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정읍 칠보의 서원등대는 섬 그리고 뜰에서 세운 등대 조형물로 5색 조형물이 더해져 칠흙 같은 어둠을 밝혀주는 등대 조형물이며 야생 동물들로부터 밤 중에 씨앗과 채소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
인근 무성서원의 이름 중 서원과 등대 아래는 실재 바다에 나갈 수 있는 보트를 두어 서쪽을 향하는 서범호라는 이름으로 칠보 들녘을 밝히고 있다.
또한 주변 경관은 봄에는 유채가 노란색과 보라색으로 피어나고 여름에는 키작은 해바라기가 피어나 삭막함이 아닌 꽃이 있는 칠보가 되었다.
최초 점등일 : 2022년 12월 15일
주소 : 전북 정읍시 칠보면 원촌리 유채밭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고흥에는 많은 섬과 섬이라기에는 작은 여들이 많고 고흥만으로 접어드는 위치에 주로 산재해 있어 항해에 위험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해수부에서는 이러한 위험요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곳곳의 여에 등표를 설치하여 안전한 항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중 감등서 등표는 바라 보이는 검둥여 등표 보다 1년 정도 앞서 설치된 등표이며 흑홍흑 색의 원주형 등표로 고립장애를 알리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5년 10월 17일
주소 : 전남 고흥군 풍양면 풍남리 풍남항 해상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고흥에는 많은 섬과 섬이라기에는 작은 여들이 많고 고흥만으로 접어드는 위치에 주로 산재해 있어 항해에 위험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해수부에서는 이러한 위험요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곳곳의 여에 등표를 설치하여 안전한 항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중 검둥여 등표는 황흑황 색의 둥근 원형 등표로 고립장애를 알리고 있으며 대각선 방향의 감등서 등표와 함께 제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6년 09월 11일
주소 : 전남 고흥군 도화면 구암리 검둥여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전남 무안군과 영광군·함평군의 경계를 이루는 해제반도 북서쪽 끝 도리포에 있는 유원지이며 방파제에는 등대로 오인하는 세발낚지 조형물이 있다.
유원지는 모래사장이 길고 소나무 숲이 우거지며 해변이 넓어 해수욕과 해변놀이에 적당하기에 평소에도 휴가철에는 많은 여행객이 찾아오고 있다.
백사장을 지나 조금 더 들어가면 도리포 포구가 나오는데, 이곳 방파제에는 지역 특산물인 세발낚지 조형물이 세워져 있는데 등대로 오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등대가 아닌 조형물이다.
주소 : 전남 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4-15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목포 쪽에서 서쪽으로 보면 달리도의 바깥쪽에 외달도라는 작은 섬인데 요즘은 사랑의 섬이라 하여 하트 조형물이 예쁘게 설치되어 있는 섬이다.
작은 섬이지만 이 섬의 서북쪽 해안에는 해수욕장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휴가철에 즐겨 찾고 있으며, 연인의 섬으로 통한다.
그래서인지 주말에는 커플 여행객이 많이 찾고 있을 정도여서 그런지 끝자락에 배모양을 한 등표가 예쁘게 자리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2년 10월 16일
주소 : 전남 목포시 달동(외달도) 산147-8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견내량 해엽에는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이 지나간 자리가 있고 일제강점기에 우리에게 치욕을 안겨준 취도라는 일본 헤군 폭격섬이 있는 해엽에 해당한다.
어쩌면 한산대첩의 치욕을 앙갚음하기 위해서 거제 견내량의 취도를 폭격하고 그들이 세운 치욕의 기념비가 역사를 보여주는 듯 하다.
좁은 수로에 낮은 수심과 암초로부터 보호는 기능을 하고 있는 견내량 등표는 그 이름부터가 역사를 안고 있는 등표라고도 할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1996년 12월 23일
주소 : 경남 통영시 용남면 견내량해협 해상 수중암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신안 대포탄 등표는 그 쿠기로 보면 등대급에 해당할 정도의 규모인지라 멀리서 보면 등대로 착각을 할 정도이지만 항로표지 관리상 이름만 다를 뿐이다.
