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역 시간여행]
할라인 소금 광산 열차가 있는데 잘즈부르크의 지명은 독일어로 소금에서 파생된 단어임을 현장에 가면 모두 알게 되는 이름이다.
국내에도 협궤열차가 있었던 시절에 제부도 인근에서 생산된 소금은 소금열차를 통하여 혁신적인 운송수단으로 큰 역할을 한 열차였다.
유럽과 달리 우리나라는 바다에서 소금이 생산되기에 운송 수단으로서는 최고의 수단이었으며, 얼마전 예능프로그램에서 전날 채취한 소금이 가득 실려 있는 소금열차가 나온 적이 있었는데 그나마 이렇게 재현으로 전시되고 있는 것만으로 참 다행한 일이다.
주소 : 경기 안산시 단원구 대부황금로 17-156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국내에는 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증기 기관차의급수탑이 여러개가 있지만 2기가 나란히 현존하는 곳은 경기 연천역과 수원역 외에는 없다.
국내에서 사라진 열차 노선 가운데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지 못한 체 사라진 아쉬운 사례로 이제는 그 흔적만 남아있기에 갈 때마다 아쉬움이 배로 커진다.
경북과 강원을 이어주던 태백 노선인 스위치백의 형태인 노선과 협궤열차의 노선은 소래포구 근처에 형태만 남아 있고 현재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 960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지금은 현존하는 수원에서 소래포구까지 이어지던 협궤 열차의 노선이 없지만 과거의 노선에 현재 남아 있는 수원역 급수탑이다.
1930년대 국철(國鐵)인 광궤철도의 급수탑과 사철(私鐵)인 협궤철도의 급수탑 2기가 동일한 부지 내 현존하는 희귀한 사례로 이색적인 현장의 모습이다.
경기 연천 역시 2기의 급수탑이 전쟁중에도 보존되어 있는 것처럼 수원역 급수탑은 국철과 사철의 급수탑 변화양상과 변천사를 보여주는 철도유산이다.
* 궤간(軌間)이 표준 1,435mm보다 넓은 철도를 광궤(廣軌)철도, 좁은 것을 협궤(狹軌) 철도라 함.
주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 960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제주도는 바람이 유난히 많이 부는 섬이기에 이곳 주민들은 모슬포를 못살포라고 부를 정도이지만 모두들 오랜 세월을 함께 자라온 섬이 되었다.
가파도 그만 마라도 그만 재미있는 속담이 전해져 오고 있을 정도로 서로 동행하며 살아온 끈끈한 정마저도 느낄 수 있는 섬이 마라도이다.
모슬포와 멀지 않는 곳에 있는 섬이지만 풍랑주의보 등으로 자주 발길이 묶이는 곳이기에 겨울철에는 한 번 가보기도 힘든 섬이다. 드론으로 보면 마라도는 거대한 항공모함처럼 보이는섬이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600
[간이역 시간여행]
구 호남선의 복선화 공사와 Ktx, Srt 노선 신설로 호남선이 철거 되어 지금은 몇개의 터널만 과거의 흔적으로 남아 있는 구간에 터널이 있다.
무안에서 영산포까지 3개의 터널이 남아 있지만 무안군과 나주시에서 폐터널의 활용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그다지 좋은 정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3번째 터널로 영산포 터널은 붉은 별돌로 내장을 마감한 구간도 있지만 1,2터널에 비하여 웅장한 맛이 조금 떨어지긴 하나 지금도 이곳에 가면 기차가 지나가는 소리가 들릴 것 같은 공간이다.
주소 : 전남 나주시 영산포동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드넓은 동해를 앞에 두고 형성된 축산항 마을은 주로 동해 앞바다에서 오징어잡이와 대게 잡이를 주로 하며 수입산 대게를 판매하고 있다.
일부는 광활한 경작지가 있어 농사와 산촌일을 겸하고 있으며, 항구에서 여러가지 일을 하거나 여행객에게 민박을 하며 생활하는 주민들도 더러 있다.
축산항 역시 영덕항과 가까워 대게철에는 많은 여행객이 찾아 오며 항구에서 파는 작은 오래된 식당 음식 솜씨도 일품인 곳이 많다.
