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촬영지 시간여행]
죽굴도는 완도군에 위치하고 있지만 거리상으로는 해남 송호항에서 더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바로 앞 해상에는 역사 등대 중 하나인 어룡도 등대가 있다.
죽굴도는 몇 해전 삼시세끼라는 TV프로그램 촬영으로 일반인에게 알려진 섬이지만 형제가 살다가 불의의 사고로 형제 중 한분이 유명을 달리하여 1가구만 있는 섬이기에 거의 무인도서에 가까운 섬이다.
또한 촬영 중에 화재가 발생하여 복구를 약속하여 화재로 인한 상처를 지워낸 섬이 되었고, 지금은 섬 끝단 정상에 등대가 있지만 길이 없어질 정도로 무성한 풀이 자라난 섬이 되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 산 3
[유인도서]
죽굴도는 완도군에 위치하고 있지만 거리상으로는 해남 송호항에서 더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바로 앞 해상에는 역사 등대 중 하나인 어룡도 등대가 있다.
죽굴도는 몇 해전 삼시세끼라는 TV프로그램 촬영으로 일반인에게 알려진 섬이지만 형제가 살다가 불의의 사고로 형제 중 한 분이 유명을 달리하여 1가구만 있는 섬이기에 거의 무인도서에 가까운 섬이다.
또한 촬영 중에 화재가 발생하여 복구를 약속하여 화재로 인한 상처를 지워낸 섬이 되었고, 지금은 섬 끝단 정상에 등대가 있지만 길이 없어질 정도로 무성한 풀이 자라난 섬이 되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 산 3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저도 등대가 위치한 곳은 몇 개의 등대가 모두 해수면과 맞닿아 있어 큰 배로는 입도하기도 힘든 섬의 모서리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선상에서 바라보는 좌측은 명랑수로로 이어지고 우측은 흑산도 방향으로 나가는 중간 섬에 해당하며 저도 등대는 북서쪽 끝단에 자리하고 있다.
등대가 위치한 저도는 진도 본섬에서 약 1.3km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섬으로 이 섬의 서쪽으로 목포항과 제주항을 오가는 선박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항로 표지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4년 8월 24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진도읍 산월리 산 164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월두항 방파제 등대는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등대를 설치해 10월 한달의 시험운영을 거쳐 점등하면서 육지로 올라오는 선박의 항해에 도움이 되고 있다.
무안 해역은 조업의 활성화로 야간에 운항하는 선박이 증가하고 있으나 야간이나 안개가 짙게 낄 경우 암초와 방파제를 식별하기 힘들어 선박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지역인지라 등대의 역할이 중요하다.
월두항 방파제 등대는 월두항을 입출항하는 선박과 함평만 일대를 오가는 어선들의 안전 운항에 많은 도움이 되는 육지로 가는 수로의 마지막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2009년 10월 15일
주소 : 전남 무안군 현경면 용정리
[기적의 바다 갈라짐]
무안군 소당섬은 육지로 올라가는 마지막 방파제 등대가 있는 해변으로 월두 선착장에서 간조에 걸어 들어가는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소당섬은 차량이 간조에는 들어갈 수 있긴 하지만 워낙 작은 섬이기에 걸어서 들어가 섬을 돌아보는 것이 작은 사구지만 사구와 자갈 및 갯벌 등을 볼 수 있다.
섬을 들어서면 서낭나무 등에 오색천을 감거나 걸어놓아 서낭님 옷을 입힌다.고 하여 서낭님에게 헌물로 바치는 것을 상징하는 깃발이 감겨져 있다. 동쪽(파란색),서쪽(흰색),남쪽(빨간색),북쪽(검은색),중앙(노란색)을 상징하는 오방신장기가 보인다.
주소 : 전남 무안군 현경면 용정리 소당섬
[무인도서]
무안군 소당섬은 육지로 올라가는 마지막 방파제 등대가 있는 해변으로 월두 선착장에서 간조에 걸어 들어가는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소당섬은 차량이 간조에는 들어갈 수 있긴 하지만 워낙 작은 섬이기에 걸어서 들어가 섬을 돌아보는 것이 작은 사구지만 사구와 자갈 및 갯벌 등을 볼 수 있다.
섬을 들어서면 서낭나무 등에 오색천을 감거나 걸어놓아 서낭님 옷을 입힌다.고 하여 서낭님에게 헌물로 바치는 것을 상징하는 깃발이 감겨져 있다. 동쪽(파란색),서쪽(흰색),남쪽(빨간색),북쪽(검은색),중앙(노란색)을 상징하는 오방신장기가 보인다.
