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장성에 가면 자작나무숲을 방문한 뒤 잠시 들려서 동심의 세계로 들어가 볼 수 있는 장성 이색 카페 달콤한 주전자를 들려 보아야 한다.
작업장과 체험장 은 임동희 조각가가 직접 모든 것을 제작하여 전시관을 방불케하는 공간을 만들어 놓았다.
이곳에서는 수제 돈가스와 정읍의 명물 쌍화차를 드실 수 있고 잠시 쉬면서 주변을 돌아본다면 아마도 흡족한 마음이 들 것이다.
주소 : 장성군 북하면 단풍로 1122
[카페]
전북 무주군의 전북 제사 1970 뽕다방은 요즘 핫하게 떳던 가짜 사나이 등의 촬영지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공장 전체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흡사 전쟁 세트장을 보는 듯 한 맛이 강하게 나는 곳이다.
빈티지라고 하기에는 조금 미흡하지만 과거 공장을 새롭게 변신시켰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 차 한잔을 마시면서 전쟁터 분위기를 느껴볼 수 있는 곳이다.
폐건물을 인스타 감성 충만한 카페와 서바이벌 게임장(데프콘)으로 활용하고 있다.
주소 : 전북 무주군 무주읍 무설로 104
[맛집]
담양 메타길이라 워낙 유명한 관광지가 되어 유료화 되었지만 진안 메타길은 인근에 남원과 전주가 가까워 가을이면 사진 찍는 이들로 부쩍 대는 곳 중에 하나인 곳이다.
우선 근처에 식당이 없는 것도 특징 중에 하나이지만 메타길 하나만으로 손님이 드는 이색적인 식당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은 화덕피자를 굽지 않고 있어 브런치 형태로 식사를 겸할 수 있는 곳이기에 메타길을 방문하는 여행객에는 알맞는 카페이다.
주소 : 전북 진안군 부귀면 원세동길 7-14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함평 시장은 나비 축제로 유명한 함평에 있는 전통시장이며, 정기 시장과 함께 개설되어 전국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우시장도 함께 개설되어 있다.
함평 시장에서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농산물과 수산물을 주로 거래하지만 함평 천지에서 나오는 햇쌀이 주로 거래되는 곳이다.
또한 나비 축제로 유명하며 3일과 8일에 열리고 전남에서는 규모가 큰 5일장이기에 장날에는 많은 인파가 몰린다.
주소 : 전남 함평군 함평읍 시장길 49-1
[카페]
작은 한양이라 일컬어지는 나주에 근대화 건물에 스토리를 더하여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간 마중3917 카페가 탄생했다.
근대화 과정에서 지어진 한옥을 국가 등록 문화재로 신청하여 실사후에 더해진 젊은 감각은 대표의 역사 의식이 그대로 나타나 있는 멋진 카페이다.
요즘 카페 추세를 보면 대형화만 되어 있지 스토리가 없는 곳이 많아 반짝이다가 사라지는 곳이 많아지는 것에 비하여 마중3917 오랜 세월 속에서 나주와 함께 할 것으로 보이는 카페이다.
주소 : 전남 나주시 교동 16
[카페]
문경 오미자 터널은 1954년에 완공되어 열차가 지나던 터널이었지만 문경선의 폐쇄로 인근 가은역과 불정역과 더불어 운행이 중단 곳이다.
문경 오미자 터널은 총 길이 540미터로 문경의 오미자 등의 홍보를 위해 만들어진 곳으로 이 터널의 원래 이름은 석현 터널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
내부 시설에는 공룡의 어드벤쳐와 여러 포토 라인 설치로 잠시 시간을 내어 둘러볼 수 있도록 리모델링하여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주소 : 경북 문경시 마성면 문경대로 1356-1
[한국의 역사 등대]
항로표지 중에 시각 표지에 해당하며 그중에서도 광파표지, 대형에 속하는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이 바로 등대이지만 어찌 등대를 사전적 의미로만 해석할 수 있을까.
