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영해 표지]
한동안 문화재 보호 측면에서 닫혀 있다가 열린 섬이 상백도이지만 아직까지 입도는 절차가 까다롭고 쉽게 열리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아름다운 섬이다.
거문도에서도 뱃길로 1시간 가량 유람선을 타고 순환 관광을 하고 있지만 반대쪽은 파고가 조금만 높아도 먼바다인 관계로 배가 운항하지 않아 좀처럼 쉽게 접할 수 없는 미지의 섬으로 남아 있다.
일년에 두달 정도에서도 주말을 이용한다면 7번의 기회정도 밖에 날씨가 허용되니 참으로 험란한 여행길이지만 한번 가고 나면 또 다시 찾고 싶은 섬은 틀림없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올해의 등대로 뽑힌 여수 거문도 등대를 방문하면 등대를 만나기 전 왼편에 우리나라 영해를 상징하는 기념비석이 자리하고 있다. 조금 더 내려가면 수월산에 세워진 등대는 1905년 4월 10일 준공하여 남해에서 처음으로 불을 밝힌 역사 등대에 해당한다,
노후된 시설을 대신하여 높이 33m의 새로운 등탑이 신축되면서 2006년 1월부터 선박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으며, 100년 동안 사용한 기존 등탑은 남해안 최초의 등대로서 보존 가치가 높다.
등대까지 오르는 길을 따라 늘어선 동백나무숲이 울창하고 등대 절벽 위에는 백도(白島)를 바라보며 남해 바다의 절경을 즐길 수 있는 관백정이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등대길 299
[우리나라 영해 표지]
거문도 삼도로 이루어진 제법 규모가 큰섬에 해당하기에 짧은 시간에 돌아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기에 여유있는 1박을 권하는 섬에 해당한다. 거문도 영해표지가 위치한 자리는 거문도 등대 아래 쪽이기에 육지에서는 보기 힘들지만 바다로 5분여 돌면 늠름한 모노타일형의 표지가 보이는데 태극기 색이 바래진 것이 흠이었다.
거문도 항에 내려 거문도 등대로 향하는 길에는 매우 좁은 목이 있는데 여기는 무넹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파도가 치면 넘쳐 오는 까닭에 그리 부른다.
바다 위에 솟은 수월산을 바라보고 있는 해변은 해넘이 즈음에 아름다운 하늘을 보여 주고 거문도가 먼바다임을 짐작하게 하는 바람이 분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광개토대왕비가 집안 지역에 세워진 것은 장수왕 2년(414)의 일이었으며, 우리 영토가 최대의 확장을 하던 시기이고 광활한 영역을 확장하던 시대였으며, 비석은 자갈이 중간에 박혀 있는 응회암으로 만들었으며, 높이 6.39미터, 무게가 37톤에 달할 정도이다.
많이 가공하지 않아 울퉁불퉁한 표면에 바둑판처럼 선을 반듯하게 그은 뒤 손바닥만 한 크기의 글자를 새겨 넣었으며 글씨는 고풍스러우면서도 힘이 넘치는 예서체로, 사면에 걸쳐 총 1,775자가 새겨져 있다.
내용은 고구려의 왕계(王系)와 비석을 세운 이유, 광개토대왕 생전의 업적, 왕릉을 지키는 수묘인(守墓人)에 관한 규정 등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주소 : 중국 지린 성 지안 현 퉁거우
[우리나라 영해 표지]
우리나라 영해 표지 27개 가운데 서북단에 해당하는 27번이 바로 소령도 영해표지인데 가거도 2기가 있어 알려진 표지보다도 2개가 더 추가되어 있다.
소령도는 행정 구역상 옹진군에 위치한 영해기점 무인도서로 해발고도 30미터에 장축으로 펼쳐진 작은 섬이지만 엄연한 우리 영해에 해당하는 섬이다.
수직절리와 차별 침식이 진행되어 해식애 등이 잘 나타나 있으며 요철 모양으로 노출된 기반암들이 많고 곳곳에 타포니가 발달해 있으며 중국을 바라 보고 있는 영해표지가 가슴 뜨겁게 한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덕적면 백야리 산 179
[우리나라 영해 표지]
장흥 정남진은 서울의 정남쪽에 있다고 알려진 나루터이며 서울 광화문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표시한 곳이 방향 표지석이며 광화문으로부터 정남쪽에 해당한다.
직선 거리로 보면 광화문으로부터 직선 거리에 가장 남쪽으로 육지의 끝을 표시한다면 해남 땅끝 마을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이곳은 서남 방향으로 본다.
