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신안 삼도 등대는 흑산도를 오가는 모든 항로에서 시하도를 지나는 길목에서 만나게 되는 작은 섬 세 개를 합하여 삼도라고 칭하고 있는 섬이다.
현재는 무인등대로 만조시에는 세개의 섬이 되었다가 간조시에는 사주로 서로 연결되는 작은 여들 덕분에 삼도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삼도 등대에는 육지로 나가는 아낙의 형상과 뱃사공의 조형물이 배와 함께 만들어져 있으며 매우 좁은 수로에 해당하기에 등대의 역할이 크다.
최초 점등일 : 1986년 5월 3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한운리 산 339
[등대와 사람들 시간여행]
일반적으로 완주를 하기 위해서는 경비를 포함하여 가장 중요한 날씨 참가 인원 그리고 그들의 시간 모든 것이 맞아야만 가능한 일이기에 참으로 힘든 여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은 다 내려 놓고 오로지 등대가 좋고 바다가 좋아 헤매기를 1년 동안 하면서 어쩌면 옆지기 보다 더 가까운 가족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이제 우리나라 백색 등대 중 육지에 소속되어 있는 군부대 내 등대를 제외하곤 모두 완주했으며, 배를 이용해서 들어가야할 섬 몇군데를 빼곤 완주를 앞두고 있다.
또한 우리 영해 표지 24군데(중복신설 3)를 소령도 완주를 앞두고 23년도 새로운 목표인 물갈라짐 섬을 시작하여 걷기 시작했다. 이런 위대한 그들에게 우리는 등대 여행의 선구자라고 부르고 싶다.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충주 사인암은 높이는 약 50m이며 기암 아래는 남조천이 흐르며 작은 소를 이루고 있어 아름다운 풍치를 더해주는 곳이자 풍속화의 기본 소재가 된 곳이다.
사인암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고려 때 유학자인 역동 우탁 선생의 행적 때문에 지어졌으며, 고려 때 우탁이 임금을 보필하는 직책인 정 4품 사인이라는 벼슬에 있을 당시 이곳에 머물렀다는 사연이 있어 조선 성종 때 단양 군수가 우탁 선생을 기리기 위해 이 바위를 사인암이라 지었다고 전해진다.
단양팔경에 속하며 2008년에 명승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국립공원이다.
주소 : 충북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2길 42 청연암
[해변/해수욕장]
신안 추포 해수욕장은 천사대교 개통으로 더욱 가까워진 상태에서 작년에 추포대교 개통으로 썰물에 드러났던 노둣길과 관계없이 입도할 수 있게 되었다.
본섬인 암태도에서 과거에는 간조에 노둣길을 걸어서 들어갈 수 있었지만 지금은 육로가 된 상태이며 5년후는 도초도까지 다리가 완공되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교통 전략지가 될 전망이다.
추포도는 추엽도와 포도의 두 섬으로 나뉘어져 있었으나, 간척 공사로 인해 하나의 섬이 되었으며 조금시에는 바닷물이 맑아져 아름답게 해수욕을 즐길 수 있는 해수욕장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암태면 추엽길 58-59
[기적의 바다 갈라짐]
신안 거문도는 여수 먼바다에 있는 거문도와 이름이 같아서 검색 순위에서 밀리는 거문도지만 팔금도를 검색하다 보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섬이 거문도다.
천사대교 개통으로 팔금도 끝자락까지 승용차로 이동할 수 있고 거문도 방파제까지 접근이 용이하며 거문도와 매도는 간조에 드러나는 노두길이 있어 물 때가 맞으면 한적하게 걷기에 좋다.
다른 노두길과 달리 태안 닭섬처럼 거문도의 노두길은 사리 썰물시만 아니면 노두길이 드러나도 양 방향으로 바다물이 출렁거림을 볼 수 있어 청량함을 느끼며 걸을 수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거문도
[항구/선착장]
군산과 목포의 옛 선창가에는 다소 눈에 거스릴 수 있는 째보 선창이라는 이름이 남아 있는데 지금은 매립으로 흔적은 모두 사라졌다.
째보 선창은 지금은 항구의 개발로 쇠락하고 너저분한 어시장의 모든 모습을 보여주는 곳으로 바뀌었지만 포구의 모습이 안쪽으로 째진 모습이 마치 째보(언청이)처럼 생겨서 그렇게 불렸다고도 하는데 명확히는 알 수가 없다.
