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분단의 현실을 상징하는 백령도 등대는 등대 불빛이 간첩의 해상 침투를 쉽게 할 수 있다는 당시 정부의 지적에 따라 1974년 5월 8일에 소등되었다.
이후 1987년 폐지가 되어 연평도 등대와 더불어 새로 짓기로 했지만, 업체를 찾지 못해 무산되었으며 분단의 현실을 상징하는 듯 낡아서 등대 자체가 무너져가고 있는 실정이며 주탑으로 올라갈수록 훼손이 심하여 무너져감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최초 점등일 : 1963년 10월 28일
최초 소등일 : 1974년 05월 08일
등대 폐지일 : 1987년 04월 20일
주소 :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 백령리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항 연안 부두에서 보이는 북방파제 등대는 육지에서 들어가는 입구가 없으며 가까이 보기 위해서는 팔미도 유람선을 타고 진출입시에 보아야한다.
많은 백색 등대가 있는 항구는 대부분이 마주보는 적색 등대가 있기 마련인데 그곳이 바로 역무선 방파제 등대이니 역무선서 보이는 백색등대가 이 등대이다.
등대가 있는 곳은 사람이 머물 수 있는 방파제 공간이 없으며 바로 바다에 닿는 위치에 있어 등표처럼 만조에는 아랫부분이 잠기기도 하는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76년 12월 22일
주소 : 인천시 중구 북성동 해안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우리나라가 경제 위기에 빠진 시기에 구민들에게 힘찬 기운을 준 인천항 역무선 방파제 등대는 빨간색의 기운만으로도 위로를 준 등대이다.
맨 처음 5월의 등대가 발표될 시기에는 매일 개방으로 소개되었지만 현장 방문을 했을 때 휴일과 국경일은 미개방으로 되어 있었다.
이후 민원이 워낙 많아져 매일 9시부터 저녁 7시까지출입구 문을 열어주어 그나마 다행이지만 현장과 업무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은채 소개된 점은 아쉬운 점이었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2월 20일
주소 : 인천시 중구 항동7가 82-11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월미도 등대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진 갑문 방파제 등대는 들어가는 길에 조명과 포토존이 설치되어 많은 여행객을 불러 모으고 있는 핫플 장소이다.
인천 중구 월미도 등대의 길 주변 야경이 바뀌면서 젊은층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고 인근 놀이 동산을 찾은 젊은층이 주로 들리는 멋진 등대이다.
설치년도가 77년이라 역사 등대는 아니지만 주등으로 올라는 모양이 역등처럼 생겨 빈티지적인 이색 등대로 손색이 없는 방파제 등대이지만 지금은 박물관공사로 2년간 출입을 할 수 없다.
최초 점등일 : 1977년 11월 17일
주소 : 인천시 중구 북성동1가 120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연평도 등대는 대연평도의 남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선들의 뱃길을 인도하는 길잡이 역할을 하다가 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등대 기능을 상실했다.
그러다가 다시 연평도 등대가 45년 만에 2019년 5월 17일에 등대 점등식을 개최하였고, 북쪽은 가리고 남쪽을 향해서 점등이 되었으니 반쪽자리 점등이다.
최북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에 연평도 등대의 역할은 어쩌면 통일의 빛으로 점등할 날이 우리 생애에는 오지 않을까 한다.
최초 점등일 : 1960년 3월 23일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연평면 연평로 682번길 83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 옹진군의 북장자서 등표는 1903년 6월에 불을 밝힌 후 오늘에 이르고 있는 역사 등대로 현존하는 등표이며 굳건한 역사를 안고 있다.
옹진군 앞바다에 줄지어 있는 부도등대, 백암등표와 더불어 역사를 안고 있는 등표이지만 여객선의 노선이 없어 일반인은 접근하기 어렵다.
팔미도에서 시작하여 선미도까지 인천 옹진군의 바닷길에서 역사를 지닌체 묵묵히 불을 밝히는 등표 역시 아름답기 그지없다.