남쪽 육지 끝에 해당하는 정남진은 항구와 함께 있으며 좌측으로 물갈라짐 현상이 일어나는 소등섬이 자리하고 있어 알찬 풍경 여행을 할 수 있다.
주소 : 전남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 산225
[우리나라 영해 표지]
백령도의 최북단비는 우리나라 최서와 최북을 아우르는 영토 범위임을 나타내는 영해 비석으로써 서해최북단임을 인증하는 서해최북단비가 있다.
비석에 기록되어 있는 글씨는 소정 전윤성 교수님이 쓰신 글씨로 백령도가 우리나라에서 서해 최북단에 있는 섬을 인증하는 비석이다.
동쪽 끝섬 독도, 동해 정동진비, 장흥 정남진비, 마라도 최남단비, 백령도 동쪽 끝섬 독도, 최서북단 백령도에 세워져 있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2384
[우리나라 영해 표지]
호미곶은 2000년 1월 1일부터 시작된 한민족 해맞이 축전이 매년 열리는 장소이며 포항시에서 새천년의 출발을 의미하는 뜻에서 조성하였다.
동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형으로, 독도 다음으로 가장 일찍 뜨는 해를 볼 수 있다고 해서 호미곶은 새해 해맞이 명소로도 이름을 날린다.
호미곶은 국토의 동쪽 끝, 우리의 주권이 미치는 영해의 기점 호미곶은 우리의 영해임을 나타내는 표석이 있음을 아는 이는 드물다.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대보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우리나라 3면의 해역에는 영해 및 접속수역법 시행령법 제2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영해폭을 측정함에 있어서 직선기선으로 하는 각 수역의 기점을 말한다.
각 끝 섬 한군데에 첨성대 모양으로 된 영해직선기점 표시를 설치하여 우리나라 해역임을 표시하고 있는데 고유 모양이 첨성대라 더욱 눈길을 끈다.
영토에 인접한 해역으로서 그 나라의 통치권이 미치는 바다를 영해라고 하고 가거도 해상에는 있는 4개의 영해표지 중 명승지로 지정된 산등 끝자락에 위치한 영해표지가 세번째 영해표지이다. 이 또한 간여에서 직선거리로 5분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성근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우리나라 3면의 해역에는 영해 및 접속수역법 시행령법 제2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영해폭을 측정함에 있어서 직선기선으로 하는 각 수역의 기점을 말한다.
각 끝 섬 한군데에 첨성대 모양으로 된 영해직선기점 표시를 설치하여 우리나라 해역임을 표시하고 있는데 고유 모양이 첨성대라 더욱 눈길을 끈다.
영토에 인접한 해역으로서 그 나라의 통치권이 미치는 바다를 영해라고 하고 그 범위는 대부분의 나라들이 초기에는 영해를 3해리로 설정하였으며 가거도 해상에는 있는 4개의 영해표지 중 밖녹섬 영해표지에서 홍도 방향으로 5분정도 가면 바로 만나게 되는 곳이 간여 영해표지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외간서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우리나라 3면의 해역에는 영해 및 접속수역법 시행령법 제2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영해폭을 측정함에 있어서 직선기선으로 하는 각 수역의 기점을 말한다.
각 끝 섬 한군데에 첨성대 모양으로 된 영해직선기점 표시를 설치하여 우리나라 해역임을 표시하고 있는데 고유 모양이 첨성대라 더욱 눈길을 끈다.
영토에 인접한 해역으로서 그 나라의 통치권이 미치는 바다를 영해라고 하고 그 범위는 대부분의 나라들이 초기에는 영해를 3해리로 설정하였으며 가거도 해상에는 4개의 영해표지가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밖녹섬
[우리나라 영해 표지]
한동안 문화재 보호 측면에서 닫혀 있다가 열린 섬이 상백도이지만 아직까지 입도는 절차가 까다롭고 쉽게 열리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아름다운 섬이다.
거문도에서도 뱃길로 1시간 가량 유람선을 타고 순환 관광을 하고 있지만 반대쪽은 파고가 조금만 높아도 먼바다인 관계로 배가 운항하지 않아 좀처럼 쉽게 접할 수 없는 미지의 섬으로 남아 있다.
일년에 두달 정도에서도 주말을 이용한다면 7번의 기회정도 밖에 날씨가 허용되니 참으로 험란한 여행길이지만 한번 가고 나면 또다시 찾고 싶은 섬은 틀림없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