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영해 표지]
장흥 정남진은 서울의 정남쪽에 있다고 알려진 나루터이며 서울 광화문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표시한 곳이 방향 표지석이며 광화문으로부터 정남쪽에 해당한다.
직선 거리로 보면 광화문으로부터 직선 거리에 가장 남쪽으로 육지의 끝을 표시한다면 해남 땅끝 마을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이곳은 서남 방향으로 본다.
남쪽 육지 끝에 해당하는 정남진은 항구와 함께 있으며 좌측으로 물갈라짐 현상이 일어나는 소등섬이 자리하고 있어 알찬 풍경 여행을 할 수 있다.
주소 : 전남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 산225
[우리나라 영해 표지]
백령도의 최북단비는 우리나라 최서와 최북을 아우르는 영토 범위임을 나타내는 영해 비석으로써 서해최북단임을 인증하는 서해최북단비가 있다.
비석에 기록되어 있는 글씨는 소정 전윤성 교수님이 쓰신 글씨로 백령도가 우리나라에서 서해 최북단에 있는 섬을 인증하는 비석이다.
동쪽 끝섬 독도, 동해 정동진비, 장흥 정남진비, 마라도 최남단비, 백령도 동쪽 끝섬 독도, 최서북단 백령도에 세워져 있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2384
[우리나라 영해 표지]
호미곶은 2000년 1월 1일부터 시작된 한민족 해맞이 축전이 매년 열리는 장소이며 포항시에서 새천년의 출발을 의미하는 뜻에서 조성하였다.
동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형으로, 독도 다음으로 가장 일찍 뜨는 해를 볼 수 있다고 해서 호미곶은 새해 해맞이 명소로도 이름을 날린다.
호미곶은 국토의 동쪽 끝, 우리의 주권이 미치는 영해의 기점 호미곶은 우리의 영해임을 나타내는 표석이 있음을 아는 이는 드물다.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대보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우리나라 3면의 해역에는 영해 및 접속수역법 시행령법 제2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영해폭을 측정함에 있어서 직선기선으로 하는 각 수역의 기점을 말한다.
각 끝 섬 한군데에 첨성대 모양으로 된 영해직선기점 표시를 설치하여 우리나라 해역임을 표시하고 있는데 고유 모양이 첨성대라 더욱 눈길을 끈다.
영토에 인접한 해역으로서 그 나라의 통치권이 미치는 바다를 영해라고 하고 가거도 해상에는 있는 4개의 영해표지 중 명승지로 지정된 산등 끝자락에 위치한 영해표지가 세번째 영해표지이다. 이 또한 간여에서 직선거리로 5분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성근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우리나라 3면의 해역에는 영해 및 접속수역법 시행령법 제2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영해폭을 측정함에 있어서 직선기선으로 하는 각 수역의 기점을 말한다.
각 끝 섬 한군데에 첨성대 모양으로 된 영해직선기점 표시를 설치하여 우리나라 해역임을 표시하고 있는데 고유 모양이 첨성대라 더욱 눈길을 끈다.
영토에 인접한 해역으로서 그 나라의 통치권이 미치는 바다를 영해라고 하고 그 범위는 대부분의 나라들이 초기에는 영해를 3해리로 설정하였으며 가거도 해상에는 있는 4개의 영해표지 중 밖녹섬 영해표지에서 홍도 방향으로 5분정도 가면 바로 만나게 되는 곳이 간여 영해표지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간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우리나라 3면의 해역에는 영해 및 접속수역법 시행령법 제2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영해폭을 측정함에 있어서 직선기선으로 하는 각 수역의 기점을 말한다.
각 끝 섬 한군데에 첨성대 모양으로 된 영해직선기점 표시를 설치하여 우리나라 해역임을 표시하고 있는데 고유 모양이 첨성대라 더욱 눈길을 끈다.
