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지방 해양수산청]
삼척 장호항은 얼마전 개통된 케이블카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고 인근 작은 무인도서인 내독암과 정도와 월미도가 있어 풍경이 아름답게 보인다.
여름 피서철에는 물놀이를 즐기며 다양한 레저 활동을 할 수 있고 달이 뜨는 한 밤 중은 서정성이 바다로 짙게 내려와 여행객을 시인이 되게 하는 어촌이 된다.
방파제 등대는 현재 주변 방파제 공사로 인하여 건너 보이는 빨간색 등대는 출입이 통제 되어 있으며 항만 공사가 오래도록 지속 되기에 당분간 어렵지 싶다.
단지 아쉬운 점은 동해라 일출을 바다에서 볼 수 있다는 착각을 해서는 안되고 뒷 산 너머에서 해가 오르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한다.
최초 점등일 : 1999년 09월 116일
주소 : 강원 삼척시 근덕면 장호항길 12-10
[동해 지방 해양수산청]
삼척 장호항은 얼마전 개통된 케이블카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고 인근 작은 무인도서인 내독암과 인근에 정도와 월미도가 있어 풍경이 아름답게 보인다.
여름 피서철에는 물놀이를 즐기며 다양한 레저 활동을 할 수 있고 달이 뜨는 한 밤 중은 서정성이 바다로 짙게 내려와 여행객을 시인이 되게 하는 어촌이 된다.
방사제 등대는 빨간색으로 되어 있으며 인근 해수욕장의 모래가 쓸려 내려가지 않도록 항구 안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단지 아쉬운 점은 동해라 일출을 바다에서 볼 수 있다는 착각을 해서는 안되고 뒷 산 너머에서 해가 오르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한다.
최초 점등일 : 1992년 08월 14일
주소 : 강원 삼척시 근덕면 장호항길 12-10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정읍시에 속한 마을 단위의 구석 구석을 다니는 버스 터미널은 첫차에서 막차까지 쉼없이 움직이는 살아 숨쉬는 지역의 보물에 속하는 소중한 곳이다.
시외로는 전주, 부안, 고창, 장성, 광주까지 왕복 운행하는 교통 중심의 요충지이며 정읍 마을의 구석 구석까지 다니기에 소읍 기행하기에는 참 좋은 터미널이다. 단지 아쉬운 것은 작은 터미널은 항상 보이던 간식 거리를 파는 작은 포차가 없고 슈퍼나 편의점이 대세인 점이라는 것이다.
인근 마을에 막차를 타고 다녀온 이들의 표정에서 우리는 터미널은 떠난 사람이 돌아오는 곳이라는 서정성을 되새길 수 있는 장소라는 것을 읽을 수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서태길 29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보(洑)라는 것은 논에 물을 대기 위하여 둑을 쌓고 냇물을 가두어 두는 곳을 말하는 넓은 평야에서 주농사였던 벼농사를 위한 수로 역할을 했다.본래 정읍천과 태인천 상류에 농민들이 설치한 보가 있었으나, 고종 30년(1893) 고부군수 조병갑이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두 하천이 합류하는 하류지점에 새로 만석보를 축조하였다.
만석보가 완공된 후 가을에 새 보에 대한 수세라는 명목으로 많은 양의 쌀을 착취하자 농민들이 분개하여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민란을 일으켜 동학농민운동의 발단이 되었다.
만석보는 농민들에 의하여 파괴되어 지금은 둑을 쌓았던 흔적만이 남아있으며 1973년 동학 농민 운동의 근원지인 이곳을 기념하기 위해 비를 세웠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이평면 33-1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포항 영일대는 대한민국 최초의 해상 누각으로서, 강릉과 더불어 해상 누각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고 해수욕장과 함께 있어 언제나 여행객이 붐비고 있다.
영일대 해수욕장에 영일대의 조명 시설이 완공된 뒤부터는 야경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가 되었으며 두호동행정복지센터 앞 해상 100m지점에 위치해 있다.
고사 분수는 대한민국 최초의 해상 고사 분수로서, 바다 시청 앞 해상 250m지점에 위치해 최대 높이 물을 뿜으며, 사방에 LED 조명등이 갖추어져 있다.
길이가 넓게 장방형으로 펼쳐진 해수욕장 내에 있어 피서철을 제외하고도 주말이면 야경을 보는 여행객들로 붐비는 포항의 명소이다.
주소 : 경북 포항시 북구 해안로 107 영일대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포항 종합 제철소 초창기 건설은 시작부터 장애물이 많은 상황이었으나 세계은행은 채산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국내외의 많은 기관이나 회사들도 마찬가지로 제철소 건설을 회의적이라 보았다.
