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항구 도시를 여행하다 보면 비를 만나는 경우가 일반 도시보다 많게 되는데 행여 목포 여행 중에 비를 만나게 된다면 달이 차오르다 카페를 권해본다.
항구 도시는 비가 오면 우수에 젖기 마련인데 비오는 바다가 보이고 거리 풍경이 일반 도시와 달리 안개와 함께 내린다면 멋드러진 시간을 보낼 수 있다.
특히나 비가 오는 날은 커피향이 더욱 진하게 다가오니 서정이 풍부해지고 여행하는 맛이 강해지는 시간이 되기에 인상 깊은 장소가 될 것이다.
주소 : 전남 목포시 미항로 141
전화 : 061-279-9902
[맛집]
겨울이 지나 꽃게가 알을 품을 때 밥도둑이 되는 것이 간장게장과 꽃게무침인데, 다른 꽃게 전문점에 비하여 무침이 전혀 맵지 않음에 좋기만 한 식당이다.
겉보기에는 거북선으로 만들어진 식당이기에 한정식을 하는 식당인가 하고 생각하기 쉽지만 조선옥은 간장게장과 꽃게무침이 주 메뉴이기에 참고하면 된다.
양도 적지 않아서 꽃게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모르면 못가지만 한 번 먹어 보면 계속 찾게 되는 정통 맛집이라고 말할 수 있는 식당이다.
주소 : 전북 익산시 고봉로 341
전화 : 063-854-9000
[숙박]
시골을 여행할 때 보다도 도심을 여행할 때는 보이는 곳이 많고 사람들이 많이 보이기에 피로도가 더 높기 마련이다.
지친 하루에 끝을 마무리 하는 것이 바로 숙박인데 가성비 높고 친절한 숙박업소를 현주민이 아니고선 쉽게 알수가 없으니 검색에 의존하게 된다.
그렇지만 피렌체가 권한 숙박업소라면 친절도와 가성비가 좋은 숙박일테니 믿고 하룻밤 편안하게 쉬어갈 수 있으리라 본다.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수표로18길 10
전화 : 02-2278-9993
[유인도서]
이 섬의 지명 유래는 마을 서북쪽의 산이 병풍처럼 보인다 하여 병암이라고 부르다가 섬 북쪽 끝 해안선 절벽이 병풍과 유사하다 하여 병풍도라고 섬의 이름을 바꾸었다.
병풍바위가 어찌나 아름다운지 신선이 이곳에 내려와 살게 되었으며, 그 신선이 병풍도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고도 전해 오고 있다.
병풍도는 보기섬과 신추도가 방조제로 연결되어 하나의 섬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썰물때에는 6개의 섬이 노두길로 이어져 육지가 되는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해변/해수욕장]
목포에서 신의도로 들어와서 차량으로 이동하다 보면 해안가에서 하태길을 만나게 되는데 이곳에선 잔물결이 아름답게 일어나서 한참을 바라보게 된다.
가끔 지나가는 낚시꾼이라면 몰라도 관광객들은 굳이 머나먼 이곳까지 찾아오지 않기에 좀처럼 큰 맘 먹지 않으면 쉽게 가 볼 섬은 아니다.
하지만 여객선의 접안시설이 설치되고 하의도와 다리가 완공되어 예전보다는 많은 관광객들이 이곳을 찾고 있으며 배시간이 촉박하지 않으면 쉼도 좋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신의면 하태길
[군산 지방 해양수산청]
부안 모항 북단 등대는 김상수 감독의 영화에서 배경된 등대에 가려져 좀처럼 낚시꾼 외에는 여행객을 보기 힘든 방파제 위에 우뚝 서 있는 등대이다.
영화 촬영지를 찾다 보면 노을 무렵에 이곳이 영화 촬영지가 왜 되었는지를 알게 되는데 채석강 노을처럼 고운 빛이 아름답게 내리는 곳임을 알게 된다.
