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정읍 북면에는 어린왕자 책 한권이 벽면 전체에 그려져 있지만 시간이 흐른 지금 면민들의 동참이 아쉬울 정도로 벽화가 물건에 가려져 있는 곳이 있다.
벽화 마을 입구에서부터 마을을 벗어나는 곳까지 모두 어린왕자가 그려져 있지만 쌓아둔 물건이나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곳에 승용차에 의해 보기가 어려운 곳도 있어 벽화를 보기에 불편한 점도 있다.
도로를 중앙에 두고 양면으로 그려진 벽화는 짙은 색감이나 공감을 주는 어린왕자 내용과 구석 구석 벽면을 활용한 수준 높은 그림이 가슴에 다가온다.
주소 : 전북 정읍시 북면 벽화마을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부산 정거 마을은 가덕도 북동쪽에 위치한 마을로 이 지역으로 나갈때 파도가 잔잔해 질때까지 닻을 매어놓고 기다린다는 뜻으로 닻거리로 불리기도 한다.
보통 벽화는 시간이 흐르면 물감이 굳어 벽에서 떨어지면서 본색을 잃거나 부서지게 되는데 정거 마을의 벽화는 시간을 견디는 듯한 인상을 받는 벽화다.
그림 하나하나에 정성을 들여 그린 까닭에 아직한 선명한 유화의 색이 유지되어 있고 그림 수준이 다른 지역 벽화에 비하여 멋진 그림이 되고 있다.
주소 : 부산시 강서구 눌차동 정거마을
[간이역 시간여행]
문경 오미자 터널은 1954년에 완공되어 열차가 지나던 터널이었지만 문경선의 폐쇄로 인근 가은역과 불정역과 더불어 운행이 중단 곳이다.
문경 오미자 터널은 총 길이 540미터로 문경의 오미자 등의 홍보를 위해 만들어진 곳으로 이 터널의 원래 이름은 석현 터널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
내부 시설에는 공룡의 어드벤쳐와 여러 포토 라인 설치로 잠시 시간을 내어 둘러볼 수 있도록 리모델링하여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주소 : 경북 문경시 마성면 문경대로 1356-1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정읍시 감곡면은 원평천 주변에 평야가 분포하며 남부는 대부분 해발고도가 낮은 구릉지가 대부분이어서 제(堤)라고 하는 소류지(小溜池)가 많다.
이것을 관개용수로 이용한 주곡 농업이 발달하였고 원예작물 활발하며 특산물로 고추가 재배되는 작은 면에 속하지만 옹미란 면장님의 섬세한 손길이 마을 구석구석에 닿고 있다.
환경 미화나 어두워가는 벽면에 벽화를 그려 넣은 후 보수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면 보는 이로 하여금 미소를 짓게 하는데 이는 부임 기간 동안 면장님의 섬세함과 마을 주민을 위한 행정임을 알 수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감곡면 면사무소 일대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노인 한 분이 돌아가시면 흔히들 도서관 하나가 사라진다라는 말을 하곤 하는데 이는 평생을 살아온 연륜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말해주는 말이다.
정미소 역시 일제강점기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소읍에 해당하는 마을의 모든 문화를 축약하여 보여주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기계화된 대형 정미소의 등장으로 작은 정미소는 철거가 되면서 마을의 문화가 사장되어 가고 사랑방 역할을 하던 장소 역시 세월속으로 사라져간다.
주소 :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 원삼1길 54
[간이역 시간여행]
신태인역은 호남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감곡역과 초강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12년 12월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신태인은 지명보다 역명이 먼저 붙여진 곳인데 원래 태인군과 북촌면의 양면으로 분리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용북면으로 합병되었다.
지금의 역사는 1985년에 과거 모습에서 탈피하여 신역사를 개축하여 오늘에 있어 지금 역에서는 과거의 모습을 찾기는 힘든 역이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정신로 1163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연천역 급수탑 시설물은 경원선을 운행하던 증기 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한 급수탑으로, 현재 상자형과 원통형 2기가 남아 있다.
상자형 급수탑은 콘크리트조로 기단, 벽체부, 지붕부 3단으로 입면을 형성하였으며, 아치형 출입구를 두었고, 외관에 줄눈을 그려 조적조인 것처럼 구성하였다.
원통형 급수탑에는 급수관 3개와 기계 장치가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고, 탑 외부에는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 있으며,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증기기관차 관련 시설물로 가치가 높다.
주소 : 경기 연천군 연천읍 차탄2리 34-373번지
[간이역 시간여행]
북전주역은 북전주선의 작은 간이역이었다가 폐쇄되어 지금은 다른 용도와 화물적채창으로 사용되고 있는 철도역이다.
현재는 화물만을 취급하며, 원래 전라선 본선에 속해 있었지만, 전라선 전주 시내구간이 시 외곽으로 이전하면서 북전주와 신리간이 폐지되어 북전주선으로 분리 독립되었다.
물동량이 많은 경우 하루에 10여 차례 화물 열차가 드나들고 이팝나무가 꽃을 피어낼때 철로 주변은 아름다움으로 물들며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주소 :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4가 126-2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완도 여서도는 청산도에서 배를 갈아타고 30분 정도 가면 만나게 되는 먼바다에 속하는 원시와 현대가 공존하는 섬이다.
아직도방목한 소가 쟁기질을 하며 돌담길이 옛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보니 시간 여행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이며 섬앤산 인증으로 요즘은 많은 이들이 찾고 있다.
등대를 오르다 보면 산길에 문이 있는 이유는 방목한 소가 길따라 내려오기 때문인데 항상 잠궈두는 경우가 많아 열고 들어가고 나올 때 닫아야 한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청산면 여서리
[돌담 마을 시간여행]
완도 여서도는 청산도에서 배를 갈아타고 30분 정도 가면 만나게 되는 먼바다에 속하는 원시와 현대가 공존하는 섬이다.
아직도방목한 소가 쟁기질을 하며 돌담길이 옛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보니 시간 여행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이며 섬앤산 인증으로 요즘은 많은 이들이 찾고 있다.
등대를 오르다 보면 산길에 문이 있는 이유는 방목한 소가 길따라 내려오기 때문인데 항상 잠궈두는 경우가 많아 열고 들어가고 나올 때 닫아야 한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청산면 여서리
[간이역 시간여행]
얼마 전 간이역을 배경으로 TV 예능프로그램이 선보이면서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간이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어슴프레한 기억을 떠올리게 하였다.
친근한 이미지의 배우 손현주를 명예 역장으로 내세워 사라져 가고 있는 간이역을 찾아가 숨겨진 사연을 소개하면서 진행하는 멋진 프로그램이었다.
화순의 능주역이 소개 되었는데 인근에 이미 폐쇄된 남평역 처럼 생활 문화속에 자리잡은 능주역의 모습은 서정을 함께 준 간이역이었다.
주소 : 전남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896-10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통영 연대도 선착장에서 입도하여 선창길을 따라 출렁다리를 건너면 만나게 되는 작은 섬마을이 만지도인데 다리를 건너면 데크로 이어진 둘레길이 보인다.
오른쪽에 선착장을 두고 몇가구 되지는 않지만 보이는 벽마다 그려진 벽화를 보게 되면 예쁘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한다.
여느 섬마을 처럼 옛것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것은 보이지 않지만 나름 젊어지고 있는 섬이라는 것을 걸으며 알게 되는 곳이 만지도이다.
주소 : 경남 통영시 산양읍 연명길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