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전남 나주 남고문은 사적으로 지정된 나주읍성의 남문으로, 나주시 남내동에 복원되어 1920년 경 일제에 의해 약간의 석축만 남고 완전 철거되었다.
다시 1993년 옛 모습대로 복원되었으며 그후 추녀와 천장이 훼손되어 2005년에 보수 공사를 하여 2층으로 된 문루가 있고 팔작지붕 건물이다.
나주읍성에는 중층 문루로 된 철문인 남문 남고문과 동문 동점문, 단층 철문인 서문 서성문과 북문 북망문이 있었는데 남고문이 많이 이용되었다 한다.
주소 : 전남 나주시 남외동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나주는 소도시 중 유일하게 사대문을 모두 갖추고 있는 중점이며 언제 축조되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나주가 삼국시대 말기에 지방 거점지였음을 말해준다.
현재의 북망문은 고려초기에 축조되었고, 정도전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 말기에 왜구의 침입으로 해안 지역은 황폐해졌던 반면 읍성은 피해가 없었다고 한다.
현재는 사대문 모두 복원이 완성 되어 야행 축제 때에 사대문의 조명이 모두 밝히면 도시 전체가 아름다운 시간 여행의 도시가 된다.
주소 : 전남 나주시 성북동
[카페]
전주 아중리는 야경이 예쁜 저수지가 있고 인근 벽화 마을을 접하고 있어 많은 여행객들이 찾는 관광명소 중에 하나인데 저수지 입구에 아담한 간이역 느낌이 드는 대쉬 카페가 있다.
아늑한 가정집에서 커피 한 잔을 마시는 듯한 느낌과 정겨운 주인장의 다정한 인품이 카페에 스며들어 있어 몇시간 함께하기에 좋은 카페이다.
요즘처럼 개방형 카페이기 보다는 약간의 공간형 카페이기에 아늑한 느낌으로 함께 할 수 있다.
주소 : 전북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1가 1120-9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군 서거차도의 최고점은 북동쪽 136m이며, 그밖의 지역은 대부분 경사가 완만하며, 해안은 암석해안이며, 높은 해식애가 곳곳에 발달해 있다.
북쪽과 서쪽 해안은 단조로우나 남쪽·동쪽 해안은 소규모의 만이 있고, 특히 만 입구에는 작은 섬들이 있어 방파제 역할을 한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에 속하며 대흑산도의 흑산항과 함께 어업전진기지로 지정되어 급수·급유·제빙 시설을 갖추고 근해어업의 근거지가 되고 있다.
최초 점등일 1981년 3월 4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서거차도리 서거차도
[CNN 선정 아름다운 섬 33]
진도군 서거차도의 최고점은 북동쪽 136m이며, 그밖의 지역은 대부분 경사가 완만하며, 해안은 암석해안이며, 높은 해식애가 곳곳에 발달해 있다.
북쪽과 서쪽 해안은 단조로우나 남쪽·동쪽 해안은 소규모의 만이 있고, 특히 만 입구에는 작은 섬들이 있어 방파제 역할을 한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에 속하며 대흑산도의 흑산항과 함께 어업전진기지로 지정되어 급수·급유·제빙 시설을 갖추고 근해어업의 근거지가 되고 있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서거차도리 서거차도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군 병풍도에 있는 등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은 등대이지만 먼바다를 항해하는 선박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위치에 있는 등대다.
이 섬은 가장 남쪽 끝자락에 있는 섬이며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서에 속하며 섬의 생김새가 병풍을 펼친 듯 보여 병풍도라 한다.
섬의 중간 부위는 파도가 높으면 바닷물이 넘칠 정도로 가늘고 토양이 없는 노출암 상태를 이루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84년 8월 18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동거차도리 산 17
[CNN 선정 아름다운 섬 33]
진도군 병풍도는 가장 남쪽 끝자락에 있는 섬이며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서에 속하며 섬의 생김새가 병풍을 펼친 듯 보여 병풍도라 한다.
섬의 중간 부위는 파도가 높으면 바닷물이 넘칠 정도로 가늘고 토양이 없는 노출암 상태가 대부분이며 낭떠러지를 이루고 있다.
지질은 중생대 후기의 경상계인 중생대 백악기에 이루어진 우리나라 지층의 하나에 속하는 퇴적층인 유천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은 동거차도 마을의 공동소유이며 특정도서로 지정하였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동거차도리 병풍도
[역사가 있는 등대 테마2]
국립 해양 과학관의 주요 시설로는 해양 수산 과학기술 관련 전시․교육 시설과 야외 전시장, 청소년 숙박시설, 해양 체험을 즐길 수 있는 해중 전망대 등이 있다.
특히 본관과 4백여 미터 길이의 해상 통로로 연결된 해상 쉼터와 해중 전망대에서는 청정한 동해의 모습과 신비로운 바닷속 생태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어 가족 나들이에 더 없는 장소이자 휴식 공간이다.
주소 : 경북 울진군 죽변면 해양과학길 8
[역사가 있는 등대 테마2]
1907년 12월에 무인등대로 처음 불을 밝힌 가거도 등대는 주변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이 늘어나면서 1935년 9월 등대원이 상주하는 유인등대가 되었다.
가거도 등대는 매일 밤 15초에 한 번씩 50km 떨어진 바다까지 불빛을 비추며 동중국해와 서해 사이를 드나드는 선박의 뱃길을 안내하고 있다.
가거도 등대는 100여 년의 역사와 독특한 건축양식을 지녀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돼 있기도 하며 우리나라 영토표지가 있는 섬이기도 하다.
최초 점등일 : 1907년 12월 1일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역사가 있는 등대 테마2]
가사도 등대는 지형적으로는 말 모양으로 말의 이마에 등대가 설치되어 있는 형상인데 부산·제주 방면으로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었다.
1984년 10월 유인등대로 새롭게 태어나 서남해의 교통로의 이정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백색원형콘크리트조의 등탑은 고지대에 위치 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짙은 안개가 자주 발생되어 통항 선박의 안전 항해를 유도하기 위하여 음향 신호인 무신호기가 설치되어 등대와 함께 운영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10년 10월 3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역사가 있는 등대 테마2]
한동안 문화재 보호 측면에서 닫혀있다가 열린 섬이 상백도이지만 아직까지 입도는 절차가 까다롭고 쉽게 열리지 않은 단점이 있지만 아름다운 섬이다.
거문도에서도 뱃길로 1시간 가량 유람선을 타고 순환 관광을 하고 있지만 반대쪽은 파고가 조금만 높아도 먼바다인 관계로 배가 운항하지 않아 좀처럼 쉽게 접할 수 없는 미지의 섬으로 남아 있다.
일년에 두달 정도에서도 주말을 이용한다면 7번의 기회 정도 밖에 날씨가 허용 안되니 참으로 험란한 여행길이다.
최초 점등일 : 1938년 11월 1일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산39
[역사가 있는 등대 테마2]
부산 제뢰등대는 1905년 6월에 건립되었으며 1998년 부산항 북방파제 등대로 한차례 이름이 바뀐 후 새로운 등표가 건립되면서 역할을 멈추었다.
제뢰 등대는 높이 약 7m의 돌로 쌓은 원형 건물로서, 외벽은 붉은색과 검은색의 가로선으로 되어 있어 멀리서 보면 등대보다는 등표 느낌이 난다.
당시 등대의 백색 불빛은 가스등을 사용하였으며, 돔 형식의 지붕과 2개의 3단 원형 띠를 두르고 있고, 민기둥 형태의 안정된 구조를 사용하였다.
최초 점등일 : 1905년 6월
주소 : 부산시 남구 감만동 6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