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나주는 소도시 중 유일하게 사대문을 모두 갖추고 있는 중점이며 언제 축조되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나주가 삼국시대 말기에 지방 거점지였음을 말해준다.
현재의 북망문은 고려초기에 축조되었고, 정도전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 말기에 왜구의 침입으로 해안 지역은 황폐해졌던 반면 읍성은 피해가 없었다고 한다.
현재는 사대문 모두 복원이 완성 되어 야행 축제 때에 사대문의 조명이 모두 밝히면 도시 전체가 아름다운 시간 여행의 도시가 된다.
주소 : 전남 나주시 성북동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깊은 산골 마을에 비가 내리면 냇가가 있는 곳은 안개와 더불어 보이는 모든 것에 서정이 내리기 마련이고 아름다운 산골로 변신을 한다.
특히 비가 내리다가 잠시 소강 상태로 이어지면 안개가 내리기 시작하여 환상의 모습으로 변신하게 되는데 서 있는 자리가 작품의 소재가 된다.
안개속에서 흘러가는 시냇물과 천변에 서있는 나무들은 맑은 날 보는 느낌과는 달리 아름다움이 더해져 보이는 모든 것이 아름다움을 뿜어 낸다.
주소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칠보중앙로 103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폐사지는 세월이 흘러 수많은 역사를 뒤안길로 묻어 버린 절터이지만 이곳에서는 잊지말아야할 역사의 흔적을 말해주는 곳이 많기에 찾게 된다.
사라진 역사와의 대화가 가능하고 남아 있는 흔적에서 숨어 있는 역사를 찾고 답을 내는 수수께끼 같은 역사에 도전하는 기쁨이 있기에 더욱 좋은 곳이다.
지나간 역사의 공허함과 무상함이 오히려 비어진 마음을 채우고 온전한 역사 보다도 더 많은 이야기를 주는 폐사지에서 오늘은 앙코르와트를 떠올려 본다.
주소 :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요즘 여행을 하다 보면 지자체에서 한옥 스테이 체험마을을 만들어 여행객의 숙소를 마련해 주고 있는데 함평 주포 한옥 마을은 펜션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주포항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한옥마을은 함평만의 멋진 노을이 드는 서해안 풍경과 함께 한옥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한적한 휴양지이다.
돌아다니다 보면 옛스런 돌담과 한옥의 풍경이 어우러져 산책하기에 좋고, 한옥 마을 내에 30여 개 민박집을 운영하고 있어 가족과 함께 하기에 참 좋다.
주소 : 전남 함평군 함평읍 주포한옥길 3
[전북 두루워킹투어]
부안의 개암사는 변한의 문왕이 진한과 마한의 난을 피하여 이곳에 도성을 쌓으며 좌우 계곡에 왕궁전각을 짓게 하였는데, 동쪽을 묘암, 서쪽을 개암이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보물로 지정된 대웅보전을 비롯하여 인등전·응향각·응진전·일주문과 월성대 및 요사가 있으며 대웅전은 대표적인 조선 중기 건물이다.
정읍의 백양사와 해남 미황사와 더불어 대웅전 뒤면에 암석으로된 봉우리가 인상적으로 보이는 곳에 대웅전이 있는 공통점이 있는 아름다운 천년고찰이다.
주소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714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서산에 있는 작은 섬 간월암은 서해 노을의 랜드마크라 할 정도의 아름다운 노을 색을 보여주며 주변 풍광이 아름다워 끊임없이 여행객이 찾는 섬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왕사였던 무학대사가 창건한 암자이다. 무학이 이곳에서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는 데서 간월암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또한 굴의 풍년을 기원하는 굴부르기 군왕제가 매년 정월 보름 만조에 간월도리 어리굴젓 기념탑 앞에서 열리고 있으며, 밀물에는 섬이 되고 간조에는 걸어들어 갈 수 있는 섬이다.
