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영해 표지]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 마라도에는 중심부에 등대가 있는데 과거 등대는 철거가 되고 현재는 신축 등대가 완공되어 불을 밝히고 있다.
마라도 등대는 일명 희망봉등대라고 불리기도 하며 일제 강점기인 1915년 3월 최초 건립된 마라도 등대는 1987년 3월 새로 개축하였다가 2021년에 새로운 등대로 신축하여 얼마전에 완공하였다.
우리나라의 최남단에 위치한 섬이기에 연평균 기온 및 평균 기온이 가장 높으며 남서쪽에 이어도가 존재하지만 이어도는 국제법상으로 암초이기에 마라도가 가장 남쪽에 있는 섬이 된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로 165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제주도에 딸린 무인도 가운데 가장 큰 섬으로 주변 3개의 합해져서 차귀도라 불리우고 고산리에서 2Km 떨어진 자구내 마을에서 배를 타고 입도한다.
차귀도는 몇해전까지 여행객이 입도하지 못했던 무인도서였지만 지금은 개방되어 유람선을 통하여 들어갈 수 있는 아름다운 섬이다.
죽도·지실이섬·와도의 세 섬과 작은 부속섬을 거느리고 있으며, 깎아지른 듯한 해안절벽과 기암괴석이 절경을 이루고 섬 중앙은 평지이다.
주소 : 제주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유인도서]
독도는 다른 역사등대가 있는 섬과는 달리 우리 영해에 해당하는 곳인지라 언제나 일본의 억지 주장에 외교분쟁이 있는 섬이기에 더욱 애착이 가는 섬이다.
동해의 끝자락에서 우리의 영토를 보호하고 있다는 상징적 의미가 큰 섬이다.
1953년 일본 선박이 독도 수역을 침범하고, 일본 관리들이 독도에 상륙하는 일이 발생하자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천명하기 위하여 1954년 독도등대를 설치하게 되었다.
독도는 동도와 서도로 구별되며 현재 서도는 무인도서로 남아 있으며 동도는 해경이 상주하여 우리의 여해를 지키고 있다.
주소 :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63
[무인도서]
해양수산부는 4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제주도에 위치한 쇠머리섬을 선정하면서 추자도에 속한 무인돗는 2개의 섬이 되었다.
쇠머리섬은 횡간도와 추자도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생김새가 소의 머리를 닮았다 해서 쇠머리섬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쇠머리섬은 새벽을 여는 섬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일출 광경이 마치 소의 머리 위로 해가 뜨는 것과 같은 풍경을 연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섬 동쪽 해안 수직해벽에는 주상절리와 비슷한 수직절리가 발달되어 있어 장관을 이룬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독도는 다른 역사등대가 있는 섬과는 달리 우리 영해에 해당하는 곳인지라 언제나 일본의 억지 주장에 외교분쟁이 있는 섬이기에 더욱 애착이 가는 섬이다.
동해의 끝자락에서 우리의 영토를 보호하고 있다는 상징적 의미가 큰 섬이다.
1953년 일본 선박이 독도 수역을 침범하고, 일본 관리들이 독도에 상륙하는 일이 발생하자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천명하기 위하여 1954년 독도등대를 설치하게 되었다.
최초 점등일은 1954년 8월 10일이며, 무인 등대로 운영되다가 1998년 12월 10일 유인 등대로 전환하여 포항 지방 해양항만청이 관리하고 있다.
주소 :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63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해양수산부는 4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제주도에 위치한 쇠머리섬을 선정하면서 추자도에 속한 무인돗는 2개의 섬이 되었다.
쇠머리섬은 횡간도와 추자도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생김새가 소의 머리를 닮았다 해서 쇠머리섬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쇠머리섬은 새벽을 여는 섬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일출 광경이 마치 소의 머리 위로 해가 뜨는 것과 같은 풍경을 연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섬 동쪽 해안 수직해벽에는 주상절리와 비슷한 수직절리가 발달되어 있어 장관을 이룬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부산 나무섬은 목도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현지인들은 나무섬을 통칭으로 사용하고 있는 아름다운 부산의 섬이다.
