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
거문도 동도 선착장에서 뱃길로 10여분을 가면 만나는 섬이 소삼삼부도인데 둥근섬과 함께 동도를 마주보고 있는 섬이 소삼부도이다.
작년에 여수시에서 환경보호 차원에 모든 갯바위 낚시 금지를 실시하여 어민들과 마찰이 심해지긴 했지만 일부 비양심적인 낚시인에게 경종을 울렸다.
소삼부도는 해안은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식동굴과 부분적 소규모 염풍화혈이 절벽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백악기 안산암질응회암에 해당하며 수직형 절벽을 이루고 있는 곳에 무인등대가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동도리 산 116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고흥 소록도 등대는 1937년 10월 1일에 불을 밝힌 후 현재는 기능이 폐쇄되어 등대로서의 기능을 잃었지만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 등대는 한센병 환자들의 강제 노동으로 지어졌으며,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무인 등대이지만 건립 당시는 녹동항을 드나드는 배들을 안내했다.
소록도는 코로나 이후 일반인 출입금지가 되어 좀처럼 만나기 힘든 등대가 되었으며 지금도 폐쇄성이 강한 섬이기에 소록도 내 문화재를 보기는 힘든 시기가 되었다.
최초 점등일 : 1937년 10월 1일
주소 : 전남 고흥군 도양읍 소록리 산180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상탄 등대는 남상리 서쪽 해안 돌출부에 위치한 무인 등대로 등대 바로 건너편에는 광양항의 여천쪽방향의 부두가 자리하고 있다.
등대의 주 역할은 광양항을 이용하는 선박들에게 항로 표지를 하며 북서쪽에는 포스코 부두와 GS 칼텍스 전용부두를 드나드는 선박의 안전을 지키고 있다.
등대 위치로 보면 작은 암초가 많고 수심이 낮아 대형 선박의 항로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맞바람이 강하게 일어나는 해상이라 항상 주의해야 한다.
최초 점등일 : 2018년 12월 27일
주소 : 경남 남해군 서면 남상리 1680-63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한동안 문화재 보호 측면에서 닫혀있다가 열린 섬이 상백도이지만 아직까지 입도는 절차가 까다롭고 쉽게 입도하기 어려운 단점은 있지만 아름다운 섬이다.
거문도에서도 뱃길로 1시간 가량 유람선을 타고 순환 관광을 하고 있지만 반대쪽은 파고가 조금만 높아도 먼바다인 관계로 배가 운항하지 않아 좀처럼 쉽게 접할 수 없는 미지의 섬으로 남아 있다.
일 년에 두달 정도에서도 주말을 이용한다면 7번정도의 날씨가 허용되니 참으로 험란한 여행길이며 입도는 여수시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최초 점등일 : 1938년 11월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산39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전남 여수 백야도 등대는 2005년 4월 14일 백야대교가 설치되어 차량운행이 가능해지면서 관광객과 낚시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백야도는 비교적 작은 섬으로 멀리서 보면 범이 새끼를 품고 있는 것 같다 해서 백호도라 불리다가 1896년 돌산군 설립 당시 백야도로 개칭하였다.
백야도 등대는 1928년 12월 10일 백색4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최초 건립되었으며, 1983년 11월 26일 현재의 높이 11.1m의 백원형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개량되었다.
최초 점등일 : 1928년 12월 10일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정면 백야등대길 48
[무인도서]
남해 백도는 백서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해안 절벽은 급경사를 보이며 등대로 오르는 길은 넓게 퍼져 있는 듯 하게 보이지만 앞 쪽 역시 급경사면이다.
여수항으로 들어가는 중간 지점에 작은 바위섬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큰 화물선의 경로이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가 있는 섬이다.
바다 한가운데 위치하여 바라보는 것만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항해하는 선박이 안전항해를 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고 있다.
해식애와 절리가 발달되어 있으며 지질은 백악기 안산암이다.
주소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2224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남해 백도는 백서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해안 절벽은 급경사를 보이며 등대로 오르는 길은 넓게 퍼져 있는 듯 하게 보이지만 앞 쪽 역시 급경사면이다.
여수항으로 들어가는 중간 지점에 작은 바위섬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큰 화물선의 경로이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가 있는 섬이다.
바다 한가운데 위치하여 바라보는 것만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항해하는 선박이 안전항해를 할 수 있도록 빛을 발하고 있다.
주소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2224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백금 등대는 안도의 북동쪽 해안 끝자락인 바위 위쪽에 자리한 무인 등대로 여수 해역에서 주로 보이는 같은 형태로 된 등대이다.
등대의 북서쪽 해역에는 초, 중, 외삼도와 같은 작은 섬과 각종 간출암과 노출암들이 줄지어 있는 해역으로 항해시 주의해야 하는 구역이다.
여수항 방향으로 향하는 선박의 경우 백금 등대의 정북방향에서 서쪽으로 가지 않도록 권장되는 해역이며 지역 이름을 따서 백금 등대가 되었다.
최초 점등일 : 1985년 9월 25일
주소 : 전남 여수시 남면 안도리 산 17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 문서는 해수부 관리에서 미지정된 무인도서로써 왼편 정상에 무인등대가 서 있는 작은 여에 해당하며 아름다운 절경을 갖춘 상백도 가는길목에 있다.
주변에는 작은 여에 해당하는 4개의 섬과 마주하고 있으며 등대가 없으면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위험 요소가 다분히 존재하는 수로에 있다.
항로는 삼천포에서 제주간을 오가는 항로가 되기에 주로 큰 배가 지나가는 항로이며 주변 물살이 거세고 언제나 풍랑이 일어 안전 운항이 요구되는 항로이다.
최초 점등일 : 2006년 7월 31일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동도리 산 124
[무인도서]
여수 문서는 해수부 관리에서 미지정된 무인도서로써 왼편 정상에 무인등대가 서 있는 작은 여에 해당하며 아름다운 절경을 갖춘 상백도 가는길목에 있다.
주변에는 작은여에 해당하는 4개의 섬과 마주하고 있으며 등대가 없으면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위험 요소가 다분히 존재하는 수로에 있다.
항로는 삼천포에서 제주간을 오가는 항로가 되기에 주로 큰 배가 지나가는 항로이며 주변 물살이 거세고 언제나 풍랑이 일어 안전운항이 요구되는 항로이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동도리 산 124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무학도 등대는 북쪽 해안가에 자리하고 있는 등대로 동편에 있는 지마도 등대와 함께 남쪽에 자리한 손죽도항으로 향하는 연안여객선들의 항로를 안내한다.
나로도항 출발 선박의 기준으로 보면 손죽도항으로 향하는 선박의 우현과 좌현에 무학도 등대와 지마도 등대가 있어 선박이 사이로 지나간다.
또한 항구로 남하하는 항로를 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불빛의 깜박이는 횟수와 빛의 거리로 두 등대의 식별이 가능하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11월 16일
주소 : 전남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 산 315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여수시 돌산도의 월전포 해변 동편의 산등성이에 위치한 등대로 소리도 등대를 경유하여 여수항과 광양항으로 들어가는 선박들의 항로표지가 되고 있다.
이 등대를 지나서면 바로 오동도 등대로 연결되어 여수항 방향으로 들어설 수 있으며, 계속해서 북쪽으로 항해하면 광양만으로 들어서는 위치에 있다.
지금의 등대는 과거 모습은 숙소 용도로 쓰던 건물과 등대 주변 돌담만이 과거 그대로이고 등대는 1985년에 새로 준공한 등대이며 주변은 거의 폐허 수준으로 민간인이 농장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44년 11월
주소 : 전남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산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