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구/선착장]
경주 척사항은 얕고 스노쿨링을 할 수 있는 해변이 있어 취미 생활을 겸할 수 있는 장소로 많은 이들에게 알려진 항구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야간에 성덕대왕 신종으로 불리는 에밀레 종 모양의 방파제 등대가 이색 등대로 만들어지면서 등대 여행을 하는 이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고 있다.
작은 항구이긴 하나 등대 하나만으로 등대 여행을 하는 이들에게는 찾는 재미와 동기를 부여하고 있어 이색 등대로써 자리 잡은 항구 이다.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척사길
[항구/선착장]
전촌항은 지난 2004년 정부의 어촌 관광 단지 조성 사업 지구로 선정되어 관광 어항으로 탈바꿈 하였으며 환경 정리에 신경 쓴 흔적이 역력한 항구이다.
특히 전촌항 전망대에서 내려다 보는 평화로운 항구의 풍경이 인상적이며 방파제에 야간 경관 조명도 설치해 밤이면 빛나는 항구가 되었으며 전촌항 입구의 말 조형물, 일명 거마상도 볼거리이다.
전촌항 인근에 거마장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전촌항 북쪽 산세가 마치 말이 누워 있는 형국이라 하여 거마산이라 불렀으며 이와 관계된 말 형상의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전촌리
[항구/선착장]
국내에 수많은 항구 중에 여러 볼거리와 주변 문화재 그리고 먹거리까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항구를 꼽으라 하면 주저하지 않고 감포항을 꼽을 수 있다.
감포항은 방파제 등대도 역시 감은사지 3층석탑을 그대로 형태를 본떠 제작하여 항구를 드나드는 어선의 안전과 아름다움을 더하여 지켜주고 있다.
요즘은 어디를 가나 지자체와 해수부가 방파제 등대를 디자인으로 화하여 설치한 후 일반에 공개하고 있는데 보는 이로 하여금 미소를 짓게 한다.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감포리
[기적의 바다 갈라짐]
진섬은 군산 신시도에 속한 섬이며 간조에 3개의 섬으로 이어져 있으며 연륙교 공사로 앞 섬과 함께 분리된 무인도서이며 간조에는 갯벌로 육지와 연결되어 걸어 들어갈 수 있다.
해발 고도는 16미터 정도 밖에 되지 않고 섬 주변을 모두 갯가길로 돌아도 20여분 정도 걸리는 작은 섬이며 파식대와 해식애가 주를 이룬다.
남서쪽 방향에는 해침에 의해 발생된 작은 계곡을 따라 자갈과 몽돌 해변이 형성되어 있고 담홍색 유문암과 부분적인 적색 사암이 신시도와 무녀도에 주로 보이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산 77
[무인도서]
진섬은 군산 신시도에 속한 섬이며 간조에 3개의 섬으로 이어져 있으며 연륙교 공사로 앞 섬과 함께 분리된 무인도서이며 간조에는 갯벌로 육지와 연결되어 걸어 들어갈 수 있다.
해발 고도는 16미터 정도 밖에 되지 않고 섬 주변을 모두 갯가길로 돌아도 20여분 정도 걸리는 작은 섬이며 파식대와 해식애가 주를 이룬다.
남서쪽 방향에는 해침에 의해 발생된 작은 계곡을 따라 자갈과 몽돌 해변이 형성되어 있고 담홍색 유문암과 부분적인 적색 사암이 신시도와 무녀도에 주로 보이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 산 77
[무인도서]
제주 서귀포항에서 남서쪽으로 5㎞해상에 위치한 범섬은 멀리서 바라보면 큰 호랑이가 웅크리고 앉은 모습과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 섬에는 해식 쌍굴이 뚫려있는데 제주도를 만들었다는 설문대할망이 한라산을 베개삼아 누울 때 뻗은 두발이 뚫어놓았다는 재미있는 전설이 있다.
국내 섬 중에서 외관이 가장 수려하면서도 면면이 기괴한 이섬의 자태는 신비함을 자아내는데 육지에서 보는 주상절리와는 현저한 차이가 난다.
