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바닷가는 사계가 아름다운 해변이 많지만 유독 녹색의 향연을 보여주는 파래의 색은 언제나 눈을 시원하게 해주는 묘한 마력이 있다.
원시림의 느낌을 주는 녹색의 향연이 펼쳐지는 바닷가에서 겨울이라기 보다는 여름의 느낌을 받는 것은 나만의 착각일까.
조만간 다가올 봄의 소식을 바다에서 주는 시원한 느낌의 녹색의 향연을 카메라에 담아 보았는데, 눈처럼 가슴속에 아름다움을 줄 듯 하다.
고성의 어느 바닷가에서
[365일]
전북 부안군에 속한 토끼섬은 거륜도 등대가 서 있는 무인도서이며 경관이 아름다운 높은 절벽을 안고 있는 섬이다.
동서방향으로 길게 신장, 동쪽해안 일부와 서북쪽 해안은 파식대 발달. 서쪽부분은 수직절리의 발달로 해식애 존재. 동쪽해안은 응회암이 주를 이룬다.
섬의 위치는 작은 섬 3개가 각각 떨어져 있지만 등대가 있는 섬이 토끼섬에 해당하며 거륜도에서 어선을 이용하여 입도해야 한다.
주소 : 전북 부안군 위도면 거륜리 토끼섬
[365일]
소룡도는 첫 발을 내딛는 순간 아 하는 탄성과 함께 화성에 온 듯한 착각을 하게 되는데 이는 암석 구조가 중생대 백악기 유문암,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구성된 돔 형태의 완만한 순상지형의 섬이기 때문이다.
섬 주위는 폭 30m 크기의 해식대지와 거대 타포니, 해식노치가 발달. 마식작용에 의한 수십 ㎝ 직경의 구혈(marine pothole)이 존재하고 있다.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에 선정된 적이 있으나 아쉽게도 무인도서인 관계로 정기 여객선이 없는 것이 흠이 되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 산241
[365일]
전남 고흥에 있는 작은 섬 애도(艾島)는 지명에 쑥 애를 썼을 만큼 봄이면 쑥이 지천에 자라나는 곳이기에 애도 또는 쑥섬으로 부른다.
과거 신성한 신을 모시는 재단이 있어 개나 닭을 키우지 않아서 생선이 많은 섬인지라 고양이만 있는 묘한 쑥섬이기에 현지인들은 고양이섬이라고도 한다.
쑥섬은 고흥 선착장에서 10분이면 닿을 가까운 거리에 있기에 작은 유람선이 1시간에 한번씩 운항하기에 교통편에서는 좋은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애도
[365일]
영광 두우리 등대는 북쪽 끝의 해안가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등대가 자리한 지점의 바로 앞은 영광군 불갑천이 서해로 들어가는 강 어귀에 해당한다.
이쪽 수역은 만조시에는 등대 바로 앞에까지 바닷물이 들어차지만 간조시에는 불갑천의 수로를 제외하고 최대 2km이상 뻘이 펼쳐지는 곳에 해당 한다.
주차를 하고 바닷가를 걸어 들어가는데 간조에만 가능하고 착시로 바로 앞에 있는 것처럼 보이나 두번의 코너를 돌아서 도착해야 하고 갯바위가 위험하며 미끄러우니 걸으며 항상 주의해야 하는 곳이다.
주소 : 전남 영광군 염산면 두우리 산 3-1
[365일]
신안 하의면에 위치한 소룡도는 중생대 백악기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구성된 돔 형태의 완만한 순상지형(고도 약 17m). 섬 주위는 폭 30m 크기의 해식대지와 거대 타포니, 해식노치가 발달했다.
얼마전 해수부에서 지정한 무인도서에 선정될 만큼 경관이 뛰어나며 암석의 형태와 색이 영화 세트장마냥 화성과 닮아 있어 화성에 온듯한 착각에 빠질만한 무인도서이다. 아쉬운 점은 섬으로 들어갈 교통편이 없어 어선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 산241
[365일]
가거도는
바람과 돌은 물론 안개와 노을까지
자연이 모두가 하나가 되는 곳이다.
안개, 노을 그 속에서 모든 자연이 깃들고
돌아 다니며 보았던 모든 것들이 내 자신을 더욱 크게 만들어 주고, 모든 자연 문화를 두고 발길을 돌리는 마음이 가볍지는 않다.
미련이 남은게다.
마음속에는 아름다움이 자리하고,
가거도는 평생 안고 지낼 마음의 보석이 된 섬으로 남았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365일]
아직은 배로 가야하는 항로에 속해 있으며 치도 등대는 무인도서이기에 정기 여객선으로는 갈 수 없는 등대 중 하나이다. 목포, 제주를 오가는 길목에서 시하도를 지나가다가 만나는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서이며 수많은 어선과 여객선의 안전을 지키고 있다.
천사 대교를 지나 안좌도를 거쳐 자라도의 끝자락에서도 보이며 하의도나 장산도를 오가는 길목에서도 만날 수 있는 아름다운 등대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 앞바다
[365일]
고흥의 내나로도 동쪽 끝자락에 자리한 등대로 여수항과 나로도항을 오가는 연안여객선의 항로표지 역할을 하는 등대이다.
여수만의 협수로를 빠져나와 넓은 수로로 나오는 지점부터 이 등대의 불빛을 볼 수 있고, 이 방향으로 항해를 하면 내나로도와 외나로도 사이의 해협을 방향으로 진입후 나로도항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현주민들은 이 등대를 봉남등대라고도 부르고 있으며 국립해양조사원의 표기는 나로도 등대로 된다.
최초 점등일 : 1962년 3월 22일
주소 : 전남 고흥군 동일면 봉영리 산 150
[365일]
전남 고흥에 있는 230여 개의 섬 중에 쑥섬이라고 불리는 애도가 특별한 이유는 400년 만에 개방된 원시림이 있어서이다.
섬 전체를 둘러보아도 1시간 30분 정도면 충분한 작은 섬이며 육지에서 입도도 5분도 안걸리는 가까운 곳에 있기에 힐링에 제격이다. 선착장에서 내려 우측으로 걸어서 20분이면 닿는 곳이 애도 등대이며 등대위에서 바라다 보이는 바다 전망은 일품에 속한다.
최초 점등일 : 2007년 11월 13일
주소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365일]
해수부에서는 매월 이달의 등대를 뽑아 등대 여행에 길잡이를 하고 있다. 참 좋은 아이디어로 내놓은 멋진 소개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세월이 3년 정도 흐르니 갔던 곳 또 가게 하고, 지정한 곳 한 번 더, 여기다가 각종 이벤트로 또 가게 하여 답습하는 면은 효율성이 떨어지기에 아쉬움이 크다.
조금만 고개를 돌리면 아름다운 자연 환경에 아름다운 사연을 지닌 등대를 얼마든지 찾을 수 있음에도 시즌 3에서도 또다시 중복이 형태를 보이기에 아쉬움이 크다.
최초 점등일 : 1993년 3월 1일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하예동
[365일]
겨울의 대명사는 역시 눈이지만 눈이 오지 않는 도시에는 그나마 서리라도 내려 하얀색을 보여주곤 하는데 물가에는 상고대로 바뀌어 갸냘픈 예쁨이 많이 부족하다.
서리를 찾아 서산, 보령, 완주,고흥을 찾아 보지만 바람이 많은 곳은 서리가 내릴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기에 주로 내륙을 찾아가곤 한다.
바다 근처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서리를 담아 하나하나 담아 보는데 하얀색 색이 내려앉은 모습이 아름답기 그지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