면적은 작은 섬에 준하지만 해발 최고높이는 61m의 정상에는 등대가 있으며 다대포항에서 남쪽으로 약 4.8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나무섬에는 황조롱이, 새매와 같은 천연기념물이 발견되면서 철새 이동의 중요 중계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발을 반대하는 환경단체가 많음이 대립되고 있는 섬이다.
주소 : 부산시 사하구 다대동 산 148
[무인도서]
제주에는 돈을 빌려서 갚아도(가파도) 그만, 말아도(마라도)그만이라는 섬과 와도 그만 가도 그만인 아름다운 섬 와도가 있다.
가도라는 명칭의 섬은 신안군 흑산면에 있으니 와도와 가도는 이름이 이어지는 섬이라고 할 수 있는데 차귀도를 가면서 맨 먼저 보게 되는 섬이 와도이다.
이곳은 포구에서도 2분이면 만날 수 있는 섬이지만 들어갈 교통 수단이 없어 해녀들의 작업을 도와주는 어선의 도움을 받아야 들어갈 수 있고, 차귀도를 가는 유람선이 포구로 들어오면서 잠시 볼 수 있는 것이 전부이다. 어쩌면 입도가 어렵기에 원시림의 자연환경과 아름다운 풍경을 유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주소 :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와도
[우리나라 바다 조형물]
제주 의녀 홍윤애의 사랑이야기가 애월 해변에는 아름답게 파도에 넘실거리는 언덕이 있는데 이곳이 바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 사랑향기가 나는 해변이다.
유배를 온 조정철과의 애틋한 사랑이야기가 애월 해변가에 흘러 나오는데 애월이라는 이름만으로도 서정적인 요소가 풍기는 이름이 되고 있다.
두 사람의 사랑이야기는 소설과 드라마틱한 요소를 잘표현한 오페라 창작극으로도 시연될 정도로 사랑이야기로 유명한 홍윤애를 기억해 보자.
언젠가 사랑의 종이 울리면 못이루는 사랑이 없다는 전설을 되새겨 보자.
주소 :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
[유인도서]
현재 전북에서 섬으로만 이루어진 유일한 면에 속하는 위도는 20년전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로 많은 아픔을 안고 있었지만 지금은 상처를 극복한 섬이다.
위도 및 식도와 영해 표지가 있는 왕등도와 거륜도 등 몇몇 부속 도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북에서 가장 큰 섬으로 자리하고 있다.
격포항에서 위도 파장금항 및 식도, 왕등도를 잇는 여객선이 매일 여러 차례 도선과 더불어 운항되고 있기에 접근하기가 쉬운 섬이다.
사진에서는 볼거리가 위도에는 많지만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남단 등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다.
주소 : 전북 부안군 부안면 위도리
[무인도서]
부안군에 속한 소외치도 등대는 썰물에 위도에서 걸어들어갈 수 있는 등대섬이기에 물때를 잘 맞추면 섬 속의 섬을 걸어 들어갈 수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작은 딴치도라고도 부르고 있으며 두 개의 작은 바위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끝자락에는 등대가 빛을 발하고 있다.
북동 방향에 큰딴치도와 인접, 간조시 위도와 갯벌로 연결되고 큰딴치도(외치도)와도 연결되는 간석지형 섬에 위치 한지라 위도 여행시에 권해 보고픈 등대다.
주소 : 전북 부안군 위도면 치도리 산219
[무인도서]
군산 십이동파도 등대는 1960년대 말 섬에 간첩선이 들이닥쳐서 모자가 살고 있던 집에 침입하여 아들을 납치하려고 하자, 어머니가 대신 북송되어 그 이후로 무인도가 된 섬이다.
당시에는 안보 문제가 이슈화 되어 섬 주민들을 강제로 연도로 이주시킨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70년대에는 낚시하던 사람이 쭈꾸미가 물고 나온 청자 덕분에 해저 유물이 발견되어 본격적인 해저 유물 조사가 이루어졌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연도리 1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