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경남 함양군에 위치한 남계서원은 1552년 일두 정여창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되었고, 1566년에 남계라는 이름으로 사액되었다.
남계는 서원 곁에 흐르는 시내 이름으로, 서원은 1597년 정유재란으로 소실된 뒤 나촌으로 터를 옮겼다가, 1612년 옛터인 현재의 위치에 다시 옮겨 중건되었다.
남계서원은 풍기 소수서원, 해주 문헌서원에 이어 창건된 아주 오래된 서원으로,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서원 중의 하나이다.
2017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지정되었다.
주소 : 경남 함양군 수동면 남계서원길 8-11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조선 중기 성리학의 대가 퇴계 이황이 학문을 하며 제자들을 가르친 도산서당을 모체로 하여, 퇴계 이황 선생 사후 4년째인 1574년 건립된 서원으로 경북 안동에 있다.
특히 이듬해인 1575년 선조는 한석봉이 쓴 도산서원 현판을 하사하기도 했다. 이 서원은 이황의 문인 및 제자들의 학술공간으로서 성리학과 관련된 다양한 철학적 논쟁이 펼쳐졌다.
정조는 1792년(정조 16) 이황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이곳에서 7000여 명이 참가한 특별과거를 실시하기도 했다. 2017년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지정되었다.
주소 :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부산이라는 도시는 가도 가도 볼거리가 끝이 없는 바다가 아름다운 도시이다 보니 좀처럼 도시 중심을 관광하기가 쉽지 않다.
서울서 내려오는 사람들은 모두가 해운대만 관광지라고 생각하기가 쉬운데 부산 전체가 관광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도시는 틀림 없다.
제주가 전역이 관광지라면 부산 역시 그런 도시이기에
어디를 가도 즐거움을 받을 수 있고, 쉼이 넘쳐 나는 여유의 도시가 바로 부산이다.
주소 : 부산 영도구 동삼동 1113-16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전국 어촌 뉴딜 300사업 거제시 4곳 선정하여 벽화부터 시작하여 특화 사업으로 주변에 수국을 심어 마을 꾸미기를 한 곳이 바로 저구 마을이다.
이곳은 초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주변에 온통 수국이 피어나 꽃마을로 만들어 준다. 또한 거제 주변 섬을 여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저구항이 있다.
또한 바다 한가운데로 나가는 스카이워크가 조성되어 있어 볼거리가 많으며 포토타임을 즐길 수 있는 낭만이 넘치는 마을로 탈바꿈 되었다.
주소 : 거제시 남부면 저구2길 15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동피랑에 이어 새롭게 탄생한 또 하나의 마을이 바로 서피랑인데 이곳은 마을과 연관된 역사적 스토리가 담겨 있으며 구성 자체가 하나의 역사가 된 마을이다.
볼거리는 동피랑에 비하여 낙후된 모습이고 현저하게
떨어져 있는 곳이지만 오늘날의 통영의 역사적 스토리를 벽화와 조소 구조물로 재탄생 시킨 마을이다.
문학 소재가 넘치고 문학가의 생애를 서피랑을 걷다 보면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고 먼 바다를 보다 보면 박경리의 생애가 보일 듯 한 곳이다.
주소 : 경남 통영시 서호동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통영의 대표적인 어시장인 중앙시장 뒤쪽 언덕에 있는
마을로 동피랑이란 이름은 동쪽 벼랑이라는 뜻이다.
작은 골목길로 형성된 골목길을 따라 강구항이 모두 내려다 보이는 동피랑 마을에 오르면 담벼락마다 그려진 형형색색의 벽화가 눈길을 끈다.
2007년 10월 푸른통영21이라는 시민단체가 공공미술의 기치를 들고 동피랑 색칠하기 전국 벽화 공모전을 열었고, 전국 미술대학 재학생과 개인 등 18개 팀이 낡은 담벼락에 벽화를 그려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소 : 통영시 동피랑1길 6-18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산청 남사 마을은 역사 유적이 많이 남아 있는 전통있는 마을로 오래 된 토담과 돌담이 공존하고 있다.
양반 가옥 주위는 높은 토담이, 서민들이 거주하는 민가에는 나지막한 돌담이 남아 있어 전통 사회의
신분에 따른 담의 구조와 재료, 형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근래에는 사극 촬영지로 많은 사랑을 받는 옛담장 마을이며, 담장에 사용한 돌은 인근 남사천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강돌을 사용하였으며 국가등록문화재 제281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 경남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253
[전북 두루워킹투어]
천주교 신자들을 사형했던 풍남문 밖의 순교터에
지어진 성당이다. 프랑스 신부인 위돌박이 설계를
하였고 1914년에 착공 된 것으로 전해 진다.
회색과 붉은색 벽돌을 이용해 지은 건물은 겉모습이 서울의 명동성당과 비슷하며, 초기 천주교 성당 중에서 매우 아름다운 건물로 손꼽힌다.
비잔틴 양식과 로마네스크 양식을 혼합한 건물로, 국내에서의 아름다운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힌다.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51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낮은 언덕 위에 자리한 성당으로, 벽돌과 목재를
이용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드문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정면의 종탑이 쌍탑으로 된 것이 특징인 성당은
3개의 출입구와 창들이 모두 무지개 모양을 이루고 있다. 외벽은 붉은 벽돌로, 창둘레와 종탑의 각 모서리는 회색벽돌로 쌓았다. 창 아래와 종탑의 각각 면에는 회색벽돌로 마름모형의 장식을 하였다.
1929년에 새로 지은 건물로 100여 년 이상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으며, 교회가 박해를 받을 때에는 순교의 장소가 되기도 한 곳이다.
주소 : 충남 당진군 합덕읍 275번지
[인천 · 경기 두루워킹투어]
1910년에 지어진 한옥성당으로 1928년 현 위치로
이축하면서 상량 목부재를 포함하여 당시 사용했던 기초 부재를 대부분 재활용하였고 1949년 증축했다.
기록한 상량 묵서도 남아 있어 변천과정 기록유지가 잘 되어 있으며, 건물 뼈대를 구성하는 목조가구의 경우 최초 건립 부분과 증축 부분이 잘 남아 있는 등 역사성을 잘 간직하고있다.
주소 :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로144번길 50
[서울 두루워킹투어]
명동성당은 코스트 신부가 설계한후 파리선교회의 재정지원을 얻어 건립되었다. 본래 순교자 김범우의 집이 있던 곳으로, 블랑주교가 김 가밀로라는 한국인 명의로 사들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벽돌로 쌓은 교회이며, 순수한
고딕식 구조로 지어졌다. 평면은 십자형이며 본당은 고딕양식의 장식적 요소를 배제하면서 그대로 본떴고, 공간의 고딕적 느낌은 외부보다 내부에서 더 강하게 주어졌다.
건축에 사용한 벽돌은 우리 나라에서 만든 것으로, 색깔도 붉은 것과 회색 2종류가 있다.
사적 제 258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 서울 중구 명동2가 1-8번지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1929년경에 건립한 교량으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리이며, 28번 국도 영천~군위 구간에 위치한다.
폭 4.7m, 길이 108m 정도의 비교적 작은 다리이고 그 모양의 생김새와 맞은편 철교를 바라보는 형태가 인상적인 다리이다.
또한 구조적 특색과 양식이 뛰어나며 근대기 교량
축조 기술을 알 수 있는 시설물로 가치가 있다.
새로 건립한 화룡교가 바로 옆에 나란히 놓여 있고,
국가 등록문화재 254호이다.
주소 : 경상북도 영천시 서부동 일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