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선유도 남단 등대는 근육미의 인어가 백색의 모습을 하고 바다를 바라보는 형상의 등대인데 유람선을 타고 보는 경우가 많아 인어등대로 알려진 등대다.
보통은 유람선에서 보는 경우가 많지만 선유봉을 넘어 등산을 해서 오는 이들도 더러는 있으니 두가지 방법 모두 등대를 만나는 방법이다.
약간의 아쉬운 점은 무인등대이다 보니 태양광을 이용해 빛을 내는 등대이기에 집열판이 설치 되어 있어 인어형상을 가린다는 점이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리 산 78번지
[무인도서]
군산 무녀도 쥐똥섬은 6월 2주의 섬 선정하면서 고민이 많았던 이유가 밀물에 길이 없어지는 고립 사고 때문인데 만조시 15분 정도면 길이 없어짐을 안내해야 하는 알림판이 없기 때문이다.
군산 관광명소 중 하나인 무녀도 쥐똥섬에서 고립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 한번 고립되면 구조도 쉽지 않은데다 자칫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무녀도 쥐똥섬은 물때에 따라 바닷길이 열려 일명 모세의 길로 불리고 있는 섬이며 특히 섬까지 걸어서 주변 경치를 즐길 수 있는 매력이 큰 섬이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동길
[365일]
군산 무녀도 쥐똥섬은 6월 2주의 섬 선정하면서 고민이 많았던 이유가 밀물에 길이 없어지는 고립 사고 때문인데 만조시 15분 정도면 길이 없어짐을 안내해야 하는 알림판이 없기 때문이다.
무녀도 쥐똥섬에서 고립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 한번 고립되면 구조도 쉽지 않은데다 자칫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무녀도 쥐똥섬은 물때에 따라 바닷길이 열려 일명 모세의 길로 불리고 있는 섬이며 섬까지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매력이 큰 섬이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동길
[무인도서]
완도 섭도 등대는 1957년 최초 점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같은해 3월에 개교한 초등학교와 년도를 같이하고 있는 등대이다.
지금은 몇가구 살지 않는 섬으로 바뀌었고 어민이 살던 집은 방치되어 거의 폐허에 이르고 있으며, 일반 여객선은 닿지 않는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본래 유인도여서 식수는 괜찮은 편이지만 본섬인 금일도에를 가려면 여객선이 없어 어선을 이용해야 하기에 불편함 속에서 섬을 떠나는 이들이 많다.
주소 : 전남 완도군 금일읍 사동리 산 144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완도 섭도 등대는 1957년 최초 점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같은해 3월에 개교한 초등학교와 년도를 같이하고 있는 등대이다.
지금은 몇가구 살지 않는 섬으로 바뀌었고 어민이 살던 집은 방치되어 거의 폐허에 이르고 있으며, 일반 여객선은 닿지 않는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본래 유인도여서 식수는 괜찮은 편이지만 본 섬인 금일도를 가려면 여객선이 없어 어선을 이용해야 하기에 불편함 속에서 섬을 떠나는 이들이 많다.
최초 점등일 : 1957년 12월 1일
주소 : 전남 완도군 금일읍 사동리 산 144
[유인도서]
상수치도는 비금면 소재지의 동쪽 해상에 위치하며 동쪽에 상사치도와 하사치도, 남쪽에 수치도가 있으며 팔구포의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상수치도는 목포와는 서쪽으로 40km 떨어져 있고 면소재지인 비금도와는 2.5km 떨어져 있지만 아직까지는 불편한 섬으로 남아 있다.
초창기에 무인도가 될뻔한 섬을 1인이 가꾸어 지금은 유인도가 되어 농사와 어업을 하는 주민들로 이루어진 섬이며 등대 역시 역등의 특징 중 하나인 사각 콘크리트 울타리가 둘러져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수치리
[한국의 역사 등대]
상수치도는 비금면 소재지의 동쪽 해상에 위치하며 동쪽에 상사치도와 하사치도, 남쪽에 수치도가 있으며 팔구포의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상수치도는 목포와는 서쪽으로 40km 떨어져 있고 면소재지인 비금도와는 2.5km 떨어져 있지만 아직까지는 불편한 섬으로 남아 있다.
