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
고립되었다는 느낌을 갖고 숙명처럼 살아가다가 어느날 갑자기 다리가 놓아져 육지가 되었다면 사는 맛은 어떨까?
그때부터는 섬주민도 아니고 뭍사람도 아닐진데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면서 갈팡질팡 할 것 같지만 반대로 여행객에게는 그 고립의 맛을 즐기려 방문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바로 팔금에 고산섬이 그런 곳인데 한때는 선착장에서 뭍으로 나가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이젠 그 자리에 이탈리안 식당이 들어서 있으니 격세지감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당고리 20-1
[무인도서]
거사도는 천사대교가 개통된 뒤에 팔금도가 육지화 되어 알려진 섬이 되었는데 아직도 노두길이 밀물에는 가려져 섬이 되는 섬이다.
목포에서 서쪽으로 30km, 면소재지인 팔금도와 동쪽으로 1km 떨어진 섬인데, 작은 3개의 섬이 노두로 계속 이어져 하나의 섬을 이루고 있다.
팔금도의 부속섬인 거사도는 공을 차면 바다로 빠진다는 표현을 할 만큼 아주 작은 섬이지만 노두길에 감춰진 아름다운 해변을 지닌 섬이다. 이 섬은 천사대교 개통이후에 무인도서가 되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당고리
[무인도서]
송도의 위치는 도초도와 비금도 사이의 협수로의 서쪽 출입구에 위치하는 곳으로 이 섬을 돌아서 들어가면 두 섬 사이의 협수로로 연결이 된다.
주로 신안군의 비금도쪽에서 서쪽의 흑산도 등지로 연결되는 여객선이 해당 수로를 이용하며, 이외에도 다수의 선박들이 해당 수로를 이용한다.
기본적인 광파표지 이외에 전파표지인 레이콘 장비를 병설하여 저시정시에도 흑산도 홍도 등를 오가는 선박 통항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내월리 산 269
[무인도서]
완도 주변의 횡간도 처럼 간첩이 출몰하여 어수선한 분위기로 전락했으며,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은 무인도서이며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속한 섬이다.
순환을 하면서 보면 한쪽면이 매가 날개를 접고 쉬는 형상으로 보이며 오른쪽 바위가 날카로운 매의 부리를 그대로 닮은 모양인지라 매도로 불린다.
겨울철에 접어들면 잡초가 시들어 가면서 내는 색이 영락없는 매의 날개를 그대로 보여주어 이 섬의 진가를 눈으로 확인하게 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내월리
[섬 촬영지 시간여행]
자산어보는 종교 탄압으로 유배를 떠난 정약전이 집필한 최초 어류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책이며, 그가 세상을 떠나기전 우이도에서 집필한 책이다.
정약전의 최후 유배지인 흑산도 주변의 물고기와 바다 생물을 한문으로 집필한 도감으로 이 한 권의 실용서에는 정약전의 철학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준익 감독이 장소를 물색하다 이곳의 경치에 반해 촬영지로 택했다고 하는 것처럼 주변 풍경이 아름다운 섬으로 도초도 발매리 언덕 위에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도초도
[해변/해수욕장]
고립된 무인도서는 언제나 밀물과 썰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 중에 하나인데 파도에 씻기고 태양빛에 사그라들기를 거듭하면서 생성된 이끼는 거의 화석화 되는 이끼가 된다.
여기에 그늘이 오면 색이 생겨나게 되는데 오랜 세월동안 아름다운 색으로 변모하여 썰물에 드러나는 모습은 아름다운 모습으로 바뀐다.
무인도서는 생명체가 없기에 이끼 자체가 보존되어 화려한 모양과 색으로 그 존재감을 드러내게 되는데 보는 이로 하여금 빠지게 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일대
[해변/해수욕장]
제주 올레를 하면서 해안 길을 걷다 보면 자연스럽게 만나게 되는 해안 도로 중 주변 풍경이 예쁜 엄장해암 길은 구엄 포구, 남도리 쉼터, 남두 연대, 고내 포구로 끝없이 이어지는 아름다운 해변 길이다.
