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
신안 홍도 외도는 북쪽 바다에 크고 작은 바위섬들이 여럿이 모여 여틀바다라고 불리는 섬들 중에서 직사각 형태이며 중앙에 구멍이 뚫린 바위섬이다.
이 무인도서는 그리 높지 않은 고도이며 서대문구에 있는 독립문과 비슷하며 군산 방축도 독립문 바위보다는 그 크기와 높이가 높다.
독립문 바위 모양은 파랑이 집중된 곳이 침식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홍도의 부속 섬이며 유람선을 타고 관광할 시 마지막 코스에 해당하는 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해변/해수욕장]
홍도는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인 섬인지라 1년내내 관광 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어서 어디를 가던 아름다운 곳을 만나게 된다.
특히 2구 몽돌 해수욕장은 유람선 관광을 하며 선장에게 부탁하여 2구에서 하선할 수도 있고, 좀 길고 험준 하지만 깃대봉을 넘어올 수도 있다.
2구 선착장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어 해수욕을 즐길 수 있으며 노을이 들무렵 파도에 휩쓸리는 몽돌의 노래를 감상할 수 있는 해수욕장이다.
주소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산28-1
[무인도서]
추자군도는 제주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서부와 제주도의 중간 지점에 있고 상추자도·하추자도·횡간도·추포도 등 4개의 유인도와 38개의 무인도가 있다.
이 중 상추자도와 하추자도는 비교적 크나, 나머지 도서는 면적이 작은 섬이며 특히 멸치잡이로 유명하기에 멸치잡이 시기에는 밤바다에 장관을 이룬다.
제주에서 육지로 나가는 오후 시간에서 밤바다에서 보는 추자군도의 멋은 노을 속에서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모습을 연출해 낸다.
주소 : 제주 제주시 추자면
[해변/해수욕장]
남해 돌섬은 모상개 해수욕장과 해변에서 비켜 보이며 바로 앞에 수우도를 바라보고 있는 섬이자 해변가가 아름다운 절경으로 유명한 곳이다.
남해 먼 바다에서 밀려오는 파도 소리가 아름답게 들리는 곡선형의 해안을 안고 있으며 바로 앞 작은 섬인 모섬 사이로 일출이 아름답다.
파도가 심한 날은 갯가를 걷기 힘들지만 해파랑길이 지나는 길목이기에 걷기 명소로도 알려진 해안이지만 산에서 직선길로 내려가야 하기에 안전에 유의해야할 섬이다.
주소 : 경남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유인도서]
남해 돌섬은 모상개 해수욕장과 해변에서 비켜 보이며 바로 앞에 수우도를 바라보고 있는 섬이자 해변가가 아름다운 절경으로 유명한 곳이다.
남해 먼 바다에서 밀려오는 파도 소리가 아름답게 들리는 곡선형의 해안을 안고 있으며 바로 앞 작은 섬인 모섬 사이로 일출이 아름답다.
파도가 심한 날은 갯가를 걷기 힘들지만 해파랑길이 지나는 길목이기에 걷기 명소로도 알려진 해안이지만 산에서 직선길로 내려가야 하기에 안전에 유의해야할 섬이다.
주소 : 경남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무인도서]
신안 외교도(外橋島)는 작은 무인도서로써 증도 수로의 남서쪽 끝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며 외곽 중심부에는 배의 앞머리를 형상으로 제작된 무인등대가 있다.
먼발치로 외교도를 바라보면 배가 앞으로 나오는 듯한 등대의 모습이 보이며 외교도는 밖다리섬, 혹은 바깥다리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등대와 남쪽에 위치한 증도 사이의 만입부에 해당하는 해역은 양식장의 시설물들이 잔뜩 자리하고 있어 외부에서 오는 선박은 주의를 요하는 곳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지도읍 당촌리 산 277-1
[무인도서]
부산시에 속한 두도는 육지와 가까워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 섬이기도 하나 전망이 좋아 많은 여행객이 암남 공원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섬이다.
북쪽으로는 기암절벽의 뛰어난 절경이 아름다우며 최상의 도심 공원인 암남 공원이 있고, 서북쪽으로는 감천항이 바라보인다.
섬 주위로는 해식애가 발달해 있고 비교적 규모가 큰 해식동이 약 15개 있을 정도로 파도가 거세고 지형 자연사 유적이 즐비한 섬 중에 하나이다.
최초 점등일 : 1980년 12월 20일
주소 : 부산시 서구 암남동 두도
[무인도서]
해남 동도는 임하대교를 건너자 마자 보이는 앞여를 지나 끝까지 들어가다 보면 만나게 되는 선착장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다.
작은 주차장을 지나 간조에 바닥이 들어나면 걸어들어가서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30분 이내이기에 산보하는 마음으로 돌아볼 수 있다.
노을과 동시에 임하도 등대 앞바다에서 노니는 상쾡이를 육지에서 관람할 수 있기에 육지에서 보는 색다른 여행을 체험할 수 있는 섬이다.
주소 : 전남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무인도서]
해남군에 속한 앞여는 흰끝앞여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노을이 들 무렵 몇그루가 서 있는 소나무가 노을 속에서 보이기에 노을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임하대교 개통된 뒤로 앞여와 동도, 임하도를 간조에는 세 섬 모두를 걸어 들어갈 수가 있어 낚시를 취미로 하는 이들에게는 최적의 장소이기도 하다.
바닷물의 깊이를 측정한 기본 수준점 표시가 3군데 있어 간조에 걸어 들어 가면서 밑을 보면 만나게 되는데 처음 보는 여행객에게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주소 : 전남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유인도서]
진도 소마도는 관매도를 가기 위해 잠시 들리는 섬으로 하루 두 차례의 철부선이 오기에 교통이 그렇게 불편하지 않는 섬으로 남아 있다.
섬앤산이라는 스템프투어를 하는 이들에게는 익히 알려져 있는 섬이긴 하지만 일반인에게는 이름조차도 낯선 섬이라고 할 수 있다.
드론으로 섬 전체를 보면 섬의 모양이 말을 닮아 유래한 지명이며, 남쪽의 대마도보다 작은 섬이어서 소마도라고 하며 조선시대에는 군마를 길렀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소마도리
[유인도서]
진도 서망항에서 조도 방향으로 나가다 보면 맨처음 만나게 되는 섬이 죽도인데 1인가구가 사슴 농장을 운영하고 있고 어선을 이용해야 하는 섬이다.
섬의 최고점은 66m정도이지만 육지로 보면 2백미터 정도의 체감으로 오를 수 있으며 굴포항에서 2.7㎞ 떨어져 있다.
섬에는 대나무 일종인 시누대가 대부분 숲을 이루고 있어 죽도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남동해안에 해변은해식애가 발달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민족정기를 말살시키고자 섬에 쇠말뚝을 박았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
[무인도서]
해남 임하도에는 높이 7.5m의 무인 등대가 있는데 진도와 해남 사이의 울돌목으로 진입하는 서쪽 출입구 외곽에 자리하고 있다.
최근에 둘레길이 생겨 나무 데크길이 완성되어 걷기에 편하고 내륙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이며 방문 시간이 맞으면 상쾡이를 볼 수 있는 장소이다.
목포와 해남의 우수영 사이를 지나는 선박들과 목포에서 제주를 왕래하는 선박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서해가 내려다 보이는 길목이 아름답다.
주소 :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산40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