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해수욕장]
목포에서 신의도로 들어와서 차량으로 이동하다 보면 해안가에서 하태길을 만나게 되는데 이곳에선 잔물결이 아름답게 일어나서 한참을 바라보게 된다.
가끔 지나가는 낚시꾼이라면 몰라도 관광객들은 굳이 머나먼 이곳까지 찾아오지 않기에 좀처럼 큰 맘 먹지 않으면 쉽게 가 볼 섬은 아니다.
하지만 여객선의 접안시설이 설치되고 하의도와 다리가 완공되어 예전보다는 많은 관광객들이 이곳을 찾고 있으며 배시간이 촉박하지 않으면 쉼도 좋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신의면 하태길
[군산 지방 해양수산청]
부안 모항 북단 등대는 김상수 감독의 영화에서 배경된 등대에 가려져 좀처럼 낚시꾼 외에는 여행객을 보기 힘든 방파제 위에 우뚝 서 있는 등대이다.
영화 촬영지를 찾다 보면 노을 무렵에 이곳이 영화 촬영지가 왜 되었는지를 알게 되는데 채석강 노을처럼 고운 빛이 아름답게 내리는 곳임을 알게 된다.
주변 세트장 관리 상태에 실망하는 경우가 많아서 다들 와보고 실망할 수도 있겠지만 작은 어촌 마을과 함께 영화의 배경이 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최초 점등일 : 2000년 10월 4일
주소 : 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항구/선착장]
설도항은 이름만 들으면 언제나 눈내리는 항구이니 겨울에 방문하면 좋은 항구이지만 외지인은 워낙 멀어서 눈을 만나는 경우가 쉬운 항구는 아니다.
설도항은 영광군에 위치한 작은 항구이고 염산이라는 지명에는 소금 염자가 들어갈 정도로 천일염 소금이 유명한 곳이며, 염전에서 만들어지는 품질이 좋은 소금이 거래되는 항구이다.
드넓은 갯벌은 서해가 왜 갯벌천국이라고 말하는지를 알게 될 정도로 드넓고, 평야처럼 펼쳐진 갯벌인 칠산갯길을 안고 있다.
주소 : 전남 영광군 염산면 봉남리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설도 시장이 가장 붐비는 때는 김장철을 앞두고 전남 영광에서 품질 좋은 각종 김장 재료를 구입할 수 있는 행사가 열리는때인데 이때가 볼거리가 많다.
축제는 4일 동안 염산면 설도항 일대에서 염산 젓갈,염전에서 생산된 천일염, 농수산물 대축제가 개최되면서 많은 인파가 몰린다.
상인들이 중심이 돼 추진되는 이 축제는 각종 공연과 노래자랑, 농산물 참여 이벤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계절풍의 영향으로 천일염 생산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주소 : 전남 영광군 염산면 설도항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병풍도는 전남 신안군 증도면에 딸린 섬으로 목포에서 서북쪽으로 26km 떨어진 해상에 위치해 있으며,
구릉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평지다.
해안에는 간석지가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일부지역은 방조제를 쌓아 농경지와 염전으로 이용하고 있고 갯벌에서 잡는 낙지는 농업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병풍도의 가장 큰 특징은 보기섬과 신추도가 방조제로 연결되어 하나의 섬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맨드라미 피는 시기에는 마을이 축제장으로 바뀐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병풍도 증도초등학교 분교장은 1963년 분교장이 설립되어 교육을 시작했다가 2020년 3월 학생수 급감으로 인해 폐교되었다.
이후에 지도 방향에서 들어오는 연륙교가 완성되어 주민들 마저 증도로 이주하게 되고 쇠락해 갔지만 신안 플로피아 사업으로 맨드라미 마을로 바뀌었다.
신안군 증도면에 딸린 병풍도 맨드라미가 피어나는 시기에는 마을 모두가 빨갛게 변하여 색체의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예쁜 곳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증도면 병풍1길 54
[간이역 시간여행]
극락강역 연가
오늘도 말없이 승강장을 향한다
5시 20분
늘 그랬던 것처럼 막차가 오는 방향으로
마지막 빛을 쏟아내는 노을이
철로 위에 내릴 무렵 멀리서 기적이 운다.
