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군산 경암동 철길 마을은 1944년 페이퍼 코리아 공장과 군산역을 연결하는 총연장 2.5km 철로 주변의 마을을 총괄하여 붙인 이름이다.
명칭의 유래는 마을이 위치한 행정 구역 명칭에 따라 철로 주변에 형성된 마을을 경암동 철길 마을이라 불렀으며 일제 강점기에 개설된 철도 주변에 사람들이 모여 살기 시작하면서 동네를 이루었다.
197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마을이 형성되었고 지금은 기차는 운행하지 않지만, 철길이 그대로 남아 근대 추억을 자극하는 군산의 관광 명소로 자리 잡은 마을이 되었다.
주소 : 전북 군산시 경촌4길 14 (경암동)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감포 해국길은 감포항 어귀 마을에 조성된 골목 벽화 거리가 조성되어 이곳을 방문하는 여행객들은 시작길부터 적산 가옥이 보여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골목길임을 보여주고 있다.
골목 벽화에는 시대적 스토리와 젊은 감각의 디자인 조형물을 설치하여 남녀노소가 모두 즐길 수 있는 스토리 골목길이 되었으며 감포 깍지길이라는 이름을 명명 하였다.
연보랏빛 해국을 마을 골목 곳곳의 벽에 그려놓았으며 계단 전체에 해국을 그려 놓은 스팟은 놓치지 말아야 할 포토존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교회 옆에는 일제강점기 신사가 지금도 남아 있어 시대적 흐름을 읽을 수 있는 골목이 되었다.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감포로 119-6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낙안 읍성은 넓은 평야 지대에 읍성 안에 초가가 형성되면서 자연스럽게 마을이 형성된 곳으로 지금도 많은 주민들이 실생활을 하고 있다.
낙안 읍성은 석성으로 1~2m 크기의 정사각형 자연석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쌓아 끊어진 곳이 없이 미적 감각은 물론이고 웅장하기까지 하다.
1397년 일본군이 침입하자 김빈길이 의병을 일으켜 처음 토성을 쌓았고, 1626년 임경업이 낙안 군수로 부임했을 때 현재의 석성으로 중수하여 현대에 와서 보수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마을은 옛 모습 그대로를 지키고 있는 전통마을로 108세대가 실제로 생활하고 있어 남부지방 특유의 주거양식을 볼 수 있으며 부엌, 토방, 툇마루 등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다.
주소 : 전남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30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영광군에서 시행하고 있는 마을 만들기 사업에 선정된 홍농읍 진덕2리 하삼 마을의 주민들이 마을 곳곳에 아름답게 그려진 벽화로 마을이 환한 분위기로 바낀 정다운 마을이 되었다.
마을 곳곳에 쓰러져 가는 담장을 일제 재정비 후 아름다운 벽화들로 새롭게 탈바꿈해 마을의 경관을 개선해 주민에게 호평을 받고 있긴 하지만 벽화는 관리가 제대로 되어야만 빛을 발한다.
여러가지 테마로 이루어진 골목에는 이국적인 정서도 피어나지만 마을 과거 역사 속에서 존재하는 스토리가 부족함 점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주소 : 전남 영광군 홍농읍 진덕2리 하삼 마을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바둑 기사인 이세돌의 고향이기도 한 비금도는 마을지붕을 모두 파란색으로 칠하여 블루 마을이라는 애칭을 갖기도 하는데 이는 신안 군청에서 색으로 통일하여 섬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마을마다 돌담 문화가 발달되어 있는데, 마을과는 조금 거리가 떨어져 있는 곳에 내우 우실이 조성되어 있다. 내월 마을은 하누넘 해수욕장 쪽에서 불어오는 재냉기(재넘어에서 부는 바람)로 인해 농사를 망치는 사례가 빈번했다.
그래서 산 능선을 타고 바람이 불어오는 길목에 돌로 담을 쌓고 바람을 막아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고 마을의 재앙을 막기 위해 시도한 것이 현재의 내월리 우실이며 민속 자원으로서 가치가 매우 크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용소길 182-8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1882년 이후의 각종 사회 혼란과 정부의 부패로 민심이 동요하던 가운데 고부군 군수 조병갑의 횡포가 도화선이 되어 농민 혁명을 일으키면서 시작한다.
동학 혁명은 농민이 주축이 되는 운동으로 지배 계층에 대한 조선 시대의 최대의 항쟁이며, 청나라와 일본의 개입으로 결국 실패했으나 후에 3.1운동으로 계승되었다.
