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
신안 안좌도는 화가 김환기의 출생지로 그가 보고 자란 많은 섬과 바다의 아름다운 소재가 주변에 가득찬 예술의 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옥도는 작은 여에 불과한 섬이지만 간조에 걸어 들어가면서 주변에 보이는 타포니 구조의 해안 갯가가 특이하며 물결 모양의 타포니 갯가는 인상적이다.
사리 간조에는 드넓은 갯벌이 드러나고 옥도를 거쳐 갓섬까지 모두 돌아 볼 수 있는 길이 열리기에 가을에 주변 모든 섬을 걸어 볼 것을 권하고 싶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한운리 옥도
[무인도서]
압해도는 압해대교 개통 이후로 육지화 되어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많은 여행객이 찾아오면서 섬 자체가 빠른 변화를 하고 있는 섬 중에 하나이다.
해안길을 따라 가다 보면 간조에 들어갈 수 있는 무인도서가 여러개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대섬(죽도)이며 차량으로 섬 앞까지 들어갈 수 있는 섬이다.
대섬은 전체를 돌아도 20분이면 충분하지만 간조에 이어지는 3개의 무인도서가 있어 다른 지역에 반하여 여러개 섬을 걸어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압해읍 대천리
[무인도서]
닭이섬은 구름다리 완공으로 만조에 상관없이 걸어들 수 있지만 바로 작은 간이 선착장이 조성된 여는 아직 미부여섬으로 거북섬으로 명명했다.
간조에는 걸어서 들어갈 수 있지만 만조에는 멀리서 바라보는 섬이기에 물 때에 맞추어서 간다면 바다 한가운데를 건넌 듯한 느낌이 드는 섬이다.
간조에 섬 둘레를 걸어보는 맛이 참맛이기에 만조보다는 간조에 들어가 보기를 권하며 갯벌 체험과 주변 풍경이 아름다워서 노을이 들 무렵은 많은 여행객이 몰리는 장소 중 하나이다.
섬의 모양이 거북이가 걸어가는 듯한 느낌의 형상이어서 거북여로 명명하였기에 간조시에 거북이의 모습을 찾아 보는 맛도 제법 흥미를 더해준다.
주소 : 충남 보령시 무창포 거북여
[무인도서]
신안 삼도는 보는 방향에 따라 숫자가 달라지는 무인도서에 해당하며 간조에는 끝부분이 이어진 모습으로 보이는 섬이다.
위치는 흑산도를 오가는 모든 항로인 시하도를 지나는 길목에서 만나게 되는 작은 섬 세 개를 합하여 삼도라고 칭하고 있는 섬이다.
삼도에는 육지로 나가는 아낙의 형상과 뱃사공의 조형물이 배와 함께 만들어져 있으며 가까이 가서 보면 애틋한 전설적인 사연이 있을법한 조형물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한운리 산 339
[무인도서]
항도는 선재도에 딸린 무인도서이며 항도라고 알려진 곳이며 썰물 때 바닷물이 빠지면서 500m 정도의 모랫길이 드러난다.
바다 위 모랫길은 갯벌이 아니라 모래나 자갈이 쌓여 있는 길로 밟아도 발이 빠지지 않아서 신비의 바닷길을 체험할 수 있는 섬에 해당한다.
간조에 시간 맞추어 바닷길을 걸어 목섬 전체를 둘러 볼 수 있으며 목섬 남쪽에서 선재도를 바라보는 풍경이 일품이며 바로 곁에 있는 측도도 걸어 볼 수 있다.
주소 : 인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
[무인도서]
태안 안도는 멀리서 보면 말의 안장과 같이 생겼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주변의 작은 여에 해당하는 7개의 여의 중심에 있는 등대섬이다.
일설에는 7개의 섬들이 마치 떠있는 병선같이 보여 오랑캐들이 겁이 나서 물러갔다고 할 정도니 물살이 거센 서해 앞바다의 지킴이 역할을 한 섬이다.
안도는 서해 먼바다에서 육지로 다가오면서 안도에 오면 안도의 숨을 쉰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거센 파도를 막아준 역할을 한 섬이기도 하다.
