가장 서북쪽에 위치한 영광의 서해 끝자락에 위치한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11월 10일
주소 : 전남 영광군 홍농읍 계마길 31-59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영광 계마항 방파제 등대는 주변에 원자력 발전소가 있으며 발전 시설이 국가 시설인 관계로 아직까지 초소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항구에 위치하고 있다.
국가 어항치고는 작은 항구이지만 바람과 파도가 잦아 항구 기능이 대피의 기능이 가장 크기에 등대의 역할은 여느 방파제 못지 않게 중요한 항구이다.
인근 법성포항에 비해서는 협소하며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선박을 주선하는데 애를 먹는 곳이기에 낚시배와 철부선이 주가 되는 곳이지만 관광 자원도 으뜸인 매력적인 항구이며 전남 가장 서북쪽에 위치한 영광의 서해 끝자락에 위치한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11월 10일
주소 : 전남 영광군 홍농읍 계마길 31-59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대신항 방파제 등대는 노을 등대로 유명한 대신 등대에서 불교 도래지 방향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립형 선창가에 설립된 등대이다.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곳 중에 하나이며 칠산 앞바다를 앞에 두고 있으며 간조시에는 선창의 모든 곳이 거의 바닥을 드러내는 이색적인 항구에 속한다.
바로 앞에는 녹색의 군부대 관할 법성포 등대와 등표가 나란히 마주 하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소가 위치하고 있어 아직까지도 초소 순찰과 경계 근무를 하고 있는 장소이기에 사진 촬영에 유의해야 한다.
최초 점등일 : 2009년 02월 27일
주소 : 전남 영광군 법성면 항월리 해상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대신항 방파제 등대는 노을 등대로 유명한 대신 등대에서 불교 도래지 방향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립형 선창가에 설립된 등대이다.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곳 중에 하나이며 칠산 앞바다를 앞에 두고 있으며 간조시에는 선창의 모든 곳이 거의 바닥을 드러내는 이색적인 항구에 속한다.
바로 앞에는 녹색의 군부대 관할 법성포 등대와 등표가 나란히 마주 하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소가 위치하고 있어 아직까지도 초소 순찰과 경계 근무를 하고 있는 장소이기에 사진 촬영에 유의해야 한다.
최초 점등일 : 2020-06-26
주소 : 전남 영광군 백수읍 대신리 917번지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하납덕도 등대는 위로는 천사대교를 바라보고 있으며 아래로는 해남과 진도 수로를 바라보고 있기에 위로 올라와 서해를 항해하는 모든 선박에게는 중요한 항로 표지에 해당하는 등대이다.
목포로 항해하는 선박의 위치로는 목포구등대와 대각선 방향의 수로에 해당하고 아래로는 시하도와 치도 등대를 마주 보고 있다.
비교적 완만한 수로에 해당하지만 제주와 흑산도를 향하는 수로이기에 많은 여객선의 길잡이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으며 안개가 자욱히 내릴 시에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항로 표지이다.
최초 점등일 : 1985년 7월 6일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이목리 산1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장도 등대는 신안군 산장면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이며 해수부 표기로는 장도 섬은 항도이지만 어민들 사이에서는 우물섬으로 표기되고 있는 등대다.
섬은 해도상으로는 장도, 네이버나 다음 지도상으로는 항도라고 표기가 되기도 하며 이 섬의 바로 서편에는 유인도인 마진도가 자리하고 있다.
등대는 육지에서 마진도 방향으로 오는 선박과 목포항과 제주항 사이를 오가는 선박들에게 육지초입표지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86년 6월 5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장산면 마진도리 산 1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서넙도 등대는 섬 서쪽 맨 끝단의 남측 돌출부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 등대로 이 등대가 위치한 서넙도는 원래 기도라는 이름의 섬이었다.
얼마전 목포해수청에서 안전 진단을 통하여 노후된 등대를 시설 보수한 관계로 방문하던날 등대 공사중이어서 사진은 공사중 사진이 실렸다.
