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예전 이름인 서천 비인항에서 얼마전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의 한국 최초 성경 전래지 기념관과, 한국 최초의 성경전래지 마량진이라는 비석과 영국 범선 조형물을 세운 기념공원이 항 내에 조성되었다.
이번 항만법 시행령 개정으로 마량진항으로 항명이 변경되며 지역 고유의 정체성과 역사를 담게 되는 등 주민들의 숙원을 해결 할 수 있게 됐다.
과거 이름을 되찾은 마량진항에는 판옥선 모양의 범선이 축조되어 공원에 설치 되었으며 주변 조경을 다시 하여 여행객을 부르고 있다.
주소 :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리 마량진항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충주 사인암은 높이는 약 50m이며 기암 아래는 남조천이 흐르며 작은 소를 이루고 있어 아름다운 풍치를 더해주는 곳이자 풍속화의 기본 소재가 된 곳이다.
사인암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고려 때 유학자인 역동) 우탁 선생의 행적 때문에 지어졌으며, 고려 때 우탁이 임금을 보필하는 직책인 정 4품 사인이라는 벼슬에 있을 당시 이곳에 머물렀다는 사연이 있어 조선 성종 때 단양 군수가 우탁 선생을 기리기 위해 이 바위를 사인암이라 지었다고 전해진다.
단양팔경에 속하며 2008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국립공원이다.
주소 : 충북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2길 42 청연암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후삼국 시대는 견훤이 후백제를 세우면서 시작되었고, 삼국이 통일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걷게 되었으며 역사의 기록은 승자의 것이기에 다소 왜곡된 후백제의 기록으로 남았다.
견훤이 건국한 나라를 스스로 무너뜨렸으니 우리나라 역사를 통틀어서도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다 간 군웅은 찾기 힘들다.
견훤은 황간 견씨의 시조이기도 하며 견훤의 성씨는 완산 견(진)씨이기에 이씨가 아니다. 아버지는 이씨였지만 견훤은 이씨가 아닌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900년부터 935년 음력 3월까지 후백제(後百濟)의 군주로 재위하였다.
주소 : 충남 논산시 연무읍 금곡리 산18-3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서천 판교 근대 역사 문화 공간은 1930년 장항선 판교역 철도 개통과 함께 근대기 서천 지역 활성화의 중심지였다 보니 적산가옥이 곳곳에 남아 있다.
양곡을 비롯한 물자 수송과 정미, 양곡, 양조산업, 장터가 형성되어 한국 산업화 시대에 번성기를 맞았으나 철도역 이전으로 본격적인 쇠퇴의 과정을 거쳤다.
현대기 농촌 지역의 역사적 흐름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공간에는 정미소, 양조장, 방앗간, 극장, 구 중대본부 등 근대생활사 요소를 잘 간직한 문화유산 7건은 별도의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소 : 충남 서천군 판교면 현암리 판교마을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신두리 해안사구는 국내 사구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신안 우이도와 자은도 그리고 백령도와 더불어 해빈과 그에 평행한 사구 지역이 발달되었다.
사구 지역은 폭이 최대 1km, 길이가 3km 정도이이기에 해변의 길이가 광활하여 사구 사잇길을 걷는 동안 이국적 분위기에 흠뻑 취할 수 있다.
사구 지역의 안쪽 부분에는 숟가락 머리 모양의 소규모 침식 지형들이 발달되는데, 바다쪽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에 의한 침식으로 생성된 블로우아웃 구조인데 이는 가장 해안쪽의 사구 표면에도 발달된다.
주소 : 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일대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보연 소황사구는 백령도, 신두리, 우이도와 더불어 국내 유일의 사구가 형성된 해안으로써 소황리 해안까지 약 2.5km 해안에 형성된 해안사구이다.
해안사구는 바람에 의해 형성되는 모래 언덕으로, 자연 재해로부터 배후지역을 보호할 뿐 아니라 내륙으로 소금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소황사구는 전체 면적이 거의 훼손되지 않고 원형이 잘 보존돼 있는 사구로써 특히 천연기념물인 노랑부리백로 등이 서식하고 있다.