주소 : 전남 무안군 현경면 용정리 소당섬
[우리나라 바다 조형물]
전남 무안군과 영광군·함평군의 경계를 이루는 해제반도 북서쪽 끝 도리포에 있는 유원지이며 방파제에는 등대로 오인하는 세발낚지 조형물이 있다.
유원지는 모래사장이 길고 소나무 숲이 우거지며 해변이 넓어 해수욕과 해변놀이에 적당하기에 평소에도 휴가철에는 많은 여행객이 찾아오고 있다.
백사장을 지나 조금 더 들어가면 도리포 포구가 나오는데, 이곳 방파제에는 지역 특산물인 세발낚지 조형물이 세워져 있는데 등대로 오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등대가 아닌 조형물이다.
주소 : 전남 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4-15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목포 쪽에서 서쪽으로 보면 달리도의 바깥쪽에 외달도라는 작은 섬인데 요즘은 사랑의 섬이라 하여 하트 조형물이 예쁘게 설치되어 있는 섬이다.
작은 섬이지만 이 섬의 서북쪽 해안에는 해수욕장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휴가철에 즐겨 찾고 있으며, 연인의 섬으로 통한다.
그래서인지 주말에는 커플 여행객이 많이 찾고 있을 정도여서 그런지 끝자락에 배모양을 한 등표가 예쁘게 자리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2년 10월 16일
주소 : 전남 목포시 달동(외달도) 산147-8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거대한 섬 신안 흑산도를 방문하게 되면 항구로 들어오면서 만나게 되는 방파제 등대가 좌우에 보이게 되는데 남쪽을 담당하고 있는 적색 등대가 서 있다.
흑산도의 중심에 서 있는 상라봉을 배경으로 펼쳐진 방파제 위에 세워진 등대는 바다에서만 만날 수 있으며 육상에서는 등대 전체 모습을 보기 어렵다.
파도와 함께 보이는 등대의 참 모습은 먼바다로 나가는 길목에서 바라보는 등대 모양이 참 모습일 것이며 넘나드는 파도를 맞는 장면이 아름답기 그지없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01월 13일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진리 해상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무엇이던지 간에 최초라는 말이 붙으면 위대해 보이고 소중해 보인다. 호주 울릉공 등대는 뉴사우스웨일스 최초 점이 자동으로 이루어진 백년 넘는 역사 등대이기에 등대 앞에 서면 작은 키가 더욱 작아진다.
울릉군 등대는 시드니에서도 가깝고 주변 풍경이 아름답고 해수욕장이 있어 언제나 많은 여행객이 붐비는 해변 휴양 도시이기에 한나절 여행에 최고이다.
등대 앞에는 이곳이 요새였음을 보여주는 바다를 향한 화포가 설치되어 있고 인근에 역시 역등에 해당하는 등대가 3기 정도 있는 해변이다.
글, 사진 : 김보윤 작가
최초 점등일 : 1936년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시드니 해안 갭팍 절벽길을 오르다 보면 유럽의 성을 만나는 듯한 착각에 빠지는 맥쿼리 등대를 보게 되는데 흡사 가덕도 등대를 만난 듯 하지만 입구 앞에 들어서면 그 보다도 더 크고 거대한 사원 앞에 선 듯하여 엄숙한 분위기에 매료된다.
우리나라 팔미도 보다도 무려 백년이 앞선 호주 최초의 등대를 만나는데 최초 점등일이 18세기이니 대항해시대 이후 호주 등대가 바다를 정복한 느낌마저 든다.
해안가의 절경을 보며 걷다 보면 세계대전 당시의 모습이 재현되어 있으며 곳곳에 옛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문화유산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다.
글,사진 : 김보윤 작가
최초 점등일 : 1818년 12월
공식 점등일 : 1883년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창원 막개도는 거제에서 창원 방향으로 올라가다 보면 만나게 되는 기억해야할 치욕의 포탄기념비 취도를 지나 창원시로 들어갈 무렵 만나게 되는 섬이다.
막개도라 불리기도 하고 사궁두미라고도 불리고 있는데 그 이름의 유래는 아마도 마주보고 있는 마을 이름에서 유래된 듯 하다.
좁아지는 해협 중앙에서 창원 포구로 가는 작은 여 위에 우뚝 솟은 등대만이 유일한 건물이며 한바퀴를 도는데 10분도 안걸리는 작은 섬이다.
최초 점등일 : 1962년 2월 7일
주소 : 창원시 마산 합포구 덕동동 산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