기도라는 이름에서 넙도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서넙도라는 이름으로 바뀐 뒤 등대명 역시 서넙도 등대로 부르고 있으며 앞바다의 해역은 양식장 그물이 펼쳐져 있는 해역으로 항해가 가능한 수로는 상당히 좁은 수로에 해당한다.
최초 점등일 : 1987년 9월 7일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 산 133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신육리 앞 남쪽 해상을 운항하는 선박들의 안전운항을 위해 15년전에 설치한 외민동서 등표는 만조시 보이지 않는 암초와 어장이 형성되어 있어 항상 해상 사고가 도사리고 있는 해역이다.
등표가 설치되어 하민동여는 작은 바위섬으로 되어 멀리서 보면 작은 어선으로 보이기도 하여 항해하는 선박에서 보면 착각을 할 수 있는 모양새다.
특히 하민동여는 육지와 떨어져 있는 섬으로 인근에 소형 어선의 통항이 자주 이루어지고 지형적으로 안전 항해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선박의 좌초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최초 점등일 : 2010년 09월 09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신육리 산439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청등도는 송도라는 작은 무인도서를 부속섬으로 두고 있는 유인도서이며 숲이 잘 어우러져 경치가 좋고 산중턱에 자리한 마을이 매우 온화한 모습이라 하여 청등도(靑藤島)라 부르게 되었으며 섬의 모양이 등처럼 생겨 청등도라고 불리기도 했다.
항구 앞 작은 송도에는 높은 고압 철탑이 지나가는 무인도서가 있는데 바로 앞 등표가 자리하고 있어 작은 암초로부터 항해하는 선박을 보호 하고 있다.
청등도의 주변 해역은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난대림이 어울려 빼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멀리서 바라 보이는 자연 경관이 아름답다.
최초 점등일 : 2009년 11월 12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청등도북서방 해상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전남 진도의 불도는 스님 한 분이 해 질 무렵 학에 마음을 빼앗겨 산에 따라 올라갔다가 바다에 떨어졌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어 불리게 된 이름이다.
불도 등대는 불도에서 여객을 실어나르는 철부선과 어선 등이 지나는 항로이기에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로표지 중에 하나이며 형태는 둥근 콘크리트 원형 받침에 등주가 올라간 일자형 형태이다.
한 때는 주민이 30여명이 거주하고 분교가 있을 정도였지만 지금은 모두 떠나 무인도서가 되었으며 좌측 끝에 무인 등대가 자리하고 있고, 섬의 외곽 지형은 아름다운 절경을 지니고 있는 섬이다. 해식 절벽과 독특한 해식 동굴이 발달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최초 점등일 : 1986년 11월 6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지산면 가학리 산213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나배도 등표는 교량 건설 이전에 수로를 지킨 항로 표지이지만 교각이 있어 수로를 지나는 선박에게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상조도에서 나배도로 이어지는 다리가 완공된 뒤로는 교각에 부딪힐 위험에서 벗어나게 할 신호이니 더욱 중요한 등표가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수로는 통항로가 협소하고 조류가 거센 지역인 조도 수도에 설치되어 하조도, 관매도 및 대마도 등을 운항하는 여객선의 안전 항로를 확보함으로써 안전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5년 07월 30일
주소 : 진도군 조도면 나배도리 전면해상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무안군에 속한 저도북방등표는 수심이 워낙 낮아 왕래하는 선박이 암초에 걸리는 경우가 많아 중요한 항로표지 역할을 하는 등표이다.
또한 대각선으로 마주 보고 있는 민계도 등대와 함께 주위를 왕래하는 어선이나 낙월도와 횡도를 들어가는 정기 여객선에게는 큰 도움이 되는 위치에 있다.
붉은색의 원주형으로 되어 있으며 최초 점등일이 짧아 최근에 설치된 등표 중 하나이며 간조시에 수심이 더욱 낮아져 바닥에 걸리는 선박이 없도록 유도를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7년 07월 06일
주소 : 전남 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저도북방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