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나주 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에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며, 태조 7년에 세워 제사와 교육기능을 수행하다가 신학제 이후는 제사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대성전은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보다 위쪽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지만 나주 향교는 명륜당과 대성전의 자리가 바뀌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팔작 지붕이며,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인데, 기둥 사이에는 꽃 모양의 받침을 만들어 위에 있는 부재를 받치고 있다. 건물 안쪽 바닥은 마루를 깔았고, 천장은 뼈대가 다 드러나는 연등 천장으로 꾸몄다.
주소 : 전남 나주시 향교길 36-11 (교동)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1937년 광주지목구가 설립된 후 최초로 선교를 위한 거점으로 사용된 건물로, 정면 중앙부의 반원아치와 필라스터로 장식된 현관 포치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고, 처마선 아래와 층간 사이에 수평 돌림띠로 장식하고 수직의 긴창을 반복적으로 배치하였다.
내부의 목조 계단·천장의 석고 플라스터 몰딩·행거 미서기 문 등 전체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광주교구 최초의 교구청으로 사용되었다.
교구청이 광주로 이전한 후 성 골롬반외방선교수녀회 수녀원 목포분원과 병원 및 간호전문대학으로 사용되는 등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초기역사와 성 골롬반외방전 교회의 의료 선교의 역사를 알 수 있다.
주소 : 전남 목포시 노송길 35(산정동)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예로부터 군자가 많이 살았다 해 고금도라는 이름을 얻은 섬도 있는데 섬의 끝자락에는 이순신 장군이 해전에서 전사한 후 마지막으로 잠시 묻혔던 유허지가 남아있다.
완도 본섬을 제외하면 가장 크고 넓은 섬인 고금도는 충무공 이순신이 노량 해전에서 전사한 뒤 83일 간 묻혀 있던 곳이기도 하다.
이순신 장군을 모셨던 묘당도에는 지금도 제사를 지내는 충무사가 있으며 신비로운 섬 고금도에는 무려 1700여년이나 갯벌에 잠들어 있다가 불상으로 재탄생한 침향목이 발견되기도 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고금면 덕동리 703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녹동 우체국은 1920년대 후반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우체국 용도의 공간과 가정 생활을 위한 주거 공간이 한 지붕 아래 구성된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풍양 농협조합은 1933년 건립되었으며, 이 건물은 현재까지도 건물의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을 만큼 튼튼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해풍에 직접 노출되는 해안가에 있으면서도 긴 세월 동안 잘 유지되고 있으며, 건물 내부에 남아 있는 금고는 당시 지방에서는 보기 드물게 일본에서 직수입된 것이라고 한다.
주소 1 : 전남 고흥군 도양읍 녹동쌍충길 7-4
주소 2 : 전남 고흥군 풍양면 천마로 1473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증도대교 개통이후에 임자대교 개통으로 2년만에 벌써 100만대가 임자도를 찾을 정도로 핫플 섬으로 변신하였으니 연륙교 하나가 문화를 만들어낸 섬으로 바뀌게 하였음을 새삼 느끼게 된다.
선박을 이용하여 도선을 했을 때만 해도 임자도는 불편한 섬으로 남아 있었지만 현군수의 문화적 마인드가 새로운 꽃 섬으로 만들어 놓았으니 박수를 보내고 싶을 문화 마인드이다.
올 해는 벚꽃의 개화가 2주 먼저 피는 바람에 꽃보기 전에 져버린 슬픈 봄이었지만 아름다운 섬 임자도에 또다른 튤립 정원에 꽃이 피어나 가는 봄을 조금 더 볼 수 있게 해줌에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임자면 대기리 2523-10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칠산대교 개통으로 무안군과 영광군이 하나가 된 뒤로 교통의 용이로 많은 여행객이 찾아오는 장소가 도리포가 되었는데 봄을 맞으면서 유채가 피어나 주변을 노란 바다로 만들어 주고 있다.
드넓은 대지에 유채가 노란 물결로 움직이고 마주 보이는 칠산 앞바다가 노란 파도로 답하고 있는 아름다운 봄맞이 장소로 탈바꿈 하였다.
2년여의 코로나로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노란 봄을 맞이하는 아름다운 늦봄을 도리포에서 가져보는 것도 힐링의 요소로 충분할 장소가 될 도리포 유채밭 축제를 권해보고 싶다.
