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도서]
상수치도는 비금면 소재지의 동쪽 해상에 위치하며 동쪽에 상사치도와 하사치도, 남쪽에 수치도가 있으며 팔구포의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상수치도는 목포와는 서쪽으로 40km 떨어져 있고 면소재지인 비금도와는 2.5km 떨어져 있지만 아직까지는 불편한 섬으로 남아 있다.
초창기에 무인도가 될뻔한 섬을 1인이 가꾸어 지금은 유인도가 되어 농사와 어업을 하는 주민들로 이루어진 섬이며 등대 역시 역등의 특징 중 하나인 사각 콘크리트 울타리가 둘러져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수치리
[무인도서]
신안군 흑산면에 속한 하죽도는 제주로 향하는 먼바다를 바라보는 항로에 해당하여 다물도와 영산도를 축으로 있는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외형은 기암이 장엄하고 아름답게 펼쳐져 있어 흑산도 내에 숨겨진 섬으로 보는 것이 좋을 성 싶은 또 다른 멋을 지닌 무인도서이다.
또한 산 정상에 있는 등대는 주둥 형태가 육각형의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멀리서 보면 모자를 쓴 모습을 한 산정상임을 알 수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다촌리
[무인도서]
탕건여 등대는 외나로도 남쪽 해상에 자리한 암초 정상부에 위치한 무인등대로 외나로도 남쪽 해상을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위치표시를 해 주고 있다.
이 등대와 외나로도 사이의 중간쯤 되는 해역에는 곡두여라는 바위암초가 동서방향으로 길게 뻗어있기 때문에 항해할 때 주의가 요구되는 곳에 위치한다.
이 등대는 일제강점기 당시 전남지역의 물자를 수탈하여 부산항이나 일본 방향으로 가는 선박들이 많이 이용하던 항로이며 1926년에 최초 점등하였다.
주소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 탕건여
[무인도서]
군산 소피도는 우리 영해에 해당하며 말도에서 서쪽으로 약 25km 해상에 위치한 서해안 최외곽 도서에 해당하며 직도와 달리 가마우지 서식지와 군관련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일반인은 출입 금지이다.
연중 220일 가량의 공군 폭격 훈련이 실시 되어 섬의 모양은 많이 변형되어 있고, 주말에는 훈련이 없어 일반 레저 활동이 허가되고 있어 어선들이 조업을 하는 모습을 볼수 있으며, 소피도는 직도 보다는 큰 섬으로 가마우지와 괭이갈매기가 서식하고 있어 상반된 느낌을 받는 섬이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178-2
[우리나라 영해 표지]
견내량에서 창원 방향의 잊지말아야할 역사 섬 치도가 있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남북 대치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공군 폭격 훈련장이 되고 있는 섬이 있다.
말도에서 서쪽으로 약 25km 해상에 위치한 서해안 최외곽 도서이며 섬 전체가 암석해안이며 괭이갈매기와 가마우지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지금은 공군 사격장으로 이용되고 있어 섬의 지형이 파괴된 상태이며 섬 중앙에 폭격의 흔적으로 포탄이 박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우리의 영해섬이다.
직도는 연 220일 가량 훈련이 있어 근해 접근 금지 지역이며 주말에는 레저 활동이 허용되는 지역이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178-2
[무인도서]
견내량에서 창원 방향의 잊지말아야할 역사 섬 치도가 있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남북 대치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공군 폭격 훈련장이 되고 있는 섬이 있다.
말도에서 서쪽으로 약 25km 해상에 위치한 서해안 최외곽 도서이며 섬 전체가 암석해안이며 괭이갈매기와 가마우지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지금은 공군 사격장으로 이용되고 있어 섬의 지형이 파괴된 상태이며 섬 중앙에 폭격의 흔적으로 포탄이 박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우리의 영해섬이다.
직도는 연 220일 가량 훈련이 있어 근해 접근 금지 지역이며 주말에는 레저 활동이 허용되는 지역이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178-2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견내량에서 창원 방향의 잊지말아야할 역사 섬 치도가 있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남북 대치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공군 폭격 훈련장이 되고 있는 섬이 있다.
말도에서 서쪽으로 약 25km 해상에 위치한 서해안 최외곽 도서. 섬 전체가 암석해안으로 대부분의 해안에 해식애가 발달된 바위섬이다.
지금은 공군 사격장으로 이용되고 있어 섬의 지형이 파괴된 상태이며 섬 중앙에 폭격의 흔적으로 포탄이 박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우리의 영해섬이다.
직도는 연 220일 가량 훈련이 있어 근해 접근 금지 지역이며 주말에는 레저 활동이 허용되는 지역이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178-2
[유인도서]
제주도 유인도 중에 가장 큰 섬인 추자도는 전남 완도군과 제주시 사이에 위치한 섬이며 제주 최북단의 섬으로 상,하추자도의 섬이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추자는 인근에 4개의 유인도와 38개의 무인도가 있는 섬으로 구성된 추자군도에 속하며 멸치잡이와 고급 어종이 많이 잡혀 바다 낚시로 인기가 높다.
근래에 들어와 제주 올레길 연장으로 추자도가 속한 뒤에 많은 관광객과 올레객들이 방문하며 명섬 백섬 장소가 된 후부터는 더욱 사랑 받고 있다.
주소 : 제주시 추자면 영흥리 추자도
[유인도서]
충남 태안 옹도 등대는 일제강점기인 1907년 1월에 불을 밝힌 후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태안반도 안흥신항(신진도)에서 약 12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옹도는 그 모양이 마치 옹기와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섬 한가운데 정상에 등대가 있어 등대섬이라고 불린다.
등탑은 높이가 14m이며 8각형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져 있으며, 등대의 불빛은 35~40km 거리에서도 육안 식별이 가능하다.
주소 : 충남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길 44-69
[우리나라 영해 표지]
거문도 삼도로 이루어진 제법 규모가 큰섬에 해당하기에 짧은 시간에 돌아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기에 여유있는 1박을 권하는 섬에 해당한다.
거문도 항에 내려 거문도 등대로 향하는 길에는 매우 좁은 목이 있는데 여기는 무넹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파도가 치면 넘쳐 오는 까닭에 그리 부른다.
바다 위에 솟은 수월산을 바라보고 있는 해변은 해넘이 즈음에 아름다운 하늘을 보여 주고 거문도가 먼바다임을 짐작하게 하는 바람이 분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동해에 독도가 있다면 서해에는 격렬비열도가 있는데 중국과 가까워서 맑은 날은 중국서 우는 닭소리가 들린다고 할 정도로 가까운 섬이다.
섬이름의 유래는 멀리서 보면 모여 있는 섬들이 마치 기러기가 열을 지어 날아가는 것 같다고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줄임말로 격렬비도, 격비도 또는 격비라고도 불린다. 연륙된 태안의 신진도에서 서쪽으로 약 55km 떨어져 있다.
주소 : 충남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군산 어청도 등대는 등대를 여행하는 이들에게는 1번지에 해당할 정도로 수려한 자태를 뽐내는 등대임에는 틀림없는 듯 하다.
어청도 등대는 일제 강점기 1912년 불을 밝힌 후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원형이 보전된 우리나라 등대 가운데 네번째로 지정된 등록문화재 378호다
어청도라는 섬이 주는 특성도 있지만 이곳은 날씨가 허락해야만 입도할 수 있기에 더욱 그리워지고 기다림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섬이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길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