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여수 소횡간도의 이름에 관련된 유래는 두 가지가 전해 오고 있는데 하나는 돌산 신복리에 복병끝이라는 지명이 있는데 풍수지리설에 따라 이 지역을 빗긴다 하여 빗간이라고 불러 오다 빗길횡간(橫干)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 하나는 임진왜란 때 왜병들이 바다에서 화살을 쏘면 이 섬이 막고 있어 빗겨 나갔다 하여 횡간이라 하였다고 전해 온다.
섬 전체 가구수는 4가구 정도 밖에 안되는 작은 섬이지만 한적한 여행을 원할시는 한나절을 머무르기에 좋은 섬이지만 모든 생필품을 사서 들어가야 한다.
주소 : 전남 여수시 남면 횡간리 32
[무인도서를 만나다]
거문도 동도 선착장에서 뱃길로 10여분을 가면 만나는 섬이 소삼삼부도와 둥근섬인데 동도를 마주보고 있는 섬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작년에 여수시에서 환경보호 차원에 모든 갯바위 낚시 금지를 실시하여 어민들과 마찰이 심해지긴 했지만 일부 비양심적인 낚시인에게 경종을 울렸다.
둥근섬은 해발고도가 65미터에 불과하지만 외형적으로는 상당히 가파르게 보이며 해안은 절벽과 전체적으로 하나의 바위가 섬이된 모습으로 소삼부도 섬과 나란히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동도리 산 117
[무인도서를 만나다]
거문도 동도 선착장에서 뱃길로 10여분을 가면 만나는 섬이 소삼삼부도인데 둥근섬과 함께 동도를 마주보고 있는 섬이 소삼부도이다.
작년에 여수시에서 환경보호 차원에 모든 갯바위 낚시 금지를 실시하여 어민들과 마찰이 심해지긴 했지만 일부 비양심적인 낚시인에게 경종을 울렸다.
소삼부도는 해안은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식동굴과 부분적 소규모 염풍화혈이 절벽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백악기 안산암질응회암에 해당하며 수직형 절벽을 이루고 있는 곳에 무인등대가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동도리 산 116
[무인도서를 만나다]
남해 백도는 백서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해안 절벽은 급경사를 보이며 등대로 오르는 길은 넓게 퍼져 있는 듯 하게 보이지만 앞 쪽 역시 급경사면이다.
여수항으로 들어가는 중간 지점에 작은 바위섬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큰 화물선의 경로이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가 있는 섬이다.
바다 한가운데 위치하여 바라보는 것만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항해하는 선박이 안전항해를 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고 있다.
해식애와 절리가 발달되어 있으며 지질은 백악기 안산암이다.
주소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2224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남해 백도는 백서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해안 절벽은 급경사를 보이며 등대로 오르는 길은 넓게 퍼져 있는 듯 하게 보이지만 앞 쪽 역시 급경사면이다.
여수항으로 들어가는 중간 지점에 작은 바위섬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큰 화물선의 경로이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가 있는 섬이다.
바다 한가운데 위치하여 바라보는 것만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항해하는 선박이 안전항해를 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고 있다.
주소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2224
[무인도서를 만나다]
여수 문서는 해수부 관리에서 미지정된 무인도서로써 왼편 정상에 무인등대가 서 있는 작은 여에 해당하며 아름다운 절경을 갖춘 상백도 가는길목에 있다.
주변에는 작은여에 해당하는 4개의 섬과 마주하고 있으며 등대가 없으면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위험 요소가 다분히 존재하는 수로에 있다.
항로는 삼천포에서 제주간을 오가는 항로가 되기에 주로 큰 배가 지나가는 항로이며 주변 물살이 거세고 언제나 풍랑이 일어 안전운항이 요구되는 항로이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동도리 산 124
[무인도서를 만나다]
여수 소두기리섬은 마름모꼴 형태로 하나의 큰 바위로 형성된 섬이며 섬이라기 보다는 암초에 가까운 크기라고 보면 적당할 듯 싶다.