기관사가 손짓으로 안부를 전할때
그도 늘 그랬듯 손을 흔든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은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아 돌아가는 풍경이듯
그도 철로를 지나 돌아올 무렵
제자리를 찾아가는 막차를 바라본다.
짧은 이별에는 말이 필요하지 않듯
묵묵히 찻잔을 든다.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완주군에서 재래 시장 활성화 일환으로 젊은 시장으로 바꾸어 놓은 고산 미소시장은 실재 운영하는 사장도 젊은 사람들이 많아 젊어진 시장이 되었다.
재래 시장이 과거 형태의 모습은 보이진 않지만 조형물에 지역 설화를 가미하여 벽화로 꾸며 볼거리를 주고 있기에 완주를 가거든 한번 쯤은 꼭 들려 볼 시장이라고 권해 본다.
특히 다른 지역에서 나는 곶감과 다른 흑곶감이 유명하고 가격면에서 가성비 좋고 맛이 좋아서 권해볼만한 상품이며 사람 냄새 물씬나는 미소시장이다.
주소 : 전북 완주군 고산면 남봉로 134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1956년 건립되어 대전역이 새롭게 탄생되는 순간에도 보존되어 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목조로 된 창고이다.
이 건물은 철도청의 필요 물자를 이동·보관하던 창고로 건립되었으며, 건립 당시에는 조달본부 대전 주재로 불리다가 철도청 대전 지역 사무소 재무과 보급 창고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목재 트러스 지붕구조로 건물 내부 중간에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 공간의 활용성을 높였으며, 외부 마감은 목재 널판을 사용하여 통풍성이 뛰어나다.
주소 : 대전시 동구 소제동 299번지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대한민국 남자라면 누구나 다녀오는 곳이 군대인데 다녀오기전까지는 때에 따라서는 괴롭고, 힘들고 외로움의 길이지만 다녀오고 난 이후로는 생의 추억거리로 자리하게 된다.
무안 밀리터리 테마파크는 무안 출신으로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한 옥담호 장군이 후세들의 교육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사재를 들여 만든 호담 항공 우주전시관을 필두로 폐교위에 재탄생한 곳이다.
학생수 감수로 폐교된 곳을 재활용한 멋진 아이디어지만 관광객 수가 감소 되고 있음에 안타까운 마음이 절로 든다.
주소 : 전남 무안군 몽탄면 우명길 21
[365일]
작년에는 전국에 강한 바람과 비가 많아서인지 유독 올해는 눈이 많이 내리는지라 사진찍는 이들에게 더할 나위 없는 즐거움을 주지만 생업에 종사하는 이들에게는 코로나와 더불어 최악의 겨울이 되는 듯 하다.
재즈 음악 중에 피터슨 트리오의 Night Train은 듣기가 무척 편하기 때문에 자주 듣고 있는데, 그의 음악을 듣노라면 가슴속에 겨울이라는 시간을 따뜻한 봄으로 만들어주는 묘한 마력이 있기 때문이다.
복수초를 담는 동안 내내 그의 음악을 들으며 담다 보니 봄이 오는 착각에 빠진다.
[365일]
흔히들 복수초는 눈과 얼음 사이에서 핀다고 하여 설련화, 얼음새꽃이라고도 부르는데 서양에 에델바이스가 있다면 우리에겐 복수초가 있다.
위로는 눈속에서 홍매화가 피어나고 눈속에서는 복수초가 피어나는 아름다운 봄을 부른다. 복수초는 산지 숲 속 그늘에서 자라며 잎은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에 작은 털이 있다.
일본에는 많은 관상용 품종이 있고, 중국에서는 뿌리를 측금잔화라고 하지만 한방과 민간에서 진통제로 사용하지만 유독성 식물이다. 꽃말은 슬픈추억인데 피기전 모습이 영락없이 연꽃과 닮아서 많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