주변 세트장 관리 상태에 실망하는 경우가 많아서 다들 와보고 실망할 수도 있겠지만 작은 어촌 마을과 함께 영화의 배경이 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최초 점등일 : 2000년 10월 4일
주소 : 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항구/선착장]
설도항은 이름만 들으면 언제나 눈내리는 항구이니 겨울에 방문하면 좋은 항구이지만 외지인은 워낙 멀어서 눈을 만나는 경우가 쉬운 항구는 아니다.
설도항은 영광군에 위치한 작은 항구이고 염산이라는 지명에는 소금 염자가 들어갈 정도로 천일염 소금이 유명한 곳이며, 염전에서 만들어지는 품질이 좋은 소금이 거래되는 항구이다.
드넓은 갯벌은 서해가 왜 갯벌천국이라고 말하는지를 알게 될 정도로 드넓고, 평야처럼 펼쳐진 갯벌인 칠산갯길을 안고 있다.
주소 : 전남 영광군 염산면 봉남리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설도 시장이 가장 붐비는 때는 김장철을 앞두고 전남 영광에서 품질 좋은 각종 김장 재료를 구입할 수 있는 행사가 열리는때인데 이때가 볼거리가 많다.
축제는 4일 동안 염산면 설도항 일대에서 염산 젓갈,염전에서 생산된 천일염, 농수산물 대축제가 개최되면서 많은 인파가 몰린다.
상인들이 중심이 돼 추진되는 이 축제는 각종 공연과 노래자랑, 농산물 참여 이벤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계절풍의 영향으로 천일염 생산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주소 : 전남 영광군 염산면 설도항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병풍도는 전남 신안군 증도면에 딸린 섬으로 목포에서 서북쪽으로 26km 떨어진 해상에 위치해 있으며,
구릉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평지다.
해안에는 간석지가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일부지역은 방조제를 쌓아 농경지와 염전으로 이용하고 있고 갯벌에서 잡는 낙지는 농업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병풍도의 가장 큰 특징은 보기섬과 신추도가 방조제로 연결되어 하나의 섬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맨드라미 피는 시기에는 마을이 축제장으로 바뀐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병풍도 증도초등학교 분교장은 1963년 분교장이 설립되어 교육을 시작했다가 2020년 3월 학생수 급감으로 인해 폐교되었다.
이후에 지도 방향에서 들어오는 연륙교가 완성되어 주민들 마저 증도로 이주하게 되고 쇠락해 갔지만 신안 플로피아 사업으로 맨드라미 마을로 바뀌었다.
신안군 증도면에 딸린 병풍도 맨드라미가 피어나는 시기에는 마을 모두가 빨갛게 변하여 색체의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예쁜 곳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증도면 병풍1길 54
[간이역 시간여행]
극락강역 연가
오늘도 말없이 승강장을 향한다
5시 20분
늘 그랬던 것처럼 막차가 오는 방향으로
마지막 빛을 쏟아내는 노을이
철로 위에 내릴 무렵 멀리서 기적이 운다.
기관사가 손짓으로 안부를 전할때
그도 늘 그랬듯 손을 흔든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은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아 돌아가는 풍경이듯
그도 철로를 지나 돌아올 무렵
제자리를 찾아가는 막차를 바라본다.
짧은 이별에는 말이 필요하지 않듯
묵묵히 찻잔을 든다.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완주군에서 재래 시장 활성화 일환으로 젊은 시장으로 바꾸어 놓은 고산 미소시장은 실재 운영하는 사장도 젊은 사람들이 많아 젊어진 시장이 되었다.
재래 시장이 과거 형태의 모습은 보이진 않지만 조형물에 지역 설화를 가미하여 벽화로 꾸며 볼거리를 주고 있기에 완주를 가거든 한번 쯤은 꼭 들려 볼 시장이라고 권해 본다.
특히 다른 지역에서 나는 곶감과 다른 흑곶감이 유명하고 가격면에서 가성비 좋고 맛이 좋아서 권해볼만한 상품이며 사람 냄새 물씬나는 미소시장이다.
주소 : 전북 완주군 고산면 남봉로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