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울산 구 삼호교라는 명칭은 부근에 신 삼호교와
삼호교라는 이름을 가진 다리가 있기 때문이다.
구 삼호교는 이들 3곳의 다리 중 가장 이른 시기인 1924년에 가설되었다.
준공 당시는 울산 근교에서는
가장 먼저 철근 콘크리트 교량으로 만들어졌다.
설계와 공사는 일본 업자가 맡았는데 인근 주민들도 공사에 동원되었다고 한다.
가설 당시 이 교량 공사는 울산군 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공사로 울산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이 소풍을 오기도 했으며 국가 등록 문화재 104호이다.
주소 :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1035-1
[강원도 두루워킹투어]
화천댐이 준공되면서 1945년에 건설한 다리이다.
전체적인 외관이 단순하면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철근콘크리트 주각 위에 형강을 깐 다음 각재를
덧댄 가구식 구조이며 나무로 만든 상판에 검은색
타르를 칠해 꺼먹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화천수력발전소와 함께 당시의 산업을 엿볼 수 있는 시설물이며 건립 당시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어 근대 가구식 구조 교량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국가 등록 문화재 110호이다.
주소 : 강원 화천군 화천읍 대이리
[강원도 두루워킹투어]
태백 장성 이중교는 강원도에 있는 강원도 태백시
장성광업소 내에 있는 다리이다. 1935년에 건립된
이중교로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장이 관리한다.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교량이며 태백 장성 이중교는 장성광업소 안에 있는 시설물로, 위쪽 다리는
석탄 수송용 전차가 다니고, 아래쪽 다리는 보행자와 차량이 다니도록 특이하게 설계되었다.
교각은 무지개 형상이며, 근래에 새로운 다리인 금천교를 건설하여 지금은 3중교가 되었다.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 석탄 산업 관련
시설물이며 국가 등록문화재 111호이다.
주소 : 강원도 태백시 장성동 222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목포라는 지명은 여러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신안섬으로 들어가는 관문, 남도 여행의 시작,
문화와 예술이 넘치는 도시 그 어떤 이름을 붙여도
어울리는 도시이기 때문이다.
국내 최장 케이블카로 유달산과 고하도를 이어
볼거리가 많고 목포 앞바다를 모두 조망할 수 있다.
천사대교 개통으로 무수히 많은 섬이 육지가 되어
짧은 시간에 섬 여행을 할 수 있는 도시가 되었다.
주소 : 전남 목포시 해양대학로 240
전화 : 061-244-2600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바다를 가로 질러 여러 조형물과 더불어 여행하는
부산 송도 해상 케이블카는 해운대, 태종대와 더불어
관광 메카로 자리하고 있는 곳이다.
전망대에 내려 여러 작가의 예쁜 조형물을 보며
확 트인 바다를 바라보면 가슴까지 시원해진다.
부산의 또 다른 여행 명소로 자리잡으며
많은 이들을 불러 모으고 있는 케이블카이다.
주소 : 부산 서구 송도해변로 171
전화 : 051-247-9900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케이블카의 매력은 무엇일까?
무엇보다도 힘들게 오르지 않고 기계의 힘으로
정상을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통영은 미륵산 전망대까지 30분 정도의 등산으로
남해의 모든 조망을 할 수 있음이 가장 큰 매력이다.
이순신 장군이 누비던 전체 바다를 볼 수 있으며
한산대첩의 조망이 한 눈에 들어오니 통영은
임진왜란 당시의 바다를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주소 : 경남 통영시 발개로 205
전화 : 1544-3303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해상 케이블카는 주로 육지와 섬을 잇는
관광의 메카라고 할 수 있다.
사천은 남해의 아름다움을 높은 곳에서 바라보는
탁트인 전망이 시원함을 더해 주기도 한다.
특히 노을 무렵에는 해가 지는 과정을
모두 볼 수 있기에 평소 시간보다 가슴에 서정을
담아 올 수 있다.
주소 : 경남 사천시 사천대로 18
전화 : 055-831-7300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원목다리는 양끝을 처지게 하여 무지개처럼
가운데를 둥글고 높게 만든 조선시대의 홍예석교다.
재질은 화강암이며 이 다리는 전라도와 충청도의
경계역할을 했다고 한다. 고종 광무 4년에 홍수로
파괴된 다리를 승려와 민간인이 공사비를 모아
재가설했다.
국도변에서 원항천 제방을 따라 남쪽으로 1km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주소 : 충남 논산시 채운면 야화리 390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남한에서는 유일한 고려시대의 다리로서, 고식의
석축 방식을 그대로 지니고 있어 간결하고 투박하다.
화강암의 석재를 다듬거나 모양을 내지 않은 채
돌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평면의 노면을 만들어
연결시키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고막대사가 도술을 부려 다리를 놓았기 때문에 홍수에도 견딜 수 있고, 700년이 지나도 다리의 원형이 변하지 않는 것이 도술이라고 한다.
주소 : 전남 함평군 학교면 고막리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흥국사 홍교는 개울 양 기슭의 바위에 기대 쌓아올린다리이며 부채꼴 모양의 돌을 서로 맞추어 틀어
올린 형태이다.
다리밑은 무지개 모양의 홍예를 이루고 있으며,
양옆으로는 둥그런 돌로 쌓아올린 벽이 학이 날개를 펼친 듯 길게 뻗쳐 조화를 이룬다.
홍예의 한복판에는 양쪽으로 마룻돌이 튀어 나와, 그 끝에 용머리를 장식하여 마치 용이 다리밑을 굽어보고 있는 듯하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중흥동 산 191-3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선암사에 이르기 전 조계산 계류 건널목에 놓인 돌다리를 말한다. 다리는 한 개의 아치로 이루어졌고,
전체가 화강암으로 조성되었다.
기저부에는 가설이 없고 자연암반이 깔려 있다.
홍예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 냇가와의 사이에 자연석을 쌓아 석벽을 이루고 있다.
좌·우 측면의 석축에 약간 보수를 가한 흔적이 있을 뿐 홍예는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으며,
보물 제400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48-1 선암사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순천을 여행할 때 언제나 버릇처럼 송광사를 들리곤
하는데 날씨에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송광사 참 좋다.
이번에는 갑자기 내린 호우로 냇가의 물이 불어서 흘러가며 내는 소리가 그저 가만히 듣고만 있어도 해탈한 듯한 느낌이 절로 드는 순간을 만났다.
다소 아쉬운 것은 주변이 그늘이 많이져서 삼각대 없이 촬영하는데 애를 먹었다.
주소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전화 : 061-75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