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촬영지 시간여행]
자산어보는 종교 탄압으로 유배를 떠난 정약전이 집필한 최초 어류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책이며, 그가 세상을 떠나기전 우이도에서 집필한 책이다.
정약전의 최후 유배지인 흑산도 주변의 물고기와 바다 생물을 한문으로 집필한 도감으로 이 한 권의 실용서에는 정약전의 철학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준익 감독이 장소를 물색하다 이곳의 경치에 반해 촬영지로 택했다고 하는 것처럼 주변 풍경이 아름다운 섬으로 도초도 발매리 언덕 위에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도초도
[해변/해수욕장]
고립된 무인도서는 언제나 밀물과 썰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 중에 하나인데 파도에 씻기고 태양빛에 사그라들기를 거듭하면서 생성된 이끼는 거의 화석화 되는 이끼가 된다.
여기에 그늘이 오면 색이 생겨나게 되는데 오랜 세월동안 아름다운 색으로 변모하여 썰물에 드러나는 모습은 아름다운 모습으로 바뀐다.
무인도서는 생명체가 없기에 이끼 자체가 보존되어 화려한 모양과 색으로 그 존재감을 드러내게 되는데 보는 이로 하여금 빠지게 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일대
[한국의 등대문화유산]
칠발도는 신안 비금도에서 서북쪽으로 약 10km 가량 떨어진 등대섬이며, 환경활동과 해양쓰레기 제거 활동으로 일행과 함께 청소한 등대섬이다.
유인 여객선이 운항하지 않아 좀처럼 가보지 못하는 섬이며, 입도도 쉽지 않은 무인도서에 속하는 섬이지만 이곳은 역사 등대가 있는 섬이기도 하다.
등고가 제법 있지만 올라서면 칠발도 등대가 보이는데 무인등대로 변한 칠발도 역사 등대의 돋보이는 자태를 볼 수 있으며, 입구에는 한미협정 동판이 걸려있다.
최초 점등일 : 1905년 11월 2일 제 18 호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고서리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일반적으로 서리가 내리는 곳은 그날 날씨와 온도가 서리 모양을 좌우하게 되는데 바람이 불거나 기온이 하강하게 되면 서리는 바닥에서 얼어버린다.
바닥에 내려 앉은 서리는 풀잎이나 식물에 내려 앉아 하얀 알갱이가 되어 식물의 잎을 아름답게 만들어 주지만 기온이 떨어지면 사진 처럼 얼음이 된다.
가장 알맞은 온도는 영하보다는 영상 1~2도 사이일 때고 바람이 불지 않아 제대로 장착된 서리가 좋지만 기온이 더 내려가면 상고대가 되어 버린다.
주소 : 충남 서산시 음암면 한다리길 39
[365일]
겨울의 대명사는 역시 눈이지만 눈이 오지 않는 도시에는 그나마 서리라도 내려 하얀색을 보여주곤 하는데 물가에는 상고대로 바뀌어 갸냘픈 예쁨이 많이 부족하다.
서리를 찾아 서산, 보령, 완주,고흥을 찾아 보지만 바람이 많은 곳은 서리가 내릴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기에 주로 내륙을 찾아가곤 한다.
바다 근처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서리를 담아 하나하나 담아 보는데 하얀색 색이 내려앉은 모습이 아름답기 그지없다.
[365일]
첫 눈이 내리고 한 동안 눈을 보지 못한 체 겨울을 보내다 보면 눈이 와야 할 자리에 또 다른 겨울이 내려 앉는다.
서리, 얼음 그리고 동지를 기점으로 살얼음이 얼면서 생기는 얼음 모양이 용이 땅을 간 것 처럼 생겼다 하여 이 얼음을 용갈이라고 부른다.
얼음 모양만 가지고 다음해에 농사를 점칠 정도였으니 농경문화는 기후에 얼마나 민감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오늘은 사진으로 담아 그 모양과 색을 예술로 승화시켜 보았다.