지금은 폐쇄된지 오래여서 낡아 보이지만 등대 모양처럼 생긴 건축물은 어선에 얼음을 보급해 주던 주탑 역할을 했던 기둥이다.
주소 : 전남 목포시 해안로 182 목포항
[간이역 시간여행]
지금의 나이가 40대 이상이라면 연무대역은 국방의무를 다하기 위해 한번쯤은 거쳐가야 했던 어쩌면 기억하기 싫은 간이역일지도 모르겠다.
연무대역은 강경선의 역으로써 구 연무대역이라 불리는 본관 역사에서 육군훈련소 인근 지역으로 약 1.5km 정도 거리의 군 전용선이 있고 그 끝부분에는 연무대역이라 불리는 군용 승강장이 있다.
군용 승강장은 군사보호구역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일반인들은 접근이 불가능한 곳이며 본관 역사 인근에는 성신양회 공장이 있어서 시멘트 수송을 담당하기도 했다.
주소 : 충남 논산시 연무읍 왕릉로70번길 55-1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후삼국 시대는 견훤이 후백제를 세우면서 시작되었고, 삼국이 통일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걷게 되었으며 역사의 기록은 승자의 것이기에 다소 왜곡된 후백제의 기록으로 남았다.
견훤이 건국한 나라를 스스로 무너뜨렸으니 우리나라 역사를 통틀어서도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다 간 군웅은 찾기 힘들다.
견훤은 황간 견씨의 시조이기도 하며 견훤의 성씨는 완산 견(진)씨이기에 이씨가 아니다. 아버지는 이씨였지만 견훤은 이씨가 아닌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900년부터 935년 음력 3월까지 후백제(後百濟)의 군주로 재위하였다.
주소 : 충남 논산시 연무읍 금곡리 산18-3
[간이역 시간여행]
익산 황등역 호남선의 철도역으로써 호남선 수탈의 장소로 쓰기 위하여 1912년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 유서 깊은 간이역이다.
한 때 여객, 화물 취급을 모두 중지한 무인역이었으나, 호남 고속철도 건설공사로 인해 구내를 확장하여 조차장 및 화물 취급 기능 일부를 넘겨 받았다.
나훈아 노래 고향역의 배경이 된 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지금은 단어조차 낯설은 학교를 가기 위해 통학을 하던 당시 학생들의 추억이 깃든 간이역이다.
주소 : 전북 익산시 황등면 황등중앙로 91
[365일]
안도 등대는 안도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서해 남부 먼바다에서 평택항이나 대산항 방향으로 향하는 선박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등대이다.
이 등대 남쪽에는 구도를 비롯한 작은 섬들이 산재되어 있어 대형 선박들의 항해가 어렵고 서해 바다의 얕은 수심과 산재한 암초에서 지킴이가 되고 있다.
광력도 일반 육지 등대보다 훨씬 더 강력한 등명기를 장착하여 21해리라는 상당히 먼 거리까지 등대의 불빛을 비추고 있을 정도로 밝은 희망의 역사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11년 12월 11일
주소 : 충남 태안군 원북면 방갈리 산 240
[기적의 바다 갈라짐]
항도는 선재도에 딸린 무인도서이며 항도라고 알려진 곳이며 썰물 때 바닷물이 빠지면서 500m 정도의 모랫길이 드러난다.
바다 위 모랫길은 갯벌이 아니라 모래나 자갈이 쌓여 있는 길로 밟아도 발이 빠지지 않아서 신비의 바닷길을 체험할 수 있는 섬에 해당한다.
간조에 시간 맞추어 바닷길을 걸어 목섬 전체를 둘러 볼 수 있으며 목섬 남쪽에서 선재도를 바라보는 풍경이 일품이며 바로 곁에 있는 측도도 걸어 볼 수 있다.
주소 : 인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
[무인도서]
항도는 선재도에 딸린 무인도서이며 항도라고 알려진 곳이며 썰물 때 바닷물이 빠지면서 500m 정도의 모랫길이 드러난다.
바다 위 모랫길은 갯벌이 아니라 모래나 자갈이 쌓여 있는 길로 밟아도 발이 빠지지 않아서 신비의 바닷길을 체험할 수 있는 섬에 해당한다.
간조에 시간 맞추어 바닷길을 걸어 목섬 전체를 둘러 볼 수 있으며 목섬 남쪽에서 선재도를 바라보는 풍경이 일품이며 바로 곁에 있는 측도도 걸어 볼 수 있다.
주소 : 인천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