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왕인이 일본으로 떠날 때 배를 탔던 상대포도 복원되어있으며, 왕인이 고향을 떠나면서 마지막으로 마을을 돌아보았다는 돌정고개도 남아 있다.
이곳은 백제 때의 토기제조촌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방에서 벌어지는 산유놀이 때, 왕인이 마셨다는 성천의 물을 마시면 왕인과 같은 훌륭한 사람을 낳는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유적지는 구림마을의 동쪽 문필봉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왕인이 새롭게 조명되면서 그의 자취를 복원해 놓은 곳에서 매년 벚꽃이 필때 축제를 연다.
주소 : 전남 영암군 군서면 왕인로 440
[카페]
섬을 여행하면서 잠시 몸을 쉬게 할 카페를 만나기는 그렇게 쉽지는 않다. 그 이유는 카페가 섬 안에 없기 때문이다.
연륙교가 이어져 이제 섬달천 역시 육지가 되어 주말이면 많은 여행객들이 붐비게 되자 몇개의 카페가 생겨났는데 그 중 분위기와 조형물 그리고 실내 인테리어가 현대적 감각인 달 카페를 권해본다.
단지 아쉬운 것은 주변 섬이나 분위기와는 전혀 다른 지중해 연안을 보는 듯한 맛이 강해서 토속적인 맛은 전혀 나지 않는 것이 흠이다.
주소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섬달천길 114-3
[맛집]
강진은 예로부터 한상 차림의 한정식이 유명하지만 옛스러움의 한상차림의 명동 식당이 있다면 약간의 퓨전스타일의 한정식은 다강 한정식이다.
깔끔한 한상 차림에 친절함이 몸에 베인 직원들의 미소에서도 맛을 느낄 수 있으며, 가격 대비 가성비가 좋은 한정식이라 말할 수 있다.
2인 이상이면 차림을 받을 수 있으며 4인 기준 십만원짜리 한상을 권해보고 싶지만 취향대로 먹어보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하다.
주소 : 전남 강진군 강진읍 중앙로 193
전화 : 061-433-3737
[숙박]
한옥은 안과 밖이 통하고, 몸과 영혼이 엮이는 집이 한옥인데 이런 장점을 살리고, 현대적인 시설을 접목시킨 한옥 호텔 영산재이다.
영산재는 전남 최초의 한옥호텔로써 21호의 객실을 갖춘 한옥마을의 형태이며, 겉은 선이 아름다운 한옥이지만, 내부는 현대식 고급호텔의 시설을 갖췄다.
특히 한옥 정자와 돌을 쌓아 만든 담장으로 조성하여 한옥의 멋을 한껏 느낄 수 있고, 역사와 문화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국내 관광객에게는 전통문화교육의 공간이 될 것이다.
주소 : 전남 영암군 삼호읍 나불외도로 126-17
전화 : 061-464-4600
[유인도서]
가우도로 들어가는 길은 여러 갈래인데, 저두리의 중저마을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들어가는 방법과 도암 망호마을의 월곶지 포구에서 배를 타고 들어가기도 했다고 한다.
지금은 주로 중저마을 길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곳에 출렁다리와 철교가 생겨 이제는 육지가 되어 걸어서 갈 수 있게 된 것이다.
출렁다리 입구에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으며, 두 개의 교각으로 이루어진 사장교인 출렁다리와 교량 폭은 좁지만 철교가 세워져 두 사람이 나란히 걸어갈 수 있는 보도는 나무로 되어 있다.
주소 :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신기리
[해변/해수욕장]
여자도에 처음 사람이 들어온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 전 임진왜란 당시로 남원 방씨가 승주군 낙안면 선조에서 이 섬에 처음 들어와 마파지 마을에서 살았다고 전해진다.
행정 지명은 여수시 화정면 여자리로 여수반도와 고흥반도 사이의 여자만이 있으며 평균 바다 수심이 비교적 낮고 순천과 벌교 방향에서 유입되는 육수가 유입되어 좋은 갯벌과 염도로 인해 패류들이 살기 좋은 서식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해변은 모래사장이 화산 영향으로 검은 모래가 많고 화산석이 도처에 즐비해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여자리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마량항은 광주에서 강진을 지나 우리나라 서남부 최남단에 위치해 있으며 완도 다도해 및 제주도를 연결하는 청정해역으로 바다낚시의 보고이다.
