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전북 부안군에 속한 토끼섬은 거륜도 등대가 서 있는 무인도서이며 경관이 아름다운 높은 절벽을 안고 있는 섬이다.
동서방향으로 길게 신장, 동쪽해안 일부와 서북쪽 해안은 파식대 발달. 서쪽부분은 수직절리의 발달로 해식애 존재. 동쪽해안은 응회암이 주를 이룬다.
섬의 위치는 작은 섬 3개가 각각 떨어져 있지만 등대가 있는 섬이 토끼섬에 해당하며 거륜도에서 어선을 이용하여 입도해야 한다.
주소 : 전북 부안군 위도면 거륜리 토끼섬
[365일]
소룡도는 첫 발을 내딛는 순간 아 하는 탄성과 함께 화성에 온 듯한 착각을 하게 되는데 이는 암석 구조가 중생대 백악기 유문암,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구성된 돔 형태의 완만한 순상지형의 섬이기 때문이다.
섬 주위는 폭 30m 크기의 해식대지와 거대 타포니, 해식노치가 발달. 마식작용에 의한 수십 ㎝ 직경의 구혈(marine pothole)이 존재하고 있다.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에 선정된 적이 있으나 아쉽게도 무인도서인 관계로 정기 여객선이 없는 것이 흠이 되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 산241
[유인도서]
전남 고흥에 있는 작은 섬 애도(艾島)는 지명에 쑥 애를 썼을 만큼 봄이면 쑥이 지천에 자라나는 곳이기에 애도 또는 쑥섬으로 부른다.
과거 신성한 신을 모시는 재단이 있어 개나 닭을 키우지 않아서 생선이 많은 섬인지라 고양이만 있는 묘한 쑥섬이기에 현지인들은 고양이섬이라고도 한다.
쑥섬은 고흥 선착장에서 10분이면 닿을 가까운 거리에 있기에 작은 유람선이 1시간에 한번씩 왕복 운항하기에 교통편에서는 좋은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애도
[365일]
전남 고흥에 있는 작은 섬 애도(艾島)는 지명에 쑥 애를 썼을 만큼 봄이면 쑥이 지천에 자라나는 곳이기에 애도 또는 쑥섬으로 부른다.
과거 신성한 신을 모시는 재단이 있어 개나 닭을 키우지 않아서 생선이 많은 섬인지라 고양이만 있는 묘한 쑥섬이기에 현지인들은 고양이섬이라고도 한다.
쑥섬은 고흥 선착장에서 10분이면 닿을 가까운 거리에 있기에 작은 유람선이 1시간에 한번씩 운항하기에 교통편에서는 좋은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애도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영광 두우리 등대는 북쪽 끝의 해안가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등대가 자리한 지점의 바로 앞은 영광군 불갑천이 서해로 들어가는 강 어귀에 해당한다.
이쪽 수역은 만조시에는 등대 바로 앞에까지 바닷물이 들어차지만 간조시에는 불갑천의 수로를 제외하고 최대 2km이상 뻘이 펼쳐지는 곳에 해당 한다.
주차를 하고 바닷가를 걸어 들어가는데 간조에만 가능하고 착시로 바로 앞에 있는 것처럼 보이나 두번의 코너를 돌아서 도착해야 하고 갯바위가 위험하며 미끄러우니 걸으며 항상 주의해야 하는 곳이다.
최초 점등일 : 2010년 6월 2일
주소 : 전남 영광군 염산면 두우리 산 3-1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영광 두우리 등대는 북쪽 끝의 해안가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등대가 자리한 지점의 바로 앞은 영광군 불갑천이 서해로 들어가는 강 어귀에 해당한다.
이쪽 수역은 만조시에는 등대 바로 앞에까지 바닷물이 들어차지만 간조시에는 불갑천의 수로를 제외하고 최대 2km이상 뻘이 펼쳐지는 곳에 해당 한다.