주소 : 전남 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30-4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장성은 노란색의 도시로 알려져 있는데 황룡강에 10억 송이의 꽃을 심어 노란 꽃길을 만들어 황화코스모스, 핑크 뮬리 그라스 등의 꽃을 볼 수 있다.
축제 기간에는 가을꽃을 주제별로 관람할 수 있도록 3개의 정원을 구성해놓는데 태양정원은 장안대교에서 황미르랜드까지 총 0.8km에 해당하는 구간에 이르며 황룡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고 태양의 노란색 빛을 통해 옐로우시티 장성을 희망의 해바라기 등으로 표현했다.
오색정원은 제2황룡교에서 서삼교까지 총 1.4km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황룡의 꼬리 부분에 해당하고 오색의 컬러를 담아 청렴메카 장성을 하얀 메밀꽃 등으로 표현했다.
주소 : 장성군 황룡강 일대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강진 전라 병영성은 조선 1417년(태종 17년)에 초대 병마도절제사 마천목 장군이 축조하여 1895년(고종 32년) 갑오경장까지 전라도와 제주도를 포함한 53주 6진을 총괄한 육군의 총지휘부 역사를 지닌 성이다.
수많은 역사와 일화 속에 민족저항 정신의 산 증거로 존속되어 왔으며, 1894년 동학농민전쟁으로 불타고 곧 이은 갑오경장의 신제도로 폐영되었다.
이후 복원 사업에 치중하여 5년동안 진행중이며 현재도 복원에 공사를 이어가고 있으며 유적은 소실되어 없었으며, 성곽만 일부 남아 있는 상태를 읍성의 형태로 타원형의 성벽을 축조하였다.
주소 : 전남 강진군 병영면 병영성로 180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하얀 목련이 필때면 다시 생각나는 사람
봄비내린 거리마다 슬픈 그대 뒷모습
하얀 눈이 내리던 어느날 우리 따스한 기억들
언제까지 내 사랑이어라 내사랑이어라
거리엔 다정한 연인들 혼자서 걷는 외로운 나
아름다운 사랑얘기를 잊을수 있을까
그대 떠난 봄처럼 다시 목련은 피어나고
아픈가슴 빈자리엔 하얀 목련이 진다
어쩌면 목련은 봄의 전령사 역할을 하는 하늘을 향한 꽃일지도 모르겠다. 2월의 동백이 지며 내는 소리에 고개를 들어 하늘을 바라보면 하얗게 피어나는 목련의 자태가 봄을 내리게 하는지도...
주소 : 전남 해남군 송지면 미황사길에서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보성 대한 다원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일본인 차전문 기술자들에 의하여 우리 나라에서 최적의 홍차재배지로 선정되면서 재배가 된 곳이다.
1940년 베니오마레라는 인도산 차종자를 수입하여지금의 장소에 씨를 뿌린 것이 시초가 되면서 오늘에 이르러 보성의 랜드마크가 되었다.
차나무는 본래 연중 날씨가 따뜻하고, 연중 1,500㎜ 이상의 비가 내려야 하는 해양성기후에 알맞은 온대식물이지만 대륙성기후와 해양성기후가 교차하는 곳에 위치하여 안개가 많이 끼므로 수분의 함량이 많아 차재배의 조건이 비교적 알맞은 곳이다.
주소 : 전남 보성군 보성읍 녹차로 763-43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전남 함평에 광복 77주년을 맞아 상해임시정부 청사 역사관과 일강 김철 선생 기념관이 복원되어 여행객에게 애국심을 심어주고 있다.
근대 역사 여행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장소이기에 일제강점기의 애국지사의 고난과 항쟁의 역사를 복원된 임시정부에서 모두 찾아볼 수 있다.
상해임시정부 청사 역사관은 임시정부가 상해에서 네 번째로 마련했던 청사이자 가장 오랜 기간 사용했던 건물을 그대로 재현한 공간이다.
주소 : 전남 함평군 신광면 일강로 873-12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조선소가 들어선 후에 조용하던 삼호는 많은 사람들이 붐비는 도시로 바뀐 뒤 호텔이 들어서고 많은 변화를 가져온 도시로 탈바꿈하였다.
삼호는 목포시와 영암군 사이에 위치하여 두 도시를 이어주는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포대교가 완공되어 해남으로 이어지는 길이 가까워졌다.
하구둑이 생기기전에는 목포에서 철부선으로 이동하였지만 지금은 육지가 되어 유명했던 갯벌로 사라져 세발낚지의 고장이라는 수식어도 사라진 곳이다.
주소 : 전남 영암군 삼호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