조선 초기 태종 초 1417년 마두진이 설치되어 만호절제도위가 관장하였고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겪을 당시 거북선 1척이 상시 대기하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유서 깊은 만호성터가 현재 남아 있으며 마량항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돋보이는 항구이며, 일반적인 방파제이지만 노을이 들면 아름다운 미항이 된다.
주소 : 전남 강진군 마량면 미항로 150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마량이라는 지명은 조선시대 일정하게 국가에 바쳐지던 제주 말이 한양으로 이동하는 유일한 관문으로
강진에 도착한 제주 말들은 마량에서 일정 기간 적응기간을 보냈다고 하는데 여기서 유래되어 지명이 마량이 되었다.
말을 매개로 하여 제주도와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져 강진 마량은 말과 관련된 지명들이 많은데, 마량 역시 말이 잠시 머물렀다고 해서 불리게 된
지명이라고 한다.
남도 답사 일번지로 불리는 강진을 가게되면 한적한 마량항을 가게 되는데 아쉽게도 지금은 코로나로 인하여 모두 영업을 멈추고 있는 시장이다.
주소 : 전남 강진군 마량면 미항로 150
[항구/선착장]
가우도는 목교가 완공되어 육지가 된 섬이며, 강진만의 8개 섬 가운데 유일한 유인도이고, 소의 머리에 해당되고 섬의 생김새가 소의 멍에에 해당 된다하여 가우도라고 부르게 되었다.
가우도는 사방으로 강진만과 무인도를 조망할 수 있으며 해안경관이 매우 우수하고 섬 내부에는 후박나무, 편백나무 군락지 및 곰솔 등 천혜의 관광 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자산어보를 집필한 정약전과 정약용의 이별을 한 작은 항구로 유명한 까닭에 선착장에 형제를 상징하는 조형물과 특산품인 가오리가 세워져 있는 항구다.
주소 : 전남 강진군 도암면 신기리 산31-2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전국에 새마을 창고는 아직 많이 남아 있지만 전국에 산재된 돌창고는 이제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하나둘씩 사라져 가고 있는 현실이다.
70년대에 새마을 운동에 힘입어 대통령하사품 창고나 새마을 창고는 마을 공동 작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보관 기능의 창고였기에 아직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돌창고는 근대문화재 지정 또는 젊은 예술가들의 공간으로 탈바꿈하여 보존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람이 떠나면 건물 역시 1년도 안되어 폐허 수준에 이르게 되는데 창고 역시 관리가 소홀하면 바로 무너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주소 : 전남 무안군 일대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여자도 소라학교 본교는 우리학교는 1921년 개교하여 8,826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오래된 역사를 지닌학교이고 4개의 분교를 안고 있다.
여자도 분교는 몇해전까지는 3명의 학생이 있었으나 1명이 육지로 전학하여 2명으로서 수업이 불가하여 인원수 감소로 폐교된 분교이다.
모든 섬이 그렇겠지만 학생수 감소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이기에 폐교 후 학교를 활용하는 여러 연구안이 나오긴 하지만 섬의 특색에 맞는 방안이 가장 우선시 되었으면 좋겠다.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여자리
[간이역 시간여행]
호남선은 1914년 전 구간이 개통되면서 기차가 다니기 시작하였고, 일본 본토 방향을 상행으로 잡아 대전역에서 현재의 대전선을 타고 나가는 지선 형태로 놓였고, 이 시기까지 서울을 오가는 호남선 열차는 대전역에서 기관차 방향을 바꾸어야만 했다.
1939년에 일찌감치 전 구간이 복선화된 경부선과 달리 호남선 전 구간의 복선화는 2003년 말에야 완료되었다.
경부선과 호남선의 이러한 위상 차이는 호남 차별의 상징적인 사례처럼 거론돼 왔으며, 역대 대선에서도 호남선 복선화 공약은 단골손님이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선화가 완료되기까지는 40년에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주소 : 일로역과 명산역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