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도초도 고란마을은 예로부터 난초가 많이 자라나서 고란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지만 지금은 난초가 그리 많이 보이지는 않는다.
섬이라는 특성상 젊은 사람들은 육지로 나가게 되고 학생들은 육지로 진학하게 되면서 학생수 감소로 이어져 마을 전체 인구수가 줄어들었다.
고란마을은 전국 여느 돌담보다도 그 분포가 넓으며 아직도 마을 곳곳에 원형 그대로의 돌담의 형태가 남아 있어 복원에 도움이 클 듯 하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도초면 고란리 고란마을
[간이역 시간여행]
가원도내에 있는 원주역을 지나면 바로 만나게 되는 간이역이 동화역인데 1940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폐역이 되었다.
당시에는 원목(탄광갱목)과 쌀 수송을 주 업무로 하였으나 현재는 철도자갈수송을 주 업무로 하고 있었으며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했었다.
모든 지나간 것에는 그리움이 있기 마련이지만 특히 간이역은 아련한 추억을 불러오는 소재가 되기에 역사에 발을 내딛는 순간 영화처럼 아련함이 스쳐지나 가는 것은 간이역이 주는 선물인 듯 싶다.
주소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보통로 221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금년에 신안군에서 현장 조사를 통하여 보존에 신경써야할 섬마을의 돌담을 등록문화재 추진은 과히 환영 받을 신안군의 정책으로 보인다.
현재 신안군에서 흑산도, 도초도는 이미 지정된 돌담이 있는 섬이지만 이외에도 우이도, 도초도 고란마을, 여서도 등은 보존 가치가 큰 우리의 문화이다.
물론 돌담이 주는 정겨운 현대미가 가미되지 않은 원형 그대로의 돌담이 좋긴 하지만 여러번의 수리를 거친 돌담은 예스러운 맛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더이상 소멸되기 전에 보존의 길을 걸어야하겠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대리 마을
[돌담 마을 시간여행]
금년에 신안군에서 현장 조사를 통하여 보존에 신경써야할 섬마을의 돌담을 등록문화재 추진은 과히 환영 받을 신안군의 정책으로 보인다.
현재 신안군에서 흑산도, 도초도는 이미 지정된 돌담이 있는 섬이지만 이외에도 우이도, 도초도 고란마을, 여서도 등은 보존 가치가 큰 우리의 문화이다.
물론 돌담이 주는 정겨운 현대미가 가미되지 않은 원형 그대로의 돌담이 좋긴 하지만 여러번의 수리를 거친 돌담은 예스러운 맛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더이상 소멸되기 전에 보존의 길을 걸어야하겠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대리 마을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거리의 벽화가 기성항 시화마을에 그려져 있는데 2키로나 될 정도로 길고 많은 스토리와 그림과 시가 어우러져 있다.
전체 골목을 모두 돌아보는 시간은 2시간 정도 될 정도이니 여느 벽화 보다도 구성면이나 스토리 면이 월등히 앞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성항 벽화는 모든 골목에 바다와 시를 테마로 그려져 있으며 담의 상태나 질감,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활용하여 아름다운 시화 골목으로 재탄생했다.
주소 : 경북 울진군 기성면 기성리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여수 소리도 명품 마을은 섬마을 이름으로 들리지 않는 럭셔리한 이름이며 마을을 지나 등대로 가는 풍경이 아름다워 명품 마을이 된 듯 하다.
소리도 등대를 방문하는 이들은 누구나가 명품마을 거쳐 등대로 가야 하지만 차량을 이용할 경우에는 데크길을 지나치기 일쑤이다.
첫 배로 입도하여 다음 나가는 배 시간이 넉넉하기에 명품마을부터 항구까지 구석구석 둘러보는 것도 여행하는 맛을 더 올릴 수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남면 덕포길 19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함평 월호리 일본인 가옥과 창고는 1927년과 창고가 1930년 건립되었으니 벌써 백년이라는 시간에 가까이 가고 있음을 현장에서 실감하게 된다.