주소 : 충남 태안군 원북면 방갈리 240
[무인도서]
밀매도는 규모가 큰 해식애가 발달하여 주변 풍경이 아름답고 경관이 수려하며 다양한 상록활엽수와 원추리 군락이 분포하고 있는 섬이다.
칼새 등 조류 생물다양성이 높고, 맹금류가 서식하며, 해조류 식생이 발달하는 등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접근성은 양호하나 해안 경사가 심하고 도서의 수심이 깊고 경사가 가파르며 해식대지, 해식동굴, 해식절벽, 타포니 등 해식애가 발달된 섬이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의신면 구자도리
[무인도서]
닭이섬은 구름다리 완공으로 섬으로 걸어서 들어갈 수 있지만 간조에 섬 둘레를 걸어보는 맛이 참맛이기에 만조보다는 간조에 들어가 보기를 권하는 섬이다.
갯벌 체험과 주변 풍경이 아름다워서 노을이 들 무렵은 많은 여행객이 몰리는 장소 중 하나이며 이곳에 눈이 내리면 아름다움을 더해주는 섬이 된다.
섬의 정상 모양이 닭벼슬을 닮아서 닭이섬으로 불리고 있으며 재질은 화강암으로 구성된 간석지형이 주를 이루고 해식애와 해식동이 있다. 서해안에는 유독 섬 이름에 닭과 소나무(솔),대나무(죽,대섬)의 이름이 많이 들어가는데 이는 섬의 모양과 섬에서 자생하는 식물이 주가 되기 때문이다.
주소 : 충남 보령시 무창포 닭벼슬섬
[무인도서]
닭 섬은 천리포항을 바라보고 있으며 해수욕장이 있어 여름에는 많은 피서객이 몰리는 피서지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간조에 걸어들어 갈 수 있는 섬이 매리트이다.
간조에는 독살길을 따라 섬을 들어갈 수 있지만 갯바위를 돌기에는 다소 위험하고 거친 지형이 많아 먼바다를 볼 수 있는 동산길을 권하고 싶다.
섬의 재질은 화강암으로 구성된 간석지형이 주를 이루고 해식애와 해식동이 있으며 등대는 육지에서도 관찰되지만 6번의 굽이길을 걸어야 만날 수 있다.
주소 : 충남 태안군 소원면 의항리
[무인도서]
신안 비도 등대는 북서쪽 끝단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서편의 죽도, 동편의 신도와 함께 인근 지역 협수로의 남쪽 경계선을 이루고 있는 등대이다.
비도 북쪽 앞바다는 노출된 암초들이 줄지어 늘어서 있는 초맥들이 암초군을 이루고 있어서 항해에 상당한 위협요소가 되고 있어 등대의 역할이 크다.
현재는 비도 자체가 절대보전 섬에 해당하여 입도하지 못하고 바다에서 등대의 측면과 정면을 바라보기만 해야 하기에 다소 아쉬움이 컸던 등대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리 산 514
[무인도서]
신안 임자도는 연륙교 개통으로 이제는 육지가 되어 많은 여행객이 차량으로 들어 오는 섬이 되어 튤립 축제와 대광 해수욕장은 명소가 되었다.
특히 여러 부속섬을 안고 있는 섬이지만 육지에서 간조에 조금만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섬 중 대두섬은 군사지역 관계로 섬 정상은 들어가지 못한다.
들어가는 다리는 오랜 세월을 견디지 못해 모두 파괴되어 흉물로 변한지 오래이지만 외곽은 간조에 10분이면 모두 돌아볼 수 있는 작은 섬이기에 임자도를 방문한다면 물때를 맞추어 건너가면 좋을 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임자면 이흑암리
[무인도서]
전체 면적은 43,835㎡(13,260.08평)인 작은 무인도서에 해당하며 목포에서 흑산방향으로 가는 길목인 초입에서 만나게 되는 섬이다.
현재는 도시지역, 자연녹지지역, 준보전산지이지만 조만 육지에서 연결되는 연륙교가 예정되어 있어 한때 투기바람이 불기도 했던 섬이다..
목포시 앞바다의 섬들을 연결하는 프로젝트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웃의 섬들인 율도와 장좌도에 연결되는 도로가 계획되어 있다.
주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