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첫 눈이 내리고 한 동안 눈을 보지 못한 체 겨울을 보내다 보면 눈이 와야 할 자리에 또 다른 겨울이 내려 앉는다.
서리, 얼음 그리고 동지를 기점으로 살얼음이 얼면서 생기는 얼음 모양이 용이 땅을 간 것 처럼 생겼다 하여 이 얼음을 용갈이라고 부른다.
얼음 모양만 가지고 다음해에 농사를 점칠 정도였으니 농경문화는 기후에 얼마나 민감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오늘은 사진으로 담아 그 모양과 색을 예술로 승화시켜 보았다.
[365일]
제주도는 섬 전체가 화산 활동으로 빚어진 하나의 작품이자 자연유산이다 보니 가는곳, 보이는 모든 곳이 자연의 보고가 된다.
특히 화산 지형은 세계 그 어디를 가도 빠지지 않을 멋진 풍경과 기암이 즐비하고 아름답기 그지 없어 여행객들에겐 언제나 그리운 섬이 되곤 한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유네스코가 인증한 자연 과학 분야에서 3관왕을 차지한 섬이기에 더욱 자랑스러우며 2002년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이어도로 36-24
[365일]
서귀포 해안가 서쪽 바다에 있는 범섬은 50~60년 전만 해도 사람이 살며 방목과 고구마 등 농사를 지었다고 한다.
고려 공민왕 때 최영 장군이 원나라의 잔류세력을 마지막으로 섬멸시킨 곳이기도 한 범섬의 해안 절벽에는 설문대할망이 한라산을 베개 삼아 누울 때 뻗은 두 발이 뚫어놓은 것이라고 전해오는 콧구멍 동굴이 있다. 섬 모양이 호랑이가 웅크리고 앉은 모습과 같다 하여 범섬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법환동
[365일]
그 누가
아름다운 노을 앞에서
매혹을 느끼지 않을 수 있을까
붉으면서도 아름답고
투명하고 연한 붉음이지만
그 붉음은
장미보다도 매혹적인지라
마음으로 훔치게 되는 것
그것이 노을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365일]
한동안 문화재 보호 측면에서 닫혀있다가 열린 섬이 상백도이지만 아직까지 입도는 절차가 까다롭고 쉽게 열리지 않은 단점이 있지만 아름다운 섬이다.
거문도에서도 뱃 길로 1시간 가량 유람선을 타고 순환 관광을 하고 있지만 반대쪽은 파고가 조금만 높아도 먼바다인 관계로 배가 운항하지 않아 좀처럼 쉽게 접할 수 없는 미지의 섬으로 남아 있다.
일년에 두달 정도에서도 주말을 이용한다면 7번의 기회정도 밖에 날씨가 허용되니 참으로 험란한 여행길이지만 한번 가고 나면 또다시 찾고 싶은 섬은 틀림없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365일]
팔금도에 위치한 고산선착장에서 고산리로 들어가는 길 왼쪽에 보이는 노둣길을 따라 썰물에 건널 수 있는 섬이 바로 무인도가 되어버린 거사도다.
팔금도까지 승용차가 갈 수 있으며 섬 전체를 해안을 따라 걸으면 1시간 가량 걸리지만 간조에는 물이 빠져 나가 4개의 섬을 모두 돌아 볼 수 있기에 간조를 이용하여 돌아볼만한 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거사도리
[365일]
어쩌면 흘러간 옛노래에서 나오는 홍도가 더 유명할 줄 모르나 홍도는 안가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 가고 또 가지 않은 사람은 없을 정도로 많은 이들을 부르는 아름다운 절경의 섬이다.
1구와 2구를 깃대봉을 사이에 두고 있으나 산악인이 아니면 대부분 유람선을 타고 2구에서 내려 등대를 본 다음 다시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홍도는 유람선을 타고 2시간 가량 순환 하다 보면 홍도의 둘레를 모두 볼 수 있는 곳인데 기암절벽이 여성적으로 부드러운 맛을 많이 느낄 수 있는 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1길 21-5
[365일]
전남 진도 쉬미항에서 철부선을 이용하여 50여분 정도 가다 봄 만나게 되는 가사도는 다도해 국립공원을 포함한 아름다운 섬이다.
이름부터가 종교적 색채가 깊어 살생을 멀리하는 까닭에 어선도 몇 척 없는 섬이며 바다 고기를 잡지 않으면 무얼 잡아요 물으면 바다에 먹을게 얼마나 많은데 하며 반문하는 순박한 사람들의 섬이다.
요즘에는 등대박물관 주관으로 등대 기행을 하는 매니아 층이 두터워져 더욱 알려지게 된 섬이 가사도이지만 워낙 멀어 좀처럼 가기는 힘든 섬이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365일]
임자도는 증도와 더불어 지도 해제를 거쳐 들어갈 수 있는 섬이었지만 지난 5월에 연륙교로 이어져 승용차로 들어갈 수 있는 육지가 된 섬이다.
예전에는 철부선을 이용하여 들어가야 했기에 날씨가 입도의 조건이었지만 이젠 날씨와 무관하게 임자도 전역을 들어갈 수 있는 섬같은 섬이 아닌 육지다.
대광 해수욕장에서 임자의 끝자락이라 할 수 있는 국가 어항인 전장포 등대까지 구석구석 볼 수 있긴 하지만 전장포 토굴은 데크 건설로 지금은 관람할 수없는 것이 아쉬운 점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임자면
[365일]
사구란 바람에 의해 모래가 이동하면서 쌓여 생긴 언덕을 말하는데, 사구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건조한 모래가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바람이 적당히 불어야 하며, 지표면에 식생이 없어야 한다.
사구는 반드시 모래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모래입자의 경우 빨리 고화되지 않고 바람의 영향을 받기에 적당한 입자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래가 많은 사막이나 넓은 바닷가에서 사구를 볼 수 있다.
넓은 지역은 아니지만 짧은 언덕을 만들어 연출해낸 작품에 한동안 바라보며 담은 작품이다.
[365일]
누구나
유종의미로 장식하는 순간을 꿈꿀 것이다.
좋은 결과를 거두기 위해선
정성을 다하는 시작의 순간이 있어야 하고,
마치 가을의 황금 벌판을 꿈꾸면
우직한 마음씨로 임하는 농부처럼
농부의 마음으로 시작해야 할 시기가 필요하고
이렇게
좋아 걷는 길에 두고온
세월 속에 마음을 거두어본다.
[365일]
섬은 언제나 고립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막상 입도하고 나면 고립이 아닌 최대한의 자유를 누리며 마음껏 날 수 있는 나만의 공간이 된다.
떠나오면 언제나 그립고 마음속에서 자라 가슴에 또 다른 섬 하나 키우며 살게 되는데 아마도 이런 서정이 섬이 주는 가장 큰 기쁨인 듯 하다.
비나 눈 그리고 바람이 친구되어 터벅터벅 또박이로 걷는 섬이긴 하지만 5시간의 썰물 시간에 다녀와야 모두 건널 수 있는데 가장 먼저 물이 드는 딴섬 12번 사도의 섬부터 시작하여 반대로 가는 방법도 좋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중도면 병풍리 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