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도서]
진도 소마도는 관매도를 가기 위해 잠시 들리는 섬으로 하루 두 차례의 철부선이 오기에 교통이 그렇게 불편하지 않는 섬으로 남아 있다.
섬앤산이라는 스템프투어를 하는 이들에게는 익히 알려져 있는 섬이긴 하지만 일반인에게는 이름조차도 낯선 섬이라고 할 수 있다.
드론으로 섬 전체를 보면 섬의 모양이 말을 닮아 유래한 지명이며, 남쪽의 대마도보다 작은 섬이어서 소마도라고 하며 조선시대에는 군마를 길렀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소마도리
[유인도서]
진도 서망항에서 조도 방향으로 나가다 보면 맨처음 만나게 되는 섬이 죽도인데 1인가구가 사슴 농장을 운영하고 있고 어선을 이용해야 하는 섬이다.
섬의 최고점은 66m정도이지만 육지로 보면 2백미터 정도의 체감으로 오를 수 있으며 굴포항에서 2.7㎞ 떨어져 있다.
섬에는 대나무 일종인 시누대가 대부분 숲을 이루고 있어 죽도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남동해안에 해변은해식애가 발달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민족정기를 말살시키고자 섬에 쇠말뚝을 박았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
[유인도서]
비가 오면 환상적인 아름다움으로 바뀌는 다물도는
신라 흥덕왕 때에 장보고가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
하고 당나라와 교역을 하던 중 다물도에 입도했다는 기록이 있다.
다물도 촛대바위 인근 해역은 얼마전 개봉했던 한산의 한산대첩 배경이 된 바다이며 영화 장면에서 촛대바위의 위상이 그대로 보여진다.
안개가 내리면 섬 자체가 안개에 가려져 환상적인
아름다움을 보게 되는 섬이며, 지명은 해산물이
풍부하고 고기가 많이 잡혀 다물도라 부른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다물도리 255
[유인도서]
해남 어불도는 어란진 항에서 불과 1km 떨어져 있는 섬이며, 섬에 속한 어란진항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군사시설로 이용하던 곳이다.
명량해전의 전초전으로 알려진 어란포 해전의 장소이다보니 역사가 흐르는 바다와 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유인도서이다.
어란리 어항과 마주하고 있는 어불도는 방파제 역할을 하여 어란진이 천혜의 포구가 되었으며 등대가 있는 쪽의 해안선은 관매도의 지질과 흡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조선의 한 여인이 스파이가 되어 적진에 들어갔다가 적장과 사랑에 빠졌지만 결국 조선을 구하기 위해 첩보를 전하고 애인을 죽게한 죄책감으로 자결한 설화가 전해지는 섬이다.
주소 : 전남 해남군 송지면 어란리
[유인도서]
독도는 다른 역사등대가 있는 섬과는 달리 우리 영해에 해당하는 곳인지라 언제나 일본의 억지 주장에 외교분쟁이 있는 섬이기에 더욱 애착이 가는 섬이다.
동해의 끝자락에서 우리의 영토를 보호하고 있다는 상징적 의미가 큰 섬이다.
1953년 일본 선박이 독도 수역을 침범하고, 일본 관리들이 독도에 상륙하는 일이 발생하자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천명하기 위하여 1954년 독도등대를 설치하게 되었다.
독도는 동도와 서도로 구별되며 현재 서도는 무인도서로 남아 있으며 동도는 해경이 상주하여 우리의 여해를 지키고 있다.
주소 :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63
[유인도서]
현재 전북에서 섬으로만 이루어진 유일한 면에 속하는 위도는 20년전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로 많은 아픔을 안고 있었지만 지금은 상처를 극복한 섬이다.
위도 및 식도와 영해 표지가 있는 왕등도와 거륜도 등 몇몇 부속 도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북에서 가장 큰 섬으로 자리하고 있다.
격포항에서 위도 파장금항 및 식도, 왕등도를 잇는 여객선이 매일 여러 차례 도선과 더불어 운항되고 있기에 접근하기가 쉬운 섬이다.
