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거제 견내량은 거제대교의 아래 쪽에 위치한 좁은 해협으로써 길이는 약 3 km, 폭은 약 180m, 400m까지해협을 말한다.
임진왜란 때 한산 대첩의 주요 배경이 되었으며, 현재는 거제대교와 신거제대교가 걸쳐 있는 곳이며, 견내량은 고려에는 의종이 3년간 유배되어 전하도(殿下渡)로 불렸다.
임진왜란 때는 옥포해전과 한산해전의 주요 배경지가 되었으며, 특히 한산해전은 견내량에서부터 한산도 앞바다 그리고 안골포 전투를 벌인 시발점이다.
주소 :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통영의 구돌서 등대는 화산암의 제주와는 다른 색의 주상절리 위에 우뚝 서있는 아름다운 등대 중 하나이며, 입도후 주상절리 위에 선 등대는 또 하나의 아름다운 풍경을 안겨준다.
구돌서는 절해고도나 먼바다의 무인도서는 사람의 손길을 타지 않아 자연미가 넘치고 환경 보존이 잘 되어 있어 넋놓고 바라보게 되는 등대이다.
가끔 지나가는 선박외에는 모두가 바다이며 바람이 있는 날은 파도만이 친구가 되는 무인도서이기에 외로움이 무언지 모를 무인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85년 12월 14일
주소 : 경남 통영시 욕지면
[무인도서]
구돌서는 통영 욕지면 서편 약 13km남짓 떨어진 해상에 있는 작은 바위섬인 구돌서 위에 설치된 무인등대이며, 주상절리 위에 우뚝 서 있다.
남해 먼바다에서 삼천포항 방향으로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위치표시를 해 주는 항로표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섬이라기 보다는 여에 가깝다.
해면위 약 20m높이로 솟아있는 암초에 가까우며, 면적이 좁아 일반 지도에는 표기되지 않고 해도상에만 표기되는 지점으로 알려져 있다.
주소 : 경남 통영시 욕지면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통영에서 출발하거나 사천에서 출발하여 홍도로 소매물도를 지나 먼바다로 향하다 보면 만나게 되는 작은 등대가 고암 등대이다.
고암 등대는 일반 사람들보다는 낚시꾼이나 스킨스쿠버를 취미로 하는 이들에게는 많이 알려진 등대이다 보니 검색을 통하면 쉽게 듣는 등대이다.
고암에서 더 먼바다에 있는 홍도 등대와 함께 남해상의 먼바다를 비추는 등대이며, 30m의 등고여서 항해하는 선박에게는 소중한 등대가 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92년 03월 10일
주소 : 경남 통영사 욕지면 동항리 1433
[무인도서]
고암여 등대는 먼바다에 있는 작은여인지라 지도에서도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은 암초 정도에 지나지 않지만 그곳에서도 백색 등대는 빛나고 있다.
개인섬으로 알려진 백도는 종교 단체가 입주하여 아파트를 짓고 생활하기에 안전상의 문제로 입도하지 못하고 지나쳐 만난 등대가 고암 등대이다.
입도하여 올라설 때, 한 발도 내딛기 힘든 작은 여이기에 안전에 유의하여 작업을 해야 하고, 섬 정상부에 올라서면 세상 부럽지 않을 풍경이 펼쳐진다.
주소 : 경남 통영시 욕지면 동항리 1433
[전북 두루워킹투어]
남원은 사통팔달로 타 도시로 이동하는 모든 길이 열려있는 중심이 되는 도시이다. 고속도로에서 잠시금 쉬며 남원을 만날 수 있는 휴게소가 있다.
광한루를 모형으로 만들어진 곳에서 이색 사진을 연출할 수 있고, 겨울철 병풍처럼 펼쳐진 지리산을 보며 내리는 눈을 보는 순간은 환상을 만날 수 있다.
흔히들 트릭 그림은 연출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결과물이 다르게 나오지만 어떤 포즈를 취해도 즐거운 시간이 될 트릭 장소이다.
