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마라도 분교인 초등학교는 가파도에 속하지만 6년 1명 있던 학생이 제주시로 진학을 하자 휴교 후 폐교가 된 분교장이 되었다.
우리나라 교육열을 가름할 수 있는 최남단 섬인 마라도에 학교가 있는 것을 보고 짐작할 수 있을 정도로 배움의 열정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금은 민가도 별로 없지만 학생은 아예 없기에 학교는 자연스럽게 폐교로 이어지긴 했지만 다른 용도로 활용되어 남아 있는 것만으로도 보기에 좋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리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가파도는 마라도의 2.5배 크기에 129가구 246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 마라도에 비하여 인구도 많고 작지 않은 섬이다.
가파초등학교는 최근에는 7명의 학생이 공부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더 줄어든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조만간 휴교를 거쳐 폐교가 될 현실이다.
제주도 내 섬에 속한 가파도는 교통이 매우 불편할 수 밖에 없어 서귀포가 이들에게는 육지인 셈이니 요즘은 거의가 서귀포로 나가 생활을 하고 있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처음 동피랑 벽화가 생길 때는 수많은 여행객이 다녀간 벽화마을이었지만 도시재생 사업 중 첫번째가 벽화 그리기가 되다 보니 전국에서 벽화 골목이 생겨 지금은 인기가 떨어진 편이다.
그리고 오랜 세월이 흘러 관리가 좀처럼 되지 않아서 벽화가 많이 훼손되었으며 식상한 그림이 되어 벽화 자체가 올드한 이미지가 되었다.
다시금 과거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서는 요즘 트랜드인 조형물을 넣어 젊은 감각의 벽화가 갖추어져 다시금 젊은 거리가 되었으면 좋겠다.
주소 : 경남 통영시 동피랑 1길 6-18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울주에 있는 외고산 마을은 여행객이 참여하여 옹기를 직접 제작하거나 마음에 드는 옹기를 구입할 수 있는 전통 마을이다.
몇 해 전에는 대통령이 외고산 마을을 방문하여 전통 문화 과정을 살펴보고 전통 문화의 소중함을 피력한 뒤에 더욱 유명해진 마을이다.
골목마다 그려진 벽화나 길목마다 설치된 조형물은 여행객에게 웃음을 주는 해학적인 옹기 조형물이 방문하는 이들에게 옛 생각을 하게 한다.
주소 : 울산 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울주에는 전통 시장이면서 옹기를 제작하여 파는 남창 옹기종기 시장이 있어 여러 모양의 옹기를 살 수 있는 시장이 있다.
인근 관광지 남창 옹기종기 시장 인근에 있어 함께 보기 좋은 울주 외고산 옹기마을은 1957년부터 옹기를 굽기 시작하면서 옹기촌이 형성, 성장한 곳이다.
전통 시장으로서는 유일하게 매년 5월 옹기 축제가 개최되며, 전국 옹기 생산량의 50%이상을 제작하고 있는 옹기 전통 시장이다.
주소 : 울산 울주군 온양읍 외고산3길 36 외고산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진도는 요즘 미쓰트롯 송가인의 집이 신세대 트랜드에 맞게 유명세를 띄고 있지만 그래도 신비의 바닷길은 오랜 세월이 흘러도 꾸준히 사랑받는 관광지다.
신비의 바닷길을 가다 보면 회동항 길에 들어서게 되는데 길거리 담벼락에 도시 재생 일환으로 그려진 벽화가 예쁘게 자리하고 있다.
특히 이 마을은 도로가 이색적으로 두갈래 길로 되어 있어 맨 마지막 집 앞에서 바라보면 재미난 마을 구조임을 알게 되는 곳이다.
주소 : 진도군 고군면 금계리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정미소가 그나마 섬에는 이미 도정을 멈추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오래된 형태로 남아 있는 섬이 많이 있음을 여행하면서 보게 된다.
고작 정미소는 한번 보면 이름에서 웃음을 띄고 기억하게 되는 데 이름에 비하여 정미소의 크기가 제법 커서 이름과는 다르다는 느낌을 받는다.
마을 이름이 고작길인지라 정미소 이름도 같이 부르다 보니 그렇게 명명 되긴 했지만 겉 모양은 오래된 흔적이 곳곳에서 보인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진도읍 고작길 65
[간이역 시간여행]
1967년 2월 22일에 보통역으로 개업하여 영업을 시작했으며, 승강장은 과거에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었고 화물전용 승강장이 있기도 했다.
지금은 모두 추억속에서만 존재하고 1986년 10월 16일부터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역사건물이 철거 되었다.
이후 새로운 노선이 완공되면서 유수역 선로가 걷히고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만 남았다가 2007년 중단되고, 2016년 경전선 구간 개통 으로 철거되었다.
주소 : 경남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과거의 장계 5일장은 지금의 장수보다도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장날이었지만 장수군이 행정 중심의 군이 되다보니 점차적으로 축소된 장터이다.
지금의 장터는 몇년전 새로 증축된 장소에서 장날이 열리며 인근 지역 주민들과의 만남의 장소로 이용되고 있으나 옛스러움은 사라진지 오래다.
장날에 방문해 보면 어느곳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 치양과 파라솔인데 내부보다는 거리에 좌판이 형성된 곳에서 그나마 옛스러움을 유지하고 있다.
주소 : 전남 장수군 장계면 3일 8일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반곡역사는 1941년 7월 25일 영업을 개시한 1동 1층 규모의 아담한 역사로 영업을 시작하여 1974년 3월 15일 소화물 취급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여객 취급 업무는 하지 않고 있으며 역사는 2009년 미술관으로 개관하여 지역주민들에 문화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다.
벽체는 비닐판벽의 외장이었다가 후에 흙벽에 시멘트 뿜칠 마감으로 변경되었으며, 지붕은 시멘트기와로 이어져 있고 최근에 리모델링 하였다. 사진은 2005년의 모습이며 국가 등록문화재 165호이다.
주소 : 강원 원주시 반곡동 154-2번지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상조도 초등학교는 조도 대교가 완공되기전까지는 나름 유지되다가 대교 완공으로 주민들의 대부분이 하조도로 이주하여 급격한 인구수 감소를 가져왔다.
이후 자연스럽게 학생수 감소로 초등학교는 폐교가 되고 지금은 다른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한 분이 입주하여 학교를 다른 용도로 꾸미고 있다.
대체로 섬 학교는 오래된 교목이 많아서 꾸미면 다른 장소보다도 훌륭한 공간이 되는 곳이 많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성길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당도마을은 조도대교를 지나 작은 섬 충도를 지나면 만나게 되는 작은 어촌 마을이며 상조도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예전에는 좁은도 동네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상조도의 당이 있는 마을이라 해서 당도마을이라고 예전부터 불리워 왔던 이름을 지금까지 쓰고 있다.
과거 명성리와 함께 정월 초삼일에 당제를 지냈는데 현재는 지내지 않으며, 땅 끝에 해식동굴이 있는데 과거 스님들이 와서 수행처로 삼았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하조도 당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