주소 : 경북 영덕군 축산면 축산항길 56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우도의 평원을 안고 있어 제주 여느 다른 마을보다도 바람이 강하고 세찰 수밖에 없는 자연환경이지만 모두들 적응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새까만 돌담으로 쌓은 울타리 안 밭에는 보리와 감자, 그리고 우도의 특산품이 땅콩이 자라나는 모습을 여름에는 흔히 볼수있다.
우도에는 예전의 제주 모습이 남아있으며, 해녀들이 물질을 하고 나서 옷을 갈아입는 불담, 돌담, 산담, 울담이 볼거리이다. 동네와 들판과 산, 해안에 끊임없이 쌓아 둔 돌담을 만리장성이라 말하기도 한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우도면 상고수동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거제도에 있는 저구마을은 벽화와 수국 그리고 사적에 해당하는 소매물도를 가기 위해서 드리는 작은 어촌 마을이지만 수국이 피는 시기에는 언제나 많은 여행객이 몰리는 어촌 중에 하나이다.
저구 마을에 들어서는 순간 예쁜 벽화가 눈에 들어오는데 그 수준이 과히 뛰어나고 해변을 따라 피어난 수국의 향연이 여름을 수놓는 항구이다.
해변길에 설치된 데크를 따라 걷다 보면 바다를 보며 피어난 수국에 반하게 되고 시원한 파도 소리에 한 번 더 반하게 되는 마을이다.
주소 : 경남 거제시 남부면 저구리 저구마을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이 가옥은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정주 군수를 지낸 민재호가 1930년에 지은 건물로, 당시 지방에서는 보기 드문 2층 목조 주택이다.
1층은 방을 앞뒤 2열로 구성한 겹집형 평면으로, 왼쪽부터 부엌, 안방, 윗방, 대청, 건넌방, 함실 아궁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2층은 여름나기를 위해 바닥 위에 평상을 두고 위에 널을 깔아 침실로 활용하였다.
전통 목구조 양식에 일식 가구수법이 혼합되어 있으며 실용적인 평면 구성과 2층이 누마루로 형성된 점 등이 특이하다.
주소 : 산청군 금서면 동의보감로312번가길 10-9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남창역사는 1동으로 되어 있으며, 1층 규모로 건축면적은 작은 역사로 이루어져 있다. 남창역사는 1935년 건립되고, 1935년 간이역 영업을 개시하였다.
구조는 목구조에 지붕은 일반 간이역 형태인 맞배형태로 되어있으며, 박공을 정면 출입구는 크고 배면은 적게 설치하였다.
구조는 목조로 벽체는 시멘트 마감으로 변형되어 있으며 등록전인 2001년 공사시 지붕재료, 창문형태등이 원형과 다르게 보수되었다.
주소 :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남창역길 40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월항 마을과 이목 마을은 바다를 막아 둑을 형성하였기에 선착장이 없는 바다마을이라고 하면 맞을 성 싶은 태극기 마을이다.
이목이라는 지명은 노화도에도 있듯이 배가 드나드는 포구라는 뜻을 갖고 있으나 지금은 마을 이름에 걸맞게 포구가 있어야 하지만 이곳은 포구가 없다.
마을 앞에 물길을 막아 버렸기 때문이다. 일부는 메웠고 바다는 바로 앞에 있는 죽도 앞에서 막아 버렸다. 즉 소안항에서 비자리로 넘어가는 길목에 다리를 만들어 버린 것이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소안면 월항마을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완도를 여행하다 보면 이름난 명소를 위주로 여행하게 되지만 바다가 보이는 해안도로로 일주를하다보면 방탄소년단의 뮤비가 촬영된 길에서 만나게 되는 초등학교가 있다.
지금은 학생수 감소로 폐교되어 마을 주민들의 창고형 형태로 사용되고 있고, 바람이 강한 바닷가 앞이라 계단도 특이한 형태로 되어 있어 예쁜 학교다.
학교 정문 역시 민가와 붙어 있어 입구 찾기도 쉽지 않지만 학교 내로 들어서면 아이들의 목소리가 들릴 것 같은 예쁜 건물이 보인다.
주소 : 전남 완도군 군외면 삼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