주차를 하고 바닷가를 걸어 들어가는데 간조에만 가능하고 착시로 바로 앞에 있는 것처럼 보이나 두번의 코너를 돌아서 도착해야 하고 갯바위가 위험하며 미끄러우니 걸으며 항상 주의해야 하는 곳이다.
주소 : 전남 영광군 염산면 두우리 산 3-1
[역사가 있는 등대 테마2]
전남 해남군 앞바다에 있는 섬인 시하도는 씨앗섬이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얼마전까지 1인 가구가 있었지만 현재는 거의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시하도는 섬에 불을 밝혀 시각을 알 수 있게 해준 것에서 유래하였으며, 관련 지명으로서의 시하바다는 여기서 파생된 명칭이다.
이름만으로도 예쁜 시하도 등대의 최초 점등일은 1907년 9월 1일이니 국내에 현존하는 등대 중에서도 오래된 역사를 안고 있는 등대에 해당한다.
최초 점등일 : 1909년 8월 5일
주소 : 전남 해남군 화원면 시하리 산 13
[간이역 시간여행]
경전선의 경유지 간이역인 보성 득량역은 어원이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군량미를 얻었다는 뜻을 가진 지명으로 알려져 있다.
여객 인원의 감소로 폐역의 위기에 몰렸던 득량역은 역사 내 공간을 공원화하여 개방하고 다양한 볼거리를 새로 조성하여 일반인에게 개방하였다.
역 앞에 70~80년대 읍내의 모습을 재현한 득량역 추억의 거리는 문체부에서 추진한 열차역 문화디자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
주소 : 전남 보성군 득량면 역전길 28
[제주도 두루워킹투어]
곶이란 육지에서 바다로 비교적 뾰족한 모양으로 돌출된 땅을 가리키는 말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땅을 일컫는 반도와 비슷하나 그보다는 작다.
곶의 경우 우리나라의 호미곶, 장산곶, 월곶 등 해안가에 비교적 작은 규모에 사용되며 특별히 모양상으로도 바다로 뻗어 나간 땅을 가리킨다.
곶의 형성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육지가 침강(沈降)하거나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이전의 산줄기였던 곳이 바다에 잠겨 생성되는 경우이다.
주소 :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777
[숙박]
제주 여행시 가성비가 좋고 시설이 좋은 호텔을 쉽게 찾기는 어렵지만 함덕 방향을 여행한다면 제주 함덕 라마다 호텔을 권해보고 싶다.
단지 라마다 호텔의 최대 단점은 주차장인데, 지하주차장 없고 호텔 앞으로 주차 공간이 협소하다 보니 차가 2중 3중으로 주차되어 있다는 것이다.
가격면이나 시설면에서는 가성비가 뛰어나고 무엇보다 함덕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어 이동하는데 좋은 위치에 있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주소 : 제주시 조천읍 신북로 470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제주 우도에 있는 봉수대는 제주 전통 화강암을 쌓아 만든 탑 형태의 전망대로 만들어져 있으며 우도로 들어오는 바다를 바라보던 기능을 했다.
봉수시설은 고려시대부터 사용했다고 전해지지만 제주에서의 봉수대는 조선시대 세종 때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봉수는 1895년 봉수제가 폐지될 때까지 조선시대 대표적인 군사 통신시설이고 이로 인해 우도에서도 망루라고 하여 5인 1조로 근무했다고 한다.
주소 : 제주시 우도면 우도 해안길
[제주도 두루워킹투어]
올레길을 걷다 보면 자연스럽게 20코스에서 만나게 되는 포구가 김녕포구인데 이곳은 20코스가 시작되는 길이기도 하지만 19코스가 끝나는 길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19코스가 끝나는 시간이 노을이 들 무렵이라면 더할 나위없는 아름다운 노을을 만나게 되는 포구 중에 하나가 된다.
포구에서 조금 올라서면 바다로 난 방파제를 만나게 되는데 이곳이 바로 김녕포구의 노을 명소로 소문난 장소이고 도대불이 있는 장소이다.
주소 : 제주시 구좌읍 김녕항1길 5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