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해수욕장]
방축도는 군산군도에 딸린 섬으로 군산에서 남서쪽으로 34km 떨어진 해상에 있으며, 선유도의 서북쪽에 위치한 섬이다.
고군산열도(선유도, 무녀도, 대장도, 소장도, 신시도, 야미도)의 방파제와 같은 구실을 하는 섬이라고 해서 방축도라는 지명이 붙었다.
고군산(古群山)은 옛날 군산을 의미하며 현재의 군산은 하나의 도시이지만 원래는 지금의 군산 앞바다에 떠있는 섬들을 아우르는 지명이었다고 한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해남 우수영 문화 마을은 구국의 성지로 널리 알려진 곳이지만 코로나 발생으로 모든 축제가 취소되어아직까지 여행객이 없는 지역이 되었다.
우수영은 조선 시대 전라우도 수군의 본영으로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 바다를 지켜온 곳으로 문화와 예술을 입혀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 되었다.
2016 마을미술 프로젝트 개막식을 지난 16일 우수영 마을은 곳곳에 예술가들의 조형물과 벽화가 어우러져 예술인 마을이 되었다.
주소 : 전남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안길 96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다산초당은 처음에는 강진읍 동문밖 주막과 고성사의 보은산방, 제자 이학래 집 등에서 8년을 보낸 후 1808년 봄에 다산초당으로 거처를 옮겼다.
유배에서 해배되던 1818년 다산초당에서 생활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저술을 하였으며, 다산의 위대한 업적이 대부분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만덕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등 600여권에 달하는 조선조 후기 실학을 집대성 하였던 곳이다.
주소 :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몇해전 일반인에게 개방된 차귀도로 인하여 출발항인 자구내포구에서 만나게 되는 고산 등표는 차귀도와 와도 사이에서 노란색으로 솟아있다.
포구에서 5분 거리에 있지만 유람선이 지나지 않아 멀리서 밖에 볼 수 없고 와도의 멋스러움에 반하면서 등표에 관심있는 분들에게만 보이는 등표이다.
이곳은 평소에도 해녀들이 작업을 하는 해안이기에 차귀도를 들어가면서 등표를 먼저 볼 수 있고 만조시에는 많이 잠겨 있어 밑둥을 볼 수 없음이 아쉽다.
최초 점등일 : 2000년 12월 30일
주소 : 제주시 한경면 고산항 전면해상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서망항 곁에 팽목항을 두고 있어 세월호 사건 이후에 온 국민이 알게 된 항구이기에 어쩌면 기억해야할 항구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4월이면 언제나 가슴 언저리에서 먹먹함이 오르는 것은 세월호에 빚진 듯한 느낌이 가슴에 남아 있기에 서망항에 오게 되면 무거운 마음이 든다.
서망항이 국가 어항이 된 이후로 확장 공사와 더불어 제반 시설 확충으로 선창가가 다소 어수선 하기도 하지만 드나드는 어선에게는 필수시설이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임회면 서망항길 70-27
[항구/선착장]
진도 서망항은 1985년 1종항으로 지정되어 어촌·어항법에 따라 1종항에서 국가어항으로 구분·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국가 어항은 이용 범위가 전국적 어업 근거지로서, 현지 어선의 수가 80척 이상이고, 그 합계 총 톤수가 200톤 이상인 항구·포구에 한한다.
또한 기상 악화시 대피항으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서망항은 서망리에 있는 항구라는 데서 이름 붙여졌으며 노을이 아름다운 항구로 이름이 높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서단 등대는 서망항에서 가사도 방향으로 항해하는 모든 선박이 맨 처음 만나게 되는 등대인지라 한번쯤 지나가며 만난 적이 있는 등대이다.
무인등대로 진도 본섬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여서 진도 서단 등대라는 이름이 붙어있으며, 팽목항을 기준으로 하여 북서쪽의 돌출부에 자리한다.
서단 등대는 진도 서편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연안 항로 표지를 하는 등대로 주로 목포항과 제주항 사이를 오가는 선박들을 보게 된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11월 26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지산면 심동리 산 59-8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은 진도 서망항 인근 해상을 통항하는 선박의 안전을 위해 장죽도 등대를 새롭게 정비하여 멀리서도 조망할 수 있도록 개량했다.
1997년 처음 불을 밝힌지라 그리 오래된 등대는 아니지만 성남도와 하조도 사이에 항해하는 선박에게는 중요한 위치에서 불을 밝히고 있다.
장죽도 등대는 위성 지도로 보면 얇은 한반도 지형을 닮아 있어 묘한 느낌을 들게 하는 무인도서이며 섬 자체는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서이다.
최초 점등일 : 1997년12월 23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창유리
[무인도서]
전남 진도군에 속한 유인도인 가사도를 중심으로 서쪽으로 보이는 작은 무인도서가 바로 가덕도인데 부산 가덕도와 이름이 같아서 검색으로 찾기가 어렵다.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는 섬이며 앞으로는 집우도를 두고 있으며 섬의 동쪽 방향으로 예쁜 절경이 있으며 노을이 들무렵 해안 절벽이 아름다운 색이 된다.
가사도 등대에서 바라보면 다도해의 전경이 한눈에 들어오면서 제일 먼저 보이는 소동도, 마도, 가덕도, 집우도 순으로 보이기에 나란히 서 있는 형상이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가덕도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가덕도 동편 끝자락에 위치한 등대로 부산의 가덕도 등대와 이름이 같은 동명의 등대이기에 이름만 듣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인근 가사도 등대의 서남서쪽 약 3.8km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가사도 서편을 항해하거나 인근 해역에서 조업하는 선박들에게 항로표지가 되는 등대이다.
이 등대가 위치한 가덕도의 서쪽으로 집우도라는 무인도가 있는데 섬 인근에 노출된 암초들이 여럿 자리하고 있어서 부근을 지날 때에는 유의하여야 한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11월 26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산 398번지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군 하조도에서 맹골방향으로 펼쳐진 섬이 보이는데 이곳이 바로 소마도와 거마도인데 등대는 거마도에 2007년에 설치되었다.
유인도가 35개, 무인도가 119개나 될 정도로 관할구역 내에 섬이 많고, 가사도에 가사출장소, 서거차도에 거차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진도항에서 출항하는 여객선은 이곳을 경유하여 각 부속도서로 운항하지만 대부분의 섬이 대부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무인도서는 쉽게 입도하기가 어렵다.
최초 점등일 : 2007년 11월 1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대마도리
[무인도서]
진도군 하조도에서 맹골방향으로 펼쳐진 섬이 보이는데 이곳이 바로 소마도와 거마도인데 등대는 거마도에 2007년에 설치되었다.
유인도가 35개, 무인도가 119개나 될 정도로 관할구역 내에 섬이 많고, 가사도에 가사출장소, 서거차도에 거차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진도항에서 출항하는 여객선은 이곳을 경유하여 각 부속도서로 운항하지만 대부분의 섬이 대부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해 무인도서는 쉽게 입도하기가 어렵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대마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