작은 여치고는 높이가 있어 보기에 좋고 이름이 기억하기 좋은 대포탄인지라 한번 보면 기억에 오래 남을만한 등표라고 할 수 있다.
육지에서 마지막까지 차로 갈 수 있는 자라도 해상에 있으며 이 앞은 작은 여와 수심이 낮아 사리 간조에는 항해하는 모든 선박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0년 10월 11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 산199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도초도에서 먼바다로 나가는 길목에 몇년전에 개통한 삼도대교를 지나갈 무렵 만나게 되는 빨간색의 웅장한 등표를 만나게 되는데 파장서도 위에 있다.
위에서 보면 신화에 등장하는 토르의 망치를 세워논 듯한 느낌이 드는 등표이며 만조에는 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물에 잠기게 되는 등표이다.
수로가 좁고 먼바다로 나가는 마지막 지점이 되다 보니 붉은색이 눈에 훨 잘 띄어서 항해서 많은 역할을 하는 등표가 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7년 9월 15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신의면 하태서리 산 244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목포시 우도는 섬의 모양이 소를 꼭 빼닮은 섬의 모양이 소를 닮았다 하여 우도라 부르고 있으며 제주 우도가 유명한 까닭에 언제나 검색 순위에서 밀리는 섬이다.
우도는 목포에서 도초 방향으로 목포 대교를 지나면 바로 보이는 작은 섬인데 몇가구가 되지 않아서 사실상 무인도서에 가까운 섬이다.
우도는 흑산 방향으로 가는 이들은 언제나 길목에서 만나는 섬이며 양방향으로 항로가 나누어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요즘은 등표에 올라가 낚시를 즐기는 이들이 주로 찾으며 갯바위에 있는 사람은 주로 낚시가 취미인 사람이 주를 이루는 섬이기도 하다.
최초 점등일 : 2018년 7월 19일
주소 : 전남 목포시 율도동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호미곶은 2000년 1월 1일부터 시작된 한민족 해맞이 축전이 매년 열리는 장소이며 포항시에서 새천년의 출발을 의미하는 뜻에서 조성하였다.
동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형으로, 독도 다음으로 가장 일찍 뜨는 해를 볼 수 있다고 해서 호미곶은 새해 해맞이 명소로도 이름을 날린다.
호미곶은 국토의 동쪽 끝, 우리의 주권이 미치는 영해의 기점 호미곶은 우리의 영해임을 나타내는 표석이 있음을 아는 이는 드물다.
등표 번호 : 1339
최초 점등일 : 1960년 2월 9일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대보리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맥도는 목포시에 해당하여 도초도를 오가는 항로에서 마주하는 맥도 해상에 녹색으로 된 등표에 해당하며 녹색의 뜻은 주변에 보이지 않는 암초 등이 있으니 조심히 항해하고 근처에는 오지말라는 표시이다.
녹색 등표로 유명한 곳은 바로 일제강점기에 일본 조사선이 암초에 침몰한 호미곶 녹색 등표가 있기에 연안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맞은편 맥도 끝자락에는 왕관 모양의 맥도 남방 등대가 자리하고 있어 서쪽 신안군 일대의 섬들의 선박들이 목포항 방향으로 진입할 때 지나는 해상이다.
등표 번호 : 3078.2
최초 점등일 : 2006년 9월 26일
주소 : 전남 목포시 율도동 해상
[우리나라 등표와 조형물]
저도 등표는 만지도 해상에 자리하고 있으며 등표에는 거의 없는 등명기가 설치된 고도 16미터의 고립장애표시로 설치된 등표이다.
멀리서 보면 거의 모르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좌측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면 큰 태풍이 오게 되면 파손의 위험이 큰 기울기이다.
만지도 북서방등표와 함께 만지도의 해상을 지켜주고 있으며 연대도를 입도하는 모든 연안 여객선에서 볼 수 있는 등표이다.
최초 점등일 : 1982년 9월 14일
주소 : 경남 통영시 산양읍 저림리 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