그러나 산업화 초입에 들어선 입장에서 철강의 자체생산은 필수불가결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어떻게든 제철소 건설을 성사시켜야 했었다고 한다.
건설 초기 박태준은 종합 제철소 건설에 쓸 자금 조달을 위해 세계 철강업 계와 금융기관들에게 협조 요청을 했지만 낯선 후진국 대한민국에다 종합 제철소를 짓는 것이 성공할 수도 없고, 필요하지도 않다고 판단하면서 어려움이 많았지만 이를 극복하여 오늘날의 명실상부한 종합 제철소가 되었다.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안로 6261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이 시설물은 일본의 고레가와 제철(是川製鐵)이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에 공장을 건립한 뒤 설치한 소형 용광로 8개 가운데 하나이다.
고레가와 제철은 광복 후 삼화 제철소로 이름이 바뀌었고, 1993년 포스코가 인수해 원형을 복원한 뒤 03년부터 포스코 역사관 야외 전시장에 전시하고 있다.
남한에 건립한 용광로 중 가장 오래되었으며, 지금까지 유일하게 남아 있는 용광로이며 포항 제철이 건립되기 전까지 하루 20t의 선철을 생산하며 국내에서는 유일한 용광로 역할을 담당했다.
우리나라 제철 기술과 제철 공업 발달사에서 중요한 자료가 되는 산업 시설물로 역사적·산업적 가치가 높으며 야경을 더하여 야외에 전시되어 있다.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안로6213번길 15-15
[간이역 시간여행]
신태인역은 호남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감곡역과 초강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1912년 12월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신태인은 지명보다 역명이 먼저 붙여진 곳인데 원래 태인군과 북촌면의 양면으로 분리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용북면으로 합병되었다.
지금의 역사는 1985년에 과거 모습에서 탈피하여 신역사를 개축하여 오늘에 있어 지금 역에서는 과거의 모습을 찾기는 힘든 역이다.
일부 특별 편성된 열차는 통과하며, 용산역에서 광주송정역 구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와 주말 임시 누리로 열차는 무정차 통과하는 열차가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정신로 1163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구 나주역은 호남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노안역과 다시역 사이에 있었으며, 1913년 2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죽림동에 위치했던 구 나주역은 1929년 광주로 통학했던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들이 충돌하면서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촉발시킨 역이었다.
그래서 그 의의 때문에 이설이 미뤄져 오다가, 2001년 7월 호남선 복선화 부분 개통으로 인하여 영산포역과 통합하여 나주 시청 앞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구) 나주 역사는 초기의 역사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밀랍 인형을 사용하여 당시의 역무원들의 개찰 모습과 철도청과 철도 공사 시절의 물품들을 건물과 함께 관람할 수 있다.
주소 : 전남 나주시 나주역길 56 구 나주역
[울산 지방 해양수산청]
동해안은 속초 죽도 등대를 제외하고는 거의가 내륙에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거기에 모양과 조형물이 있어 더욱 많은 이들을 부르고 있다.
얼마전 도시 재생 사업으로 방파제와 주변 마을이 정리가 되고 예술 작품이 들어서서 여행객에게 볼거리를 많이 주고 있다.
이 등대의 안은 볼 수 없고 3층 정도의 높이여서 올려다 보면 하늘과 대비해 아름답게 보이며 등대에서 바라보는 방어진 항구는 최고의 사진 명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최초 점등일 : 1958년 5월 1일
주소 : 울산시 동구 방어동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함부르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공항역에서 시간에 맞추어 야간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에 야간 열차를 권유하고 싶다.
셔틀 내리는 곳에서 공항 안으로 들어가면 표지판에 기차타는 곳의 Train Station 이정표를 보고 이동하면 되며 공항역까지 무료 셔틀 버스가 운행 중에 있다.
이 노선은 국립공원 연계 노선이기에 많은 트래커들의 중심 이동 수단이며, 야간 열차에 짐 칸이 별도로 운영되고 있고 전형적인 독일 열차를 경험할 수 있는 좋은 운송 수단이다.
주소 : Hugo-Eckener-Ring 1, Frankfurt, Hesse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함부르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공항역에서 시간에 맞추어 야간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에 야간 열차를 권유하고 싶다.
셔틀 내리는 곳에서 공항 안으로 들어가면 표지판에 기차타는 곳의 Train Station 이정표를 보고 이동하면 되며 공항역까지 무료 셔틀 버스가 운행 중에 있다.
이 노선은 국립공원 연계 노선이기에 많은 트래커들의 중심 이동 수단이며, 야간 열차에 짐 칸이 별도로 운영되고 있고 전형적인 독일 열차를 경험할 수 있는 좋은 운송 수단이다.
주소 : Hugo-Eckener-Ring 1, Frankfurt, Hes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