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전남 구 학교역 급수탑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구 학교역과 함평읍내 간을 연결하는 1,067mm 궤간의 함평 궤도가 존재했으며 가솔린 동차가 운행했었다.
1921년 건립된 이 시설물은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건립된 급수시설로써 철도 운송에 큰 역할을 했으나, 점차 디젤기관차로 대체되면서 1955년에 급수탑의 기능을 잃은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국에서 보기 드문 석조 원형탑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모양이 같게 구성되었으며 근대화 과정에서 교통사적 요충지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철도 시설물이다.
주소 : 전남 함평군 학교면 학다리길 279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전남 구 학교역 급수탑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구 학교역과 함평읍내 간을 연결하는 1,067mm 궤간의 함평 궤도가 존재했으며 가솔린 동차가 운행했었다.
현재 이 함평 궤도는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고 아쉽게도 1960년대에 폐선되어서 차량도 함께 사라져서 급수탑만 과거 역 부근에 남아 있다.
지금은 학교역은 철거되었고 나비 축제 기간에 고속열차도 잠시 멈추는 함평역으로 개명되어 영업을 하고 있으며 과거 화려한 역사였음을 남아 있는 급수탑을 보고서 알 수 있다.
주소 : 전남 함평군 학교면 학다리길 279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연천역 급수탑 시설물은 경원선을 운행하던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한 급수탑으로, 현재 상자형과 원통형 2기가 남아 있다.
상자형 급수탑은 콘크리트조로 기단, 벽체부, 지붕부 3단으로 입면을 형성하였으며, 아치형 출입구를 두었고,외관에 줄눈을 그려 조적조인 것처럼 구성하였다.
원통형 급수탑에는 급수관 3개와 기계장치가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고, 탑 외부에는 한국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 있으며,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증기기관차 관련 시설물로 가치가 높다.
주소 : 경기 연천군 연천읍 차탄2리 34-373번지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경주,포항 사이는 1918년 10월 31일 개통되었고, 부산 송정역은 1935년 12월 16일 부산 ~ 경주 사이가 개통되면서 설립된 간이역이었다.
동해남부선은 동해안의 해산물과 연선 지방의 자원 수송을 목적으로 부설한 것이며 1934년 12월 16일 역원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76년 7월 화물업무가 중단되었고 1940년대의 역사 건축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문화재이지만 지금의송정역은 과거의 색은 잃어버리고 디자인과 주변 풍경에만 신경을 쓴 듯하여 아쉬운점도 있다.
주소 : 부산 해운대구 송정 중앙로 8번길 60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동래역은 1934년 동해남부선에서 최초로 완공된 역사로 일제강점기 병력수송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오랫동안 역사 광장에서는 새벽장터가 열렸던 역이다.
또한 지역 생활의 중심지가 된 곳으로 지역민들의 숱한 애환을 간직하고 있으며 건립 당시 및 변천과정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현재역은 새로운 역 신설로 폐쇄되어 지금의 구동래역으로 남아 있으며, 건립 당시의 건축도면이 현존하고 있어 역사역으로써 보존 가치가 충분하다.
주소 : 부산시 동래구 낙민동 112-3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정암철교는 1935년 철골트러스교로 준공되었으나 6.25전쟁으로 파괴된 후 1958년 남아있던 2개의 경간을 그대로 살려 재건되었다.
상부는 철골트러스 형식으로 재건하면서, 완전히 파괴된 부분은 새로운 교각을 세워 7개의 경간을 지닌 철근콘크리트 T형 보로 재건하였음.
경남 의령군과 함안군을 연결하는 교량으로서 경남 서부지역 교통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교량으로 가치가 있어 국가 등록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소 : 경남 의령군 의령읍 정암리 산 1-2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보령 청소역은 장항선로의 역사로써 본래 사설의 조선 경남 철도주식회사에 의하여 충남선이라는 이름으로 천안~온양 사이가 1922년 개통된 역사이다.
1946년 사설철도의 국유화정책으로 국유화되었고, 1955년 6월에 장항선이라고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는 장항선 역사 중 가장 오래되었다.
청소역은 1929년 역원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여 1961년에 지어진 벽돌조 역사이며 역사명은 처음에는 진죽역으로 불렸지만 현재는 청소역이다.
주소 : 충남 보령시 청소면 청소큰길 176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구나주역은 호남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노안역과 다시역 사이에 있으며, 1913년 2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죽림동에 위치했던 구 나주역은 1929년 광주로 통학했던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들이 충돌하면서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촉발시킨 역사 현장역이다.
그 의의 때문에 이설이 미뤄져 왔으나 2001년 7월 10일 호남선 복선화 부분개통으로 인하여 영산포역과 통합하여 현재 장소에 재현복원 되었다.
주소 : 전남 나주시 죽림동 60-172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국내에는 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증기 기관차의급수탑이 여러개가 있지만 2기가 나란히 현존하는 곳은 경기 연천역과 수원역 외에는 없다.
국내에서 사라진 열차 노선 가운데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지 못한 체 사라진 아쉬운 사례로 이제는 그 흔적만 남아있기에 갈 때마다 아쉬움이 배로 커진다.
경북과 강원을 이어주던 태백 노선인 스위치백의 형태인 노선과 협궤열차의 노선은 소래포구 근처에 형태만 남아 있고 현재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 960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지금은 현존하는 수원에서 소래포구까지 이어지던 협궤 열차의 노선이 없지만 과거의 노선에 현재 남아 있는 수원역 급수탑이다.
1930년대 국철(國鐵)인 광궤철도의 급수탑과 사철(私鐵)인 협궤철도의 급수탑 2기가 동일한 부지 내 현존하는 희귀한 사례로 이색적인 현장의 모습이다.
경기 연천 역시 2기의 급수탑이 전쟁중에도 보존되어 있는 것처럼 수원역 급수탑은 국철과 사철의 급수탑 변화양상과 변천사를 보여주는 철도유산이다.
* 궤간(軌間)이 표준 1,435mm보다 넓은 철도를 광궤(廣軌)철도, 좁은 것을 협궤(狹軌) 철도라 함.
주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 960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남창역사는 1동으로 되어 있으며, 1층 규모로 건축면적은 작은 역사로 이루어져 있다. 남창역사는 1935년 건립되고, 1935년 간이역 영업을 개시하였다.
구조는 목구조에 지붕은 일반 간이역 형태인 맞배형태로 되어있으며, 박공을 정면 출입구는 크고 배면은 적게 설치하였다.
구조는 목조로 벽체는 시멘트 마감으로 변형되어 있으며 등록전인 2001년 공사시 지붕재료, 창문형태등이 원형과 다르게 보수되었다.
주소 :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남창역길 40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반곡역사는 1941년 7월 25일 영업을 개시한 1동 1층 규모의 아담한 역사로 영업을 시작하여 1974년 3월 15일 소화물 취급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여객 취급 업무는 하지 않고 있으며 역사는 2009년 미술관으로 개관하여 지역주민들에 문화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다.
벽체는 비닐판벽의 외장이었다가 후에 흙벽에 시멘트 뿜칠 마감으로 변경되었으며, 지붕은 시멘트기와로 이어져 있고 최근에 리모델링 하였다. 사진은 2005년의 모습이며 국가 등록문화재 165호이다.
주소 : 강원 원주시 반곡동 154-2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