영토에 인접한 해역으로서 그 나라의 통치권이 미치는 바다를 영해라고 하고 그 범위는 대부분의 나라들이 초기에는 영해를 3해리로 설정하였으며 가거도 해상에는 4개의 영해표지가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밖녹섬
[우리나라 영해 표지]
한동안 문화재 보호 측면에서 닫혀 있다가 열린 섬이 상백도이지만 아직까지 입도는 절차가 까다롭고 쉽게 열리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아름다운 섬이다.
거문도에서도 뱃길로 1시간 가량 유람선을 타고 순환 관광을 하고 있지만 반대쪽은 파고가 조금만 높아도 먼바다인 관계로 배가 운항하지 않아 좀처럼 쉽게 접할 수 없는 미지의 섬으로 남아 있다.
일년에 두달 정도에서도 주말을 이용한다면 7번의 기회정도 밖에 날씨가 허용되니 참으로 험란한 여행길이지만 한번 가고 나면 또다시 찾고 싶은 섬은 틀림없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여서도는 완도 남동쪽 41㎞ 가량의 해상에 있으며 먼바다에 속한 섬인지라 청산도에서도 벳길로 1시간 가량 가야하는 섬이다.
아직도방목한 소가 쟁기질을 하며 돌담길이 옛모습 그대로 있다보니 원시와 현재가 공존하는 아름다운 섬으로 자리하고 있다.
여서도 영해표지는 선착장에서 남쪽으로 반바퀴 정도 순환하다 보면 만나게 되는데 가파른 암벽으로 된 절벽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낚시인 외에는 만나기 힘든 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태극기가 바래서 희미하게 부착되어 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청산면 여서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 마라도에는 중심부에 등대가 있는데 과거 등대는 철거가 되고 현재는 신축 등대가 완공되어 불을 밝히고 있다.
마라도 등대는 일명 희망봉등대라고 불리기도 하며 일제 강점기인 1915년 3월 최초 건립된 마라도 등대는 1987년 3월 새로 개축하였다가 2021년에 새로운 등대로 신축하여 얼마전에 완공하였다.
우리나라의 최남단에 위치한 섬이기에 연평균 기온 및 평균 기온이 가장 높으며 남서쪽에 이어도가 존재하지만 이어도는 국제법상으로 암초이기에 마라도가 가장 남쪽에 있는 섬이 된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로 165
[우리나라 영해 표지]
홍도에 우리나라 영해 표지가 있음을 알고 있는 국민들은 얼마나 될까? 라는 물음을 던지면 영해 표지 조차 무엇인지를 모르는 분들이 더 많을 듯 하다.
어쩌면 흘러간 옛노래에서 나오는 홍도가 더 유명할 줄 모르나 홍도는 안가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 가고 또 가지 않은 사람은 없을 정도로 많은 이들을 부르는 아름다운 절경의 섬이다.
1구에서 2구를 가는 길목에 숨어있는 영해표지는 관심있는 사람이 아니면 보고도 무엇인지를 모를 표지가 영해표지이기에 아쉬움이 클 뿐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 해상
[우리나라 영해 표지]
홍도 고서는 우리나라 23개 영해기점 무인도서 중 하나로, 고서에서부터 12해리(약 22.2㎞)까지의 바다가 우리나라 영해에 속하기에 중요한 위치의 섬이다.
고서는 작은 바위섬 하나로 이루어져 입도하지 못하는 절대보존 지역이고 다양한 해양생태 자원을 관찰되고 있으며 해식애가 발달된 섬이다.
거센 파도가 지나간 자리에는 층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독립문 바위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 유람선에서는 주전자 바위 정도밖에 보이지 않으며 수직에 가까운 해식애는 아름답기 그지없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소국흘도는 신안군 가거도리에 속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안군에서 가장 먼바다에 위치하고 있는 영해표지가 있는 섬이다.
낚시꾼들에게는 생소한 이름은 아니지만 일반인에게는 워낙 먼바다에 있는 섬이어서 생소할 수밖에 없지만 우리 영해로서는 중요한 섬에 해당한다.
작은 여 여러개와 더불어 있는 바위섬에 불과하지만 소국흘도가 지니는 영해로서의 역사적 의의로서는 없어서는 안될 우리의 소중한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