이 건물들은 일제 강점기 영산강 중천포 나루터 근처에 지은 일본인 지주의 집과 창고이며 함평 인근에서수탈한 곡물 수송에 편리한 위치에 있었다.
내부를 올라가 보면 논과 밭을 바라보는 감시 기능의 문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전체가 목재로 지어진 적산가옥이며 일제강점기에 전형적인 일본식 건축 기법으로 지은 건물로서 과거 일본 지주의 주거 공간 구성을 잘 보여 준다.
주소 : 전남 함평군 학교면 중천포로 634
[간이역 시간여행]
호남선의 중심에 서 있는 익산은 고속 철도가 모두 경유하는 호남선 교통의 중심이 되고 있고, 일제 강점기에 수탈의 역사를 안고 있는 역이 있다.
우리나라 3대 평야 중에 하나인 김제 평야와 익산의 넓은 들은 일제강점기 때 수탈의 중요 지역이 되는 아이러니적인 역사를 안고 있다.
곡창 지대 사이를 가로지르는 고속철도의 노선은 그러한 아픈 역사를 안고 지나가는 길이기에 어쩌면 빠른 속도로 지난 역사의 과오를 잊고자 함은 아닐까?
주소 : 전북 익산 춘포 일대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전국에 산재해 있는 정미소 중 도정이 멈춘 정미소가 태반이지만 갈수록 현대 시설에 의해 사라져가는 정미소가 대부분이다.
비가 오면 정미소의 함석 색깔이 더욱 진하고 예쁘게 보여 버릇처럼 비오는날 들녘을 누비며 만나는 곳은 과거와 현재 시설이 중첩되는 곳이 많아지고 있다.
과거 시설 그대로 남아 있는 곳은 대부분 도정이 멈추고 쓰러져가고 있지만 그마저도 요즘은 흉물로 취급되어 보존 보다는 철거가 우선시 되고 있다.
주소 : 전북 부안군 백산면 평교리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관매 초등학교는 보기 드물게 중학교와 함께 있는 초등학교로 급격한 학생수 감소로 지금은 폐교되어 교정만 남아 있는 실정이다.
학교 앞은 천연기념물이 있을 정도로 아름다운 교정을 자랑하며1943년 4월 6일 개교하였으니 일제 강점기에 개교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후 1968년 3월 1일 각흘 분교를, 1983년에 조도 중학교 관매분교장을 설치되면서 초등, 중학교가 동시에 존재하는 학교가 되었다가 2012년에 통폐합되어 폐지되었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
[돌담 마을 시간여행]
섬마을은 아직도 예스러운 돌담과 흙담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는 곳이 많이 있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거의가 소멸되고 사라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투박스럽게 쌓은 것 같지만 층층히 쌓은 돌담과 흙담담은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곳을 제외하고는 만나기 힘들지만 관매도 상학마을은 조금씩은 남아 있다.
한적한 섬마을 돌담길 사이를 걷고 있노라면 말그대로 시간 여행을 하고 있는 듯한 한적한 느낌이 절로 드는데 상학마을 역시 그런 느낌이 피부에 스민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길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도초도는 목포에서 배를 타고 서남쪽으로 54.5km 지점에 있으며, 비금도에 도착하여 연도교를 통해 자동차로 들어가는 방법이 있고 인근에 비금도와 더불어자산어보 촬영지로 더욱 유명해진 섬이다.
비금도와 도초도를 잇는 서남문대교는 우리나라 연도교 중 꽤 긴 편이다. 단순하면서도 아치형으로 굽어 있는 외양이 조형미가 있다.
섬의 지형이 당나라의 수도와 비슷하면서도 초목이 무성해 도초라 명명 되었으며, 섬의 형태가 고슴도치처럼 생겨 그렇게 불렀다는 설도 전해오고 있다. 전북의 위도와 고슴도치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도초면 수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