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무인도서]
신안군 도초도 부속섬인 소태도의 구성 암석은 중생대 백악기의 유문암과 규장암으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띄고 있다.
서쪽 해안은 급경사의 해식애가 발달되었고 해식애에 노출된 불꽃 모양의 규장암 관입 구조가 가장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지금은 소태도 역시 절대보전 지역으로 입도 자체가 허가를 받아야 들어갈 수 있으며 입도하기 위해서는 어선을 이용해야 하기에 천혜의 섬으로 남아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내월리 산277
[이달의 무인도서]
진도 매도는 멀리서 보면 섬 전체가 날렵한 부리를 가진 매와 비슷한 모양이라 하여 이름 지어졌으며,해식절벽과 동굴, 절리 등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어느 방향에서는 매처럼 보이다가 다른 방향에서 보면 거북이의 형상으로 보이는 등 각도에 따라 다른 거북이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신기한 섬이다.
전설에 따르면 본래 천상에 살던 큰 매 한 마리가 옥황상제의 꾸중을 듣고 땅으로 내려와 돌로 변하여 매도가 되었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의신면 구자도리
[이달의 무인도서]
신안 홍도 외도는 북쪽 바다에 크고 작은 바위섬들이 여럿이 모여 여틀바다라고 불리는 섬들 중에서 짓사각 형태이며 중앙에 구멍이 뚫린 바위섬이다.
이 무인도서는 그리 높지 않은 고도이며 서대문구에 있는 독립문과 비슷하며 군산 방축도 독립문 바위보다는 그 크기와 높이가 높다.
독립문 바위 모양은 파랑이 집중된 곳이 침식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홍도의 부속 섬이며 유람선을 타고 관광할 시 마지막 코스에 해당하는 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이달의 무인도서]
소등섬은 전체가 하나의 큰바위로 이루어져 있어 예전부터 득량만을 넘나드는 거친 파도로부터 마을을 지켜주는 천연 방파제 역할을 해왔다고 한다.
현재는 섬 우측으로 길게 이어진 방파제와 더불어 가 포구 역할까지 하고 있지만 만조에는 들어가지 못하는 아쉬움도 있는 섬이다.
이름을 보면 호롱에서 발하는 작은 불빛을 의미하며, 마을 주민들은 먼 바다에 고기잡이를 나간 가족들을 위해 호롱불을 켜놓고 무사귀환을 빌었다고 해서 소동도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주소 : 전남 장흥군 용산면 소등섬
[이달의 무인도서]
충남 태안 옹도 등대는 일제강점기인 1907년 1월에 불을 밝힌 후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태안반도 안흥신항(신진도)에서 약 12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옹도는 그 모양이 마치 옹기와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섬 한가운데 정상에 등대가 있어 등대섬이라고 불린다.
등탑은 높이가 14m이며 8각형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져 있으며, 등대의 불빛은 35~40km 거리에서도 육안 식별이 가능하다.
주소 : 충남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길 44-69
[이달의 무인도서]
거문도에서 뱃길로 1시간 가량 더 들어가야 하는 먼바다에 속한 상백도와 하백도는 전체 39개 섬이 군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모두 절대 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 중에 있다.
워낙 먼바다에 해당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 날씨가 허락해야만 주변을 돌아볼 수 있고, 입도는 별도 허가를 득해야 할 수 있는 섬이다.
하백도는 풍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형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데, 풍화 지형 중 섬 정상부가 둥글어 보기가 좋고 면적이 비교적 넓은 구릉형 지형이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산30번지
[이달의 무인도서]
제주도에 딸린 무인도 가운데 가장 큰 섬으로 주변 3개의 합해져서 차귀도라 불리우고 고산리에서 2Km 떨어진 자구내 마을에서 배를 타고 입도한다.
차귀도는 몇해전까지 여행객이 입도하지 못했던 무인도서였지만 지금은 개방되어 유람선을 통하여 들어갈 수 있는 아름다운 섬이다.
죽도·지실이섬·와도의 세 섬과 작은 부속섬을 거느리고 있으며, 깎아지른 듯한 해안절벽과 기암괴석이 절경을 이루고 섬 중앙은 평지이다.
주소 : 제주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이달의 무인도서]
독도는 다른 역사등대가 있는 섬과는 달리 우리 영해에 해당하는 곳인지라 언제나 일본의 억지 주장에 외교분쟁이 있는 섬이기에 더욱 애착이 가는 섬이다.
동해의 끝자락에서 우리의 영토를 보호하고 있다는 상징적 의미가 큰 섬이다.
1953년 일본 선박이 독도 수역을 침범하고, 일본 관리들이 독도에 상륙하는 일이 발생하자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천명하기 위하여 1954년 독도등대를 설치하게 되었다.
최초 점등일은 1954년 8월 10일이며, 무인 등대로 운영되다가 1998년 12월 10일 유인 등대로 전환하여 포항 지방 해양항만청이 관리하고 있다.
주소 :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63
[이달의 무인도서]
해양수산부는 4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제주도에 위치한 쇠머리섬을 선정하면서 추자도에 속한 무인돗는 2개의 섬이 되었다.
쇠머리섬은 횡간도와 추자도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생김새가 소의 머리를 닮았다 해서 쇠머리섬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쇠머리섬은 새벽을 여는 섬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일출 광경이 마치 소의 머리 위로 해가 뜨는 것과 같은 풍경을 연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섬 동쪽 해안 수직해벽에는 주상절리와 비슷한 수직절리가 발달되어 있어 장관을 이룬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이달의 무인도서]
부산 나무섬은 목도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현지인들은 나무섬을 통칭으로 사용하고 있는 아름다운 부산의 섬이다.
면적은 작은 섬에 준하지만 해발 최고높이는 61m의 정상에는 등대가 있으며 다대포항에서 남쪽으로 약 4.8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나무섬에는 황조롱이, 새매와 같은 천연기념물이 발견되면서 철새 이동의 중요 중계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발을 반대하는 환경단체가 많음이 대립되고 있는 섬이다.
주소 : 부산시 사하구 다대동 산 148
[이달의 무인도서]
9월 무인도서로 해남군 울돌목에 위치한 녹도를 선정하면서 더욱 알려지게 된 섬이지만 임진왜란 당시 명량대첩의 자리로 더욱 유명한 섬이다.
녹도는 과거 사슴을 길러서 녹도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며 지역 주민들은 보통 한자를 풀어서 사슴섬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녹도는 주소지는 해남이지만 진도 벽파항에서 오히려 더 가까우며 면적이 크지 않고 위에서 보면 납작한 종 모양의 섬이다. 지금은 사람이 모두 떠난 무인도서가 되었다.
주소 : 전남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산 71-1
[이달의 무인도서]
태안의 나치도는 본래 이름보다도 할매, 할아비 바위로 더욱 유명하며 국내 3대 노을명소로 알려져 있고 지금은 명승지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전쟁에 참가한 남편을 오매불망 기다렸지만 돌아오지 않아 부인은 숨을 거두고 그 자리에 망부석이 되어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고 한다.
전국에 망부석 설화가 넘쳐 나긴 하지만 아름다운 노을속으로 빠져드는 나치도를 보고 있노라면 전설 속에 부인도 노을속으로 녹아들었을 것만 같은 섬이다.
주소 : 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산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