초창기에 무인도가 될뻔한 섬을 1인이 가꾸어 지금은 유인도가 되어 농사와 어업을 하는 주민들로 이루어진 섬이며 등대 역시 역등의 특징 중 하나인 사각 콘크리트 울타리가 둘러져 있다.
최초 점등일 : 1969년9월 3일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수치리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얼마전까지만 해도 학의 모양으로 빛을 내어 이색 등대로 많이 알려졌지만 지금은 몽하도에 학이 사라지고 조형물 자체가 조명으로 바뀐 등대이다.
목포와 해남 사이에 주소지로는 영암군에 속해 있고 물동량이 많은 선박이 주로 다니는 항로인지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이기도 하다.
사람은 살지 않은 무인도서이지만 낚시철에는 낚시꾼들이 입도하여 낚시하는 것 외에는 사람을 볼 수 없는 작은 섬이다.
최초 점등일 : 1912년 3월 2일
주소 : 전남 영암군 삼호면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전남 신안군에 속한 구도 등대는 지금은 기능이 폐지되었지만 일제강점기에 설치된 역사 등대와 모양면에서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는 신안에 설치되었던 의료기관 제생원이 그런 모양을 갖게된 중요한 격리가 필요한 의료시설도 이와 관련이 있다.
대표적인 곳이 전남 고흥 소록도의 한센병 관련 시설이며 한국 전쟁기에 설치된 포로수용소 시설도 섬의 고립성으로 인해 형성된 등대시설 등이 해당한다.
구도는 정기 여객선이 없어 오히려 보존이 되고 있지만 시급하게 보수해야할 역사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56년 9월 14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장산면 마진도리 산 91-2
[한국의 역사 등대]
전남 신안군에 속한 구도 등대는 지금은 기능이 폐지되었지만 일제강점기에 설치된 다른곳의 역사 등대와 모양면에서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는 구도에 설치되었던 의료기관 제생원이 그런 모양을 갖게된 중요한 원인이었는데 격리가 필요한 의료시설도 이와 관련이 있다.
대표적인 곳이 전남 고흥 소록도의 한센병 관련 시설이며 한국 전쟁기에 설치된 포로수용소 시설도 섬의 고립성으로 인해 형성된 등대시설 등이 해당한다.
최초 점등일 : 1956년 9월 14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장산면 마진도리 산 91-2
[무인도서]
신안군 흑산면에 속한 하죽도는 제주로 향하는 먼바다를 바라보는 항로에 해당하여 다물도와 영산도를 축으로 있는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외형은 기암이 장엄하고 아름답게 펼쳐져 있어 흑산도 내에 숨겨진 섬으로 보는 것이 좋을 성 싶은 또 다른 멋을 지닌 무인도서이다.
또한 산 정상에 있는 등대는 주둥 형태가 육각형의 지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멀리서 보면 모자를 쓴 모습을 한 산정상임을 알 수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다촌리
[무인도서]
탕건여 등대는 외나로도 남쪽 해상에 자리한 암초 정상부에 위치한 무인등대로 외나로도 남쪽 해상을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위치표시를 해 주고 있다.
이 등대와 외나로도 사이의 중간쯤 되는 해역에는 곡두여라는 바위암초가 동서방향으로 길게 뻗어있기 때문에 항해할 때 주의가 요구되는 곳에 위치한다.
이 등대는 일제강점기 당시 전남지역의 물자를 수탈하여 부산항이나 일본 방향으로 가는 선박들이 많이 이용하던 항로이며 1926년에 최초 점등하였다.
주소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 탕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