사진에서는 볼거리가 위도에는 많지만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남단 등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다.
주소 : 전북 부안군 부안면 위도리
[유인도서]
기섬은 얼마전에 신안군에서 철부선이 올 수 있도록 허가하여 주민들이 감사한 마음에 신안군수님께 감사의 플랭카드를 걸어 둔 섬이다.
작은 섬이고 현재 1사람이 30년전에 미국에 건너 가기 전 이 섬을 매입하여 개인섬으로 되어 있을 정도로 작은 섬이다.
몇년전 주인이 들어오기전까지 군초소가 있었으나 지금은 초소도 폐쇄되어 1인섬으로 남아 있고 인근 매화도를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압해읍 매화길 633-92
[유인도서]
보길도는 완도항과 해남 땅끝항에서 입도를 하게 되는데 들어갈 때는 완도항에서 소안도를 간 뒤에 노화도로 나와 보길도를 들리는 것이 가장 좋다.
보길도는 고산 윤선도가 제주도로 가다 심한 태풍을 피하기 위해 이곳에 들렀다가 수려한 산수에 매료되어, 이곳 동명을 부용동이라고 명명하고 머문 섬이다.
10여 년을 머물면서 세연정, 낙서재 등 건물 25동을 건축하고 연시조 작품인 어부사시사를 썼으며, 남쪽에 위치한 예송리 해수욕장, 천연기념물 제40호인 예송리 상록수림과 몽돌해수욕장이 아름답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보길면 보길도
[유인도서]
상마도는 상,중,하도의 3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공에서 보면 테트리스 게임 형태로 조각을 맞추는 듯한 형태의 모습을 띄고 있다.
상마도는 상마군도 중에서 가장 위쪽에 있는 섬으로, 섬의 형태가 말과 같다 하여 상마도라 불려왔고 현재는 해남의 유인도서 10개의 섬 중 하나이다.
상마도의 특이한 점은 물이 빠지는 간조에는 하루에 두 차례 두 섬이 연결된다는 것인데 시간 때가 맞으면 경이로운 체험을 하게 되는 섬이다.
주소 : 전남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
[유인도서]
가거도는 우리나라 최서남단에 위치해 국토 끝단을 지키는 영토이자 아름다운 자연경관 속에 녹아든 자연환경 자체가 보물인 섬으로 남아 있다.
6.25때도 주민들이 전쟁 사실을 몰랐을 정도로 외지에 있는 외딴섬이기에 지금도 생태환경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산거머리가 서식할 정도인 섬이다.
가거도에는 등대와 더불어 옛날 생활양식을 엿볼 수 있는 신석기 유적지와 구굴도와 함께 자연경관과 해넘이가 아름다운 명승 섬등반도가 있다. 해안절경 등은 태고의 신비감을 안겨준다.
최초 점등일 : 1907년 12월 1일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유인도서]
완도군에 위치한 덕우도는 지명 유래를 보면 덕우도는 살찐 소가 앉아 있는 것과 같은 모습이어서 붙여진 이름에서 유래한 섬이다.
덕우도에 사람이 터 잡고 살기 시작한 것은 350여 년 전부터로 알려지고 있다. 약 350년 전에 초계 최씨가 전남 장흥에서 들어와 일가를 형성하였다.
등대는 맞은편에 위치한 소덕우도와 함께 완도 해협을 지키고 있으며 덕우도 서쪽 끝단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11월 20일
주소 : 전남 완도군 생일면 봉선리 산 21
[유인도서]
제주 우도는 성산항에서 2곳의 선착장으로 매일 운항하기에 여행객이 선택해서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여행객이 붐비는 섬에 해당한다.
우도는 전체를 한나절이면 다 돌아볼 수 있기에 제주에 가는 여행객은 방문 1순위에 해당할 정도로 뛰어난 경치를 안고 있는 섬이다.
지금은 주말에는 렌트카는 입도하지 못하고 입도한 후 스쿠터나 자전거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은 있지만 나름 걸어보는 것도 권해보고 싶다.
주소 : 제주 제주시 우도면 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