제주 엄장 해암길은 대한민국 해안 누리길 중 하나로 구엄 포구와 돌 염전을 시작으로 오른쪽에 펼쳐지는 바다를 보며 걸을 수 있는 구간이다.
이 길은 제주의 옛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는 모습이 많아 자연스럽게 눈길이 가고 주변 경관이 수려하고 아름답기 그지없다.
주소 : 제주시 애월읍 구엄리 엄장해안도로
[항구/선착장]
제주 한림읍 귀덕리에 있는 복덕개 포구는 제주의 민간신앙인 영등신인 음력 2월1일에 제주에 왔다 영등바람을 뿌리고 15일에 제주를 떠나는 바람의 신이 매년 음력 2월 초하루 제주에서 처음으로 들어오는 포구라고 하는데서 유래한 이름자를 딴 항구이다.
이 항구에 영등할망이 들어와 바다와 뭍에 씨를 뿌리고 간다하여 복(福)자와 덕(德)자를 합하여 지금의 복덕개항구가 된 제주 전통 재래식 항구이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귀덕1리
[항구/선착장]
제주사람들은 포구를 개 또는 개맛, 성창 또는 개창이라 불렀는데 신창항의 예전 명칭은 왕깅이물 성창이었다고 한다.
포구는 안개맛(배를 정박시키는 안쪽 자리)과 바깥개맛(배를 정박시키는 바깥쪽자리)으로 구분하여 불렀으며, 바깥개맛을 두고 왕깅이물성창이라 했는데 민물인 용천수가 솟는 포구라는 의미이다.
신창항에서 서쪽으로 조금 가면 마리여등대라는 하얀 등대가 서 있는데 이곳이 유물발굴을 통해 이 등대 앞 해상에서 12~13세기의 금제장신구류와 중국도자기 등의 유물이 대량으로 발굴되었다.
주소 :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항구/선착장]
올레 중 가장 인기가 많고 풍경이 좋은 코스는 어딜까 라고 물으면 걸어본 올레객들은 주저함 없이 제 7코스를 꼽는 이유가 바로 법환포구가 있기 때문이다.
법환포구는 막숙개라고도 불리는데 막숙은 고려 말 최영 장군이 이곳에 막사를 치고 군사들의 숙소로 사용하여 적군을 물리쳤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올레 7코스에 속해 있어, 도보 여행객들이 주변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고 이곳에서 바다 위에 범섬, 섶섬, 문섬, 새섬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항구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법환동
[항구/선착장]
다끄네포구는 제주 옛 등대인 도대불을 재현해 놓아 제주 전통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대불은 조업 중인 어선들이 밤에 그 불빛을 보고 포구를 찾아올 수 있게 위치를 알리는 시설물이다.
전통식 등대와 용수가 나는 우물을 볼 수 있는 다끄네포구는 지금은 용담포구라고도 하며, 용담3동에 자리 잡은 작은 포구이다.
과거에 살던 마을 주민들이 포구가 들어올 수 없었던 해안에 바위를 깨고 전통식 포구를 만들어 터를 닦았다고 해서 다끄네포구라고도 한다.
주소 : 제주시 용담3동 용담포구
[해변/해수욕장]
일반적으로 섬은 무인도서인 경우에는 한바퀴 순환에도 30분 정도 밖에 걸리지 않는 섬이 대부부분이지만 내부보다는 외부가 아름다운 경우가 많다.
경치도 역시 내부보다는 외부 모양이 더 아름다우며 해식애 절벽과 단독섬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모양이 아름답기 그지 없다.
오래도록 사람의 흔적이 없어 무인등대 외에는 우거진 잡초들로 쉽게 올라서기가 힘든 무인도서 중에 하나이지만 멀리서 타일로 외벽이 만들어진 등대를 볼 수 있다.
주소 : 도초면 우이도리 산5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