[365일]
제주도는 섬 전체가 화산 활동으로 빚어진 하나의 작품이자 자연유산이다 보니 가는곳, 보이는 모든 곳이 자연의 보고가 된다.
특히 화산 지형은 세계 그 어디를 가도 빠지지 않을 멋진 풍경과 기암이 즐비하고 아름답기 그지 없어 여행객들에겐 언제나 그리운 섬이 되곤 한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유네스코가 인증한 자연 과학 분야에서 3관왕을 차지한 섬이기에 더욱 자랑스러우며 2002년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이어도로 36-24
[365일]
서귀포 해안가 서쪽 바다에 있는 범섬은 50~60년 전만 해도 사람이 살며 방목과 고구마 등 농사를 지었다고 한다.
고려 공민왕 때 최영 장군이 원나라의 잔류세력을 마지막으로 섬멸시킨 곳이기도 한 범섬의 해안 절벽에는 설문대할망이 한라산을 베개 삼아 누울 때 뻗은 두 발이 뚫어놓은 것이라고 전해오는 콧구멍 동굴이 있다. 섬 모양이 호랑이가 웅크리고 앉은 모습과 같다 하여 범섬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법환동
[제주도 두루워킹투어]
제주 용연을 구성하고 있는 지질은 수직절리가 잘 발달된 두꺼운 현무암질 용암과 깊은 V자 계곡의 형성으로 특징 지워진다.
바다와 만나는 하구에는 자갈과 모래로 된 하천 퇴적물이 쌓여 있으며, 암석면에는 마애각들이 있고, 용두암 부근은 높은 절벽을 이루고 있다.
현무암질 용암과 깊은 V자 계곡의 형성으로 보이며, 바다와 만나는 하구에는 자갈과 모래로 된 하천 퇴적물이 쌓여 있으며, 암석면에는 마애각들이 있다.
주소 : 제주시 용담1동 2581-4
[해변/해수욕장]
제주 올레를 하면서 해안 길을 걷다 보면 자연스럽게 만나게 되는 해안 도로 중 주변 풍경이 예쁜 엄장해암 길은 구엄 포구, 남도리 쉼터, 남두 연대, 고내 포구로 끝없이 이어지는 아름다운 해변 길이다.
제주 엄장 해암길은 대한민국 해안 누리길 중 하나로 구엄 포구와 돌 염전을 시작으로 오른쪽에 펼쳐지는 바다를 보며 걸을 수 있는 구간이다.
이 길은 제주의 옛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는 모습이 많아 자연스럽게 눈길이 가고 주변 경관이 수려하고 아름답기 그지없다.
주소 : 제주시 애월읍 구엄리 엄장해안도로
[항구/선착장]
제주 한림읍 귀덕리에 있는 복덕개 포구는 제주의 민간신앙인 영등신인 음력 2월1일에 제주에 왔다 영등바람을 뿌리고 15일에 제주를 떠나는 바람의 신이 매년 음력 2월 초하루 제주에서 처음으로 들어오는 포구라고 하는데서 유래한 이름자를 딴 항구이다.
이 항구에 영등할망이 들어와 바다와 뭍에 씨를 뿌리고 간다하여 복(福)자와 덕(德)자를 합하여 지금의 복덕개항구가 된 제주 전통 재래식 항구이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귀덕1리
[항구/선착장]
제주사람들은 포구를 개 또는 개맛, 성창 또는 개창이라 불렀는데 신창항의 예전 명칭은 왕깅이물 성창이었다고 한다.
포구는 안개맛(배를 정박시키는 안쪽 자리)과 바깥개맛(배를 정박시키는 바깥쪽자리)으로 구분하여 불렀으며, 바깥개맛을 두고 왕깅이물성창이라 했는데 민물인 용천수가 솟는 포구라는 의미이다.
신창항에서 서쪽으로 조금 가면 마리여등대라는 하얀 등대가 서 있는데 이곳이 유물발굴을 통해 이 등대 앞 해상에서 12~13세기의 금제장신구류와 중국도자기 등의 유물이 대량으로 발굴되었다.
주소 :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