주소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소황리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강경 성지 성당은 성지 순례의 보고이자 김대건 신부일행이 조선에 처음 들어온 뱃길이 있는지라 백년교회인 북옥교회와 더불어 걷는 순례지이다.
처음 김대건 신부 일행이 금강을 따라 육지에 도착한 곳이 강경이기에 성지 순례를 하는 순례객들에게는 중요한 순례길에 해당한다.
조선에 첫 발을 내딛으며 김대건 신부와 일행은 어떤 마음이었을까? 종교 탄압에 의해 순교하는 이들을 보는 신부의 마음이 보일 듯한 성당이다.
주소 : 충남 논산시 강경읍 옥녀봉로27번길 13-3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서산에 있는 작은 섬 간월암은 서해 노을의 랜드마크라 할 정도의 아름다운 노을 색을 보여주며 주변 풍광이 아름다워 끊임없이 여행객이 찾는 섬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왕사였던 무학대사가 창건한 암자이다. 무학이 이곳에서 달을 보고 깨달음을얻었다는 데서 간월암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또한 굴의 풍년을 기원하는 굴부르기 군왕제가 매년 정월 보름 만조에 간월도리 어리굴젓 기념탑 앞에서 열리고 있으며, 밀물에는 섬이되고 간조에는 걸어들어갈 수 있는 섬이다.
주소 :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1길 119-29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당진 왜목마을 해넘이 해맞이 축제는 한해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한해의 시작을 축하하며 떠오르는 일출을 바라보며 한해의 성공을 기원하는 축제이다.
당진 왜목마을 해넘이 해맞이축제는 매해 연말과 새해 아침에 왜목마을 일원에서 개최되는데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일출, 노을 명소로 자리잡았다.
당진 왜목마을 해넘이·해맞이 행사는 매년 10만명이 다녀가는 우리나라의 3대 해돋이로 왜목마을의 일출은 소박하고 서정적인 일출로 유명하다.
주소 : 충남 당진시 석문면 교로리 844-26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엘레지는 타원형인 2장의 잎이 알뿌리로부터 자라나며, 잎의 양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약간 잡혀 있고 톱니는 지니지 않는다.
연하고 두터운 길이 15cm 안팎의 잎 표면에는 보랏빛의 얼룩무늬가 곳곳에 그려져 있고, 잎 사이로부터 25cm 정도의 길이를 가진 가늘고 연한 꽃줄기가 자라 올라와 1송이의 꽃이 핀다.
꽃이 완전히 피어나면 모든 꽃잎이 곧게 서서 불꽃이 피어오르는 것과 같은 형태를 갖추는데 무용수가 춤을 추는 모양이라 바람난 연인이라고도 한다.
주소 : 대둔산 일대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충남과 전북을 함께하는 노령산맥 줄기가 김제의 만경평야를 향하다 금산지역에서 독립된 산군을 이루며 절경을 이룬 곳이 대둔산이다.
호남의 소금강이라 불리는 이 산은 정상인 마천대(879.1m)를 비롯하여 사방으로 뻗은 여러 산줄기가 어우러져 칠성봉, 장군봉 등 멋진 암봉을 이룬다.
1977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관광객을 위해 케이블카, 금강 구름다리 등이 설치되어 새로운 명물이 되어 찾는 이들에게 봄을 알린다.
주소 : 전북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611-34
[대전·세종·충남북도 스템프투어]
일반적으로 서리가 내리는 곳은 그날 날씨와 온도가 서리 모양을 좌우하게 되는데 바람이 불거나 기온이 하강하게 되면 서리는 바닥에서 얼어버린다.
바닥에 내려 앉은 서리는 풀입이나 식물에 내려 앉아 하얀알갱이가 되어 식물의 잎을 아릅답게 만들어 주지만 기온이 떨어지면 사진 처럼 얼음이 된다.
가장 알맞은 온도는 영하보다는 영상 1~2도 사이일때고 바람이 불지 않아 제대로 장착된 서리가 좋지만 기온이 더 내려가면 상고대가 되어 버린다.
주소 : 충남 서산시 음암면 한다리길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