최초 점등일 : 1903년 6월 1일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연흥면 외리 해상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우리나라에서는 고대부터 밤에는 산이나 섬에서 횃불(도대불)을 밝혀 뱃길을 인도하였고, 암초나 수심이 얕은곳에 나무를 꽂아 항로표지로 이용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시설의 등대는 1903년 6월 1일 처음 불을 밝힌 인천항 입구의 팔미도 등대, 소월미도 등대와 북장자서 등표, 백암 등표이다.
백암등표는 초록색의 기둥으로 여위에 세워져 있으며 다른 등대에서는 느낄 수 없는 아름다운 모습과 역사미를 동시에 지닌 소중한 등대 자산이다.
최초 점등일 : 1903년 6월 1일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영흥면 외리 해상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묵통도 등대는 특정도서로 지정된 섬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팔미도에서 서쪽 약 22km지점에 있는 묵통도(뭉퉁도라고도 함)에 있다.
묵통도 등대는 인천항과 제주항을 오가는 여객선들이 이용하는 항로표지에 해당하며 자월도 북서쪽에 거의 붙어있는 묵통도라는 바위섬에 자리하고 있다.
백색 원통형의 콘크리트로 건설된 등대이며 해당 항로상의 다른 등대인 팔미도 등대와 동백도 등대를 서로 연결하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63년 11월 16일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자월면 자월리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옹진군 동백도 정상에 있던 기존 등대는 1964년 축조돼 노후화와 기존 높이가 8.2m에 불과해 주변 수목에 가리는 등 등대의 기능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를 헐고 2008년에 새로 증축한 등대가 지금의 무인 등대인데 인근 소야도 등대와 함께 해상의 암초 위치 및 안전 항로를 나타낸다.
동백도 섬 역시 바다 한가운데 동백꽃이 피어난 형상으로 준보전도서에 해당하며 전체 면적이 작아 등대외에는 들어서기 힘든 작은 섬이다.
최초 점등일 : 1964년 12월 20일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리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옹진군의 부도는 인천항 관문에 위치하고 있어 1904년 다른 지역보다 먼저 이곳 부도에 등대가 설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 역사 등대이다.
그 위치의 중요성에 걸맞게 항로표지의 주요기능인 광파, 전파, 음파표지를 모두 갖추고 있으며, 등대의 등탑에는 오얏꽃 문양과 게 모양의 문양이 있다.
둥그런 원의 등대로 입구는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형태로 남아 있으며 오얏꽃 문양 아래 게의 문양이 새겨져 있어 한참을 바라보게 한다.
최초 점등일 : 1904년 4월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영흥면 외 산263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목덕도 등대는 인천 지방 해양 수산청 관할의 등대들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무인등대로 이 등대의 동편 해역은 인천항과 충남 경기도의 항구로 연결된다.
목덕도 주변에는 가덕도와 대령도, 소령도와 같은 바위섬들과 암초들이 분포해 있기 때문에 이들 위험요소에 대한 항로 표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등대 섬 주변을 담은 일본 성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그 위용과 모양이 아름다우며 일제강점기에 불을 밝힌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09년 12월
주소 : 인천시 옹진군 덕적면 백아리
[인천 지방 해양수산청]
인천 중구에 위치한 팔미도는 사주에 의하여 연결된 두개의 섬이 마치 여덟팔자처럼 양쪽으로 뻗어 내린 꼬리와 같아 팔미도라 불려졌다고 한다.
인천 사람들에게는 팔미귀선 즉 낙조에 팔미도를 돌아드는 범선의 자취가 아름다워 인천 팔경의 하나로 꼽혔던 해상 경승지였다.
일본과 우리정부가 체결한 통상장정에 따라 조선왕조는 1903년 6월 높이 7.9m, 지름 2m의 팔미도(구)등탑을 만들었다.
주소 : 인천 중구 무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