전체가 주상절리의 입각형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바로 앞 대두역서와 마주 하고 있으며 보면 볼수록 매료되는 섬이기에 한참을 넋을 놓고 보게 된다.
이 해역은 한반도 연안의 유조선 통항 금지해역의 기준점이 되는 곳이기도 하기에 등대섬의 위치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산 1773
[무인도서를 만나다]
여수 대두역서는 거문도를 가는 방향으로 가다가 만나게 되는 무인도서이며 좌측 정상 모서리에 무인등대가 서 있는 외딴섬이다.
섬의 구성암질은 백악기 안산암 및 안산암질 응회암, 주상절리 발달되었으며 북동방향 사다리꼴형태, 남서 방향으로 경사가 다소 완만한 지형이다.
그 외 해안은 직벽 형태이기에 경관이 우수하며 주변 해역 경관이 아름다우며 멀리서 보면 삼각형 모양의 섬이 관찰되는 독특한 구조의 섬이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산 1774
[무인도서를 만나다]
여수 고여도(고서)는 작은 바위섬인 납덕고여와 함께 1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무인도서이며 파도가 거세서 낚시꾼 외에는 인적을 찾아 보기 힘들다.
고여도 정상에는 무인등대가 있으며 나로도쪽 해상에서 여수항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연안여객선들에게 항로표지가 되는 등대가 되고 있다.
고여도 해당 구간의 협수로를 통과하면 여수 앞바다까지 잠시 넓은 수로를 항해할 수 있게 되며 중간에 위치한 고여도인지라 항해시 주의해야 한다.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개도리 산765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일반적으로 등대는 콘크리트 입석형으로 흰색 페인트 칠이 더해진 경우가 많은데 경치도는 겉면에 타일로 이루어져 있어 세월이 흘러도 웅장함이 있다.
앞바다인 우이도와 도초도를 사이에 두고 있는 무인도서이지만 그 외관이 타포니와 해식애 그리고 동굴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섬이다. 특히 외관이 빼어난 절경으로 유명한 관매도의 축소판으로 보인다.
절대보전 섬으로 입도는 허가 후에 해야하기에 까다로운 절차가 있어 어렵고 섬을 돌아 보며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하는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주소 : 도초면 우이도리 산587-1
[무인도서를 만나다]
고흥군에 속한 고금 오동도 무인도서는 같은 여수지방해양수산청 관할의 유인섬인 오동도와 이름이 같아 다른이들에게는 생소한 동명의 섬이다.
등대는 보는 위치에 따라 오동도의 섬 중앙과 남쪽 끝자락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섬의 동편은 거금도와 가까이 마주하고 있는 협수로이며, 서편에는 금당도가 위치하고 있다.
등대가 있는 오동도는 둥근 타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에 등대가 위치하고 있기에 양 방향으로 항해하는 선박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주소 : 전남 고흥군 금산면 신전리 산 126-1
[기적의 바다를 걷다]
닭벼슬섬은 구름다리 완공으로 섬으로 걸어서 들어갈 수 있지만 간조에 섬 둘레를 걸어보는 맛이 참맛이기에 만조보다는 간조에 들어가 보기를 권하는 섬이다.
갯벌 체험과 주변 풍경이 아름다워서 노을이 들 무렵은 많은 여행객이 몰리는 장소 중 하나이며 이곳에 눈이 내리면 아름다움을 더해주는 섬이 된다.
섬의 정상 모양이 닭벼슬을 닮아서 닭이섬으로 불리고 있으며 재질은 화강암으로 구성된 간석지형이 주를 이루고 해식애와 해식동이 있다.
보령에 때아닌 폭설이 내려 바다 전체가 설국이 된 듯한 느낌에 닭벼슬섬 역시 아름다운 모습으로 태어났다.
주소 : 충남 보령시 무창포 닭벼슬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