제2범섬은 본섬을 순환하면서 모서리를 돌면서 보게 되는데 보는 순간 주상절리를 보며 감탄을 하게 된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법환동
[무인도서]
제주 서귀포항에서 남서쪽으로 5㎞해상에 위치한 범섬은 멀리서 바라보면 큰 호랑이가 웅크리고 앉은 모습과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 섬에는 해식 쌍굴이 뚫려있는데 제주도를 만들었다는 설문대 할망이 한라산을 베개 삼아 누울 때 뻗은 두발이 뚫어 놓았다는 재미있는 전설이 있다.
국내 섬 중에서 외관이 가장 수려하면서도 면면이 기괴한 이섬의 자태는 신비함을 자아내는데 육지에서 보는 주상절리와는 현저한 차이가 난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법환동
[기적의 바다 갈라짐]
육지와 데크로 이어진 홍성 모도는 죽도 부속섬 모도와는 다른 섬이지만 대체로 모도라는 이름으로 되어 있는 섬은 간조에 섬끼리 이어지는 섬이 대부분이다.
홍성 모도 역시 얼마전 육지와의 데크길로 이어져서 만조에도 섬에 걸어 들어갈 수 있기에 바다를 바라 보는 시야가 더 넓어졌다.
데크 입구에 속동 전망대라는 타워가 개통되어 바다를 폭넓게 볼 수 있게 되었으며 바다를 향한 쪽으로 타포니가 발달된 반대편을 걸어 들어가 볼 수 있게 되었다.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남당항로 689
[무인도서]
육지와 테크로 이어진 홍성 모도는 죽도 부속섬 모도와는 다른 섬이지만 대체로 모도라는 이름으로 되어 있는 섬은 간조에 섬끼리 이어지는 섬이 대부분이다.
홍성 모도 역시 얼마전 육지와의 데크길로 이어져서 만조에도 섬에 걸어 들어갈 수 있기에 바다를 바라 보는 시야가 더 넓어졌다.
데크 입구에 속동 전망대라는 타워가 개통되어 바다를 폭넓게 볼 수 있게 되었으며 바다를 향한 쪽으로 타포니가 발달된 반대편을 걸어 들어가 볼 수 있게 되었다.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남당항로 689
[무인도서]
안산 물은여는 현재 해수부 미등록섬에 해당하지만 어민들 사이에서는 물은 여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작은 바위섬이다.
4개의 작은 암봉과 파식대가 존재 하며 과거에는 4개의 섬이 하나였음을 나타내 주는 타원형의 긴 파식대가 존재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해식애가 발달하고 있으며 시스텍과 소규모의 파식 풍화대가 존재하지만 한때 채석하던 과정에서 일부가 파괴된 모습으로 남아 있다.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
[무인도서]
말육도(末六島)는 육도 북쪽에 있는 종육도의 북쪽에 위치한 무인도서이고 최대 고도는 15m정도 작은 섬에 해당하며 특정 도서로 지정하여 관리되고 있다. 섬의 형태는 반월형 형태의 섬이며 육도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주변에 모여 있는 작은 섬 6개 중에서 가장 북쪽 끝에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이름을 한글로 바꾸어 끝육섬으로 부르게 되었다.
산 정상 가장자리에는 백색 등대가 자리하고 있기에 수심이 얕은 말육도 주변을 항해하는 어선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항로 표지이다.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풍도동 산 312번지
[항구/선착장]
궁평항은 낙조가 아름다운 곳으로 유명하며 2008년 국가 어항으로 지정되어 현재 부분적으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다소 혼잡할 수 있다.
특히 먹거리로는 싱싱하고 맛 좋은 수산물들이 가득한 수산 시장이 있으며 작은 배와 낚시꾼들을 유혹하는 매력적인 다리인 피싱 피어에서 낚시를 하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낚시배가 주를 이루고 있다.
화성시방향으로 걸어갈 수 있는 화성 실크로드 산책로가 나무 데크로 조성되어 있어, 노을을 바라 보며 걷기에 편한 길이다.
주소 : 경기 화성시 서신면 궁평항로 104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