이러한 동학 혁명의 전 과정을 고부면 면사무소 인근 망을 벽에 벽화로 그려 동학 혁명의 내용을 알리고 있으며 작은 마을을 여행하는 이들에게 눈으로 역사를 보는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교동3길 5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얼마전 목포가 대한민국 4대 관광 도시 선정되면서 많은 관광객이 목포를 찾게 되면서 도시가 변화를 하기 시작하여 가는 곳마다 스토리를 입혀 아름다운 도시로 바뀌고 있다.
근대화를 소재로 구도심과 문학과 예술이 넘치는 하당권으로 이분화 되면서 주제를 안고 있는 관광 도시로 자리 잡았는데 그 중 드라마나 영화가 촬영되면서 지역이 여행객에게 알려지고 있다.
유달산과 목포항을 중심으로 1987 촬영지, 롱리브더킹 등이 최근에 촬영되었고, 여행과 박물관 등을 둘러 보다 보면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도시가 되었다.
주소 : 전남 목포시 해안로127번길 14-2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요즘은 도시도 신입생이 없어 학교 자체가 폐교되는 곳이 많이 생겨나고 있지만 섬에 있는 분교는 두말하면 잔소리가 될 정도로 거의가 폐교 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금과 도초면에 속한 모든 초등학교는 1곳을 제외하고 분교는 모두 신입생이 없는 관계로 모두 폐교의 길을 걷고 있는 현실이기에 안타까운 실정이다.
폐교가 일반에 매각되거나 재활용의 학교로 거듭나고 있지만 외딴섬일 경우에는 거의가 운동장을 활용하여 수산물을 말리는 맏당으로 탈바꿈 하거나 폐허가 되어 방치되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죽림리 832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정읍천은 내장산의 각종 위락시설, 음식점이 쏟아내는 오·폐수로 심각한 수질오염이 발생하였으나 90년대 중반부터 수질을 검사하고 주민감시를 일상화하면서 깨끗한 1급수가 흐르는 강으로 바뀌었다.
그 결과 현재 하천변은 깨끗한 환경과 맑은 수질로 인해 도심 속의 휴식공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봄이면 철쭉, 개나리, 벚꽃 등 꽃들이 아름답게 피어나 상춘객이 찾아든다.
2025년 벚꽃 축제를 거닐다가 시기동에서 내장산동에 거쳐 피어난 벚꽃을 보며 이학수 시장 이하 지역의 시의원의 지역 발전을 위한 노력들이 외관으로 나타나면서 과정들이 꽃과 함께 피어나고 있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공평동 일대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정읍시 칠보에 자리하고 있는 은석제는 작은 소류지이기에 마을 주민들은 방죽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지만 본래 이름은 은석제라고 부른다.
주변에는 세계 문화 유산인 무성서원이 있기에 많은 관광객이 오는 곳이며 여름에는 물놀이 테마 파크가 있어 어린 아이들을 둔 가족 단위의 피서객이 많이 찾는 장소이기도 하다.
은석제는 거의 옛 모습을 찾기 힘들지만 작은 소류지로 가끔 낚시하는 분들이 머물기도 하고 있고 발품을 팔면 지난 모습을 볼 수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785-2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금산 보석 마을은 천년 된 은행 나무로 유명한 보석사와 봄이면 붉게 피어나는 홍도화와 하얗게 올라 오는 조팝 꽃이 이어서 피어나면서 봄에서 여름까지 꽃을 즐기는 마을이 곁에 있어 지나는 길에 만나게 되는 곳이다.
입구에는 정미소가 있으며 몇 가구 되진 않지만 옹기 종기 마을이 모여서 형성 된 곳이기에 한 눈에 마을 전경이 눈에 들어 오는 곳이기도 하다.
주민을 만나 잠시 이야기를 들어 보니 귀농한 분들이 몇년을 살다가 다시 도시로 떠나는 일이 빈번해서 요즘은 외지에서 귀농하는 분들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주소 : 충남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마을/학교(폐교) 그리운 추억]
정읍 솔티 마을은 내장산 국립 공원과 인접하여 한적하게 걷기에 좋은 마을 중에 하나이며 솔티 숲은 마을과 자연이 공존하며 살아가는 생태 마을이다.
솔티 마을은 국립 공원과 상수원 보호 지역으로 지정되다 보니 자연스럽게 생태 환경으로 가득한 지역이 되었으며 천년의 숲이라 말할 수 있는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마을이다.
원시적 자연을 소재로 솔티 숲에서는 초록 원정대와 에코버딩 생태 해설 프로그램과 함께 다양한 역사‧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 마을이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첨단과학로 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