등대의 가장 주요한 목적은 항해하는 배에게 암초나 육지를 표식해주는 역할이니 길라잡이 역할이라고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등대는 야간에 운항하는 선박에게 식별이 어려운 곳에 좌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유일하게 속초등대만 과거의 형태를 띄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57년 6월 8일
주소 : 강원 속초시 영금정로5길 8-28
[카페]
안목항 커피 거리는 해변 바로 옆에 안목항이 있어 봄에는 미역, 여름에는 가자미, 넙치(광어), 오징어, 문어, 민들조개(째복), 가을과 겨울에는 도루묵, 명태, 우럭 등을 23척의 어선들이 잡아 오전 9시 귀항한다.
피서철이 끝나는 8월말 경에는 고등어가 멸치를 잡아먹기 위해 쫓는데, 바닷가로 밀려나오는 멸치떼를 바가지, 반두 등으로 떠내는 일이 종종 있는 곳이다.
최근 이 곳은 예쁜 카페가 루프탑을 갖추고 즐비하게 늘어서서 매년 커피 축제를 개최할만큼 아름다운 거리로 탈바꿈하였다.
주소 : 강원 강릉시 창해로14번길 20-1
[해변/해수욕장]
견소동에 위치한 넓은 면적의 백사장이 있는 안목해변은 가족 단위 피서객이 즐기기 적합한 곳이며, 남대천 하구 반대편에 위치한 남항진에서 송정으로 가는 마을 앞에 있는 길목이라는 뜻에서 생긴 말이다.
견소는 남대천에서 흐르는 물이 바다로 빠지는데 죽도봉에서 바다로 흐르는 물을 내려다보면 물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여 견조라 썼다고 한다.
전주에서 떠내려 왔다는 해발 37m의 젠주봉이 있는데, 전설에 의하면 전라도 전주에서 해마다 땅세를 받아갔다고 이를 젠주 염전되듯이라고 한다.
주소 : 강원 강릉시 창해로14번길 20-1
[숙박]
4계절 테마라는 스토리로 영업에 임하고 있는 평창 켄싱턴 호텔은 동계 올림픽 당시 외국인 손님을 맞이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곳곳에 유명 작품들이 배치되어 있어 미술관이라는 느낌을 준다.
가을과 겨울이 특히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보여주고 있어 머무는 동안 자연속에서 아름다운 시간을 충분히 보낼 수 있는 숲속 힐링 호텔이다.
동계 올림픽 당시 국내 선수들의 모습과 메달이 전시 되어 있어 올림픽 모습을 상상해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볼거리가 되고 있다.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진고개로 231
[카페]
빵을 굽는 분이 현 제빵사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강남 대치동에서 블랑제리 갸또를 10년이상 운영한 실력으로 자연 친화적인 공간인 일영 허브랜의 솔베이지 베이커리 카페를 시작한 곳이다.
이름이 옛스러운 듯 하지만 태안의 지명을 제대로 살렸고, 모든 데코가 빈티지 하면서도 누추하지 않은 고급진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장소이기도 하다.
안면도에서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제빵소이지만 곁에 둔 팜 카밀레 농장이 있어 베이커리 카페인 몽산포 제빵소가 더욱 예쁘게 다가오는 것 같다.
주소 : 충남 태안군 남면 우운길 56-19
[카페]
강릉의 넓은 대지에서 비롯된 순 우리말로 강릉을 하슬라라 부르고 있음을 아는 여행객은 얼마나 될까. 얼핏 듣다 보면 외국어로 들릴 수 있으나 가베 역시 우리말로 된 커피이니 카페 전체 이름은 강릉커피 정도로 해석하면 정확할 것 같다,
안목 해수욕장의 시원한 바다가 한눈에 들어오는 고급진 루프탑은 여러번 가보아도 새롭다는 느낌이 절로 드는 곳이기도 하다.
해가진 이후에 파도가 들어오는 길목은 아름다운 음악 보다도 듣기 좋은 소리일 듯 싶다,
주소 : 강릉 항목항 커피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