주소 : 전북 남원시 아영면 88올림픽고속도로 75
(고서 방향)
[전북 두루워킹투어]
남원 최명희 혼불문학관은 빛보다 어둡지 않다라며 요즘처럼 혼탁한 세상을 경계하기라도 하듯이 그믐은 지하에 뜬 만월이라고 작가는 쓰고 있다.
서도역에서 길따라 10여분을 길따라 걷다 보면 한옥으로 만들어진 문학관을 만나게 되는데 이곳에서 일찍 세상을 떠난 작가의 생전 모습을 만날 수 있다.
광복 후 태어나 98년에 별세 하셨으니 그리 오래 사신 것이 아니어서 아쉽기만 하고 혼불은 우리 풍속의 보고이자 모국어의 보고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소 : 전북 남원시 사매면 노봉안길 52
[전북 두루워킹투어]
지리산을 오르지 않고 남원 시내 전역을 바라보며 노을을 볼 수 있는 전망대가 남원 중심부에 관한루를 내려다 보며 있는 곳이 바로 원각사 전망대이다.
밤도 아름다운 도시 남원은 광한루, 춘양테마파크, 예촌 등이 있지만 하루 일을 마무리하는 의미에서 바라보는 노을은 그 의미부터가 다르다.
차 한잔의 여유와 함께 봄으로 가는 태양을 전망대에서 바라보며 춘향이의 애틋한 마음을 느껴볼 수 있는 아름다운 전망대에 올라 보자.
주소 : 전북 남원시 양림길 23-52 원각사
[전북 두루워킹투어]
전주는 천년전 후백제의 도읍이었으며, 조선 태조의 본향으로 왕조의 뿌리의 고장이며, 한식과 한복, 한지 등 우리 문화의 참맛이 살아 있는 고장이다.
풍남동과 교동 일대 전주한옥마을이 중심에 있으며, 일제강점기 일본 상인들에 대항해 조성한 한옥촌으로, 세월이 흘러 전주를 상징하는 마을이 되었다.
태조의 어진을 모신 경기전, 천주교의 성지 전동성당, 한류 영화와 드라마의 촬영지 전주향교 등에서 우리 문화의 과거를 만날 수 있는 여행지이다.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99
[전북 두루워킹투어]
완주 위봉산성은 2006년 사적 제471호로 지정되면서 많이 알려지게 되었고, 1675년(숙종1년)에 축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과거에 전주 경기전에 있는 태조의 영정과 시조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한 것으로 동학군에 의해 함락되자 태조의 영정과 시조의 위패를 피난시킨 일이 있다.
지금은 성벽 일부와 전주로 통하는 서문만이 남아 있는데, 문 위에 있던 3칸의 문루는 붕괴되어 없어지고 아치형 석문만 남아 있다.
주소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맛집]
완주를 여행하면서 느끼는 것은 길 하나를 두고 모두 지나가면서 여행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그만큼 시간면에서 효율적임을 알게 된다.
우선 아침은 전주에서 하고 오스갤러리나 라온카페에서 커피 한잔을 한 뒤 대통밥1번지에서 점심을 건강식으로 하면 된다.
이후 예촌을 들려 전통 한옥을 보고 위봉산성과 완주 송광사와 위봉사를 들리면 보물이 넘쳐나는 문화유산 여행이 될 것이다.
주소 : 전북 완주군 소양면 송광수만로 472-6
[카페]
요즘은 지방을 여행을 하게 되면 한번쯤 숲속카페를 방문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만큼 친환경 소재지를 바탕으로 개업하는 곳이 많기 때문이다.
방탄소년단의 뮤비가 촬영된 저수지가 바로 앞에 있어 영상으로 알려지면서 유명세를 탄 갤러리 카페이지만 무명의 작가들 작품이 매월 전시되니 잠시금의 여유로 즐길 수 있어 더욱 좋다.
커피향이 숲속에는 풍겨오는 그윽한 카페 주변이며 청년 작가의 예술의 향이 풍기는 숲속 카페이다.
주소 : 전북 완주군 소양면 오도길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