주소 :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1길 119-29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1995년 경북 기념물로 지정되면서 알려지게 되었으며, 원래의 성은 고려시대 때 축성되어 석성과 토성을 혼합해서 쌓은 형태로 남아있었다.
조선시대 선조 때 부산에서 서울을 향하는 주요 도로변 성지를 일제히 수축하는 과정에서 청도군수 이은휘가 석축으로 다시 쌓아 오늘에 이른다.
읍성은 평산성으로 평면 형태는 네모꼴이며, 성벽은 자연석을 이용해 쌓은 협축벽에 임진왜란 때 성문이 소실, 성벽이 파괴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의 읍성철거 정책으로 성벽이 헐리고 문루도 제거되었다.
주소 : 경북 청도군 화양읍 동상리 48-1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경남 창녕은 곳곳에 보물이 넘쳐나는 지역으로서 삼국사기에 나오는 진한의 12개 나라 중 하나인 불사국으로, 비사벌이라고 불리던 곳이다.
창녕읍 교리 및 송현리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대형 고분군으로, 1911년 일본인 학자 세키노 타타시에 의해 처음 알려졌다.
150여기 정도가 확인되는데, 출토유물과 구조양상을 볼 때 5~6세기가 중심연대가 되는 고분군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도굴이 빈번했던 곳이며,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2011년 7월 28일에 다시 지정되었다.
주소 :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전북 두루워킹투어]
부안은 지켜야할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청자박물관을 개관하여 벌써 십년이 지나가고 있다. 유천리요지는 사적 제69호로 지정되어 있다.
우리민족의 귀중한 문화 유산인 고려청자(상감청자)의 역사와 전통을 알리고 있으며, 이러한 전통의 고장에 부안청자박물관을 개관한데 의미가 크다.
가족들과 함께 청자 박물관에서 체험학습을 즐길수 있으며, 청자 재현품을 보며 종주국은 중국이지만 우리의 독창적인 청자를 볼 수 있다.
주소 : 전북 부안군 보안면 청자로 1493 청자박물관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당진 왜목마을 해넘이 해맞이 축제는 한해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한해의 시작을 축하하며 떠오르는 일출을 바라보며 한해의 성공을 기원하는 축제이다.
당진 왜목마을 해넘이 해맞이축제는 매해 연말과 새해 아침에 왜목마을 일원에서 개최되는데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일출, 노을 명소로 자리잡았다.
당진 왜목마을 해넘이·해맞이 행사는 매년 10만명이 다녀가는 우리나라의 3대 해돋이로 왜목마을의 일출은 소박하고 서정적인 일출로 유명하다.
주소 : 충남 당진시 석문면 교로리 844-26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얼마전 영화 촬영을 위해 거문대 일대와 상백도 일대를 돌아다니면서 아역 배우들의 모습들을 담은 영화 감독이 오랜 시간을 항해한 바다가 남해이다,
밀수라는 범죄 이야기를 다룬 영화가 아름다운 배경의 상백도 주변이었기에 아마도 항해 중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고자 했던 의도였으리라 생각된다.
고요한 태양이 떠오른 남해의 바다를 영상에 어떻게 담았을지 궁금증이 증폭되긴 하지만 절해고도의 등대가 상상되곤 한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거제 견내량은 거제대교의 아래 쪽에 위치한 좁은 해협으로써 길이는 약 3 km, 폭은 약 180m, 400m까지해협을 말한다.
임진왜란 때 한산 대첩의 주요 배경이 되었으며, 현재는 거제대교와 신거제대교가 걸쳐 있는 곳이며, 견내량은 고려에는 의종이 3년간 유배되어 전하도(殿下渡)로 불렸다.
임진왜란 때는 옥포해전과 한산해전의 주요 배경지가 되었으며, 특히 한산해전은 견내량에서부터 한산도 앞바다 그리고 안골포 전투를 벌인 시발점이다.
주소 :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