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방 해양수산청]
부산 서도는 일명 쥐 형상을 하고 있어 어민들은 모두 쥐 섬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한 때는 경작의 형태도 있었던 것으로 보아 유인 도서였지만 지금은 사람이 모두 떠나 무인 도서로 바뀐 섬이다.
산 정상에는 삼각형 형태의 등대가 서 있으며 섬 외곽은 수직 단층과 다양한 규모의 해식동, 몽돌 해변, 파식대가 발단한 지형이며 타포니 구조가 눈에 띈다.
천연 기념물인 매와 갈매기가 서식하고 있지만 지금은 이용 가능한 섬으로 입도를 할 수 있지만 등대까지 오르는 길은 거의 사라져서 접근이 쉽지 않으며 작은 바위섬이 외곽이 삼각형으로 솟아 있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부산시 사하구 다대동 산146번지
[부산 지방 해양수산청]
북형제도는 다대포에서 40여분 먼바다 방향으로 나가다 보면 암초 형태의 군락을 만나게 되는데 아래쪽인 남형제도와 수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다.
남형제도 등표는 등표이지만 등대급 크기를 갖추고 있고 그 보다 높은 바위섬에 위치한 북형제도 등대는 등대창이 4개로 이루어진 역사 등대급 모양을 하고 있으며 과거에 초소로 사용되던 건물이 등대 입구 계단 옆에 남아 있다.
부산 방향으로 입출항 하는 어선과 수출입 선의 안전을 위해 점등하고 있으며 암초가 군락으로 이루어진 지역으로부터 안전을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부산 사하구 다대동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제주 운진항은 최남단 섬인 마라도와 청보리 축제로 유명한 가파도로 가는 여객선이 입출항을 하는 항구이다 보니 평소에도 선박의 운항이 많은 곳이다.
운진항에서 출발한 여객선은 10분이면 가파도, 25분이면 마라도에 도착하는 항구이기에 최단 거리에 속하는 항구이고 크기는 작으나, 매년 6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섬을 방문하기 위해 이곳 운진항을 찾는다.
평소에도 관광객으로 활기찬 항구지만, 특히 가파도 청보리 축제가 열리는 봄이면 배편이 자주 매진될 정도로 입출항이 많아 등대의 역할이 큰 항구이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최남단해안로 120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제주 이호 현사항은 현사 마을은 바닷가에 모래가 검기 때문에 속칭 검은모살 혹은 덕지동이라고도 불리는데 현사 마을 역시 본동과 같이 천재지변으로 하룻밤 사이에 마을이 매몰 된적도 있다고 한다.
현사항 방파제 등대는 등주 형태로 되어 있는 등대이지만 현사항을 입출항 하는 어선들의 길잡이가 되고 안전한 항로를 유도하고 있는 등대이다.
이 동네는 한편 논이 있기 때문에 덕지답 혹은 당이 있기 때문에 남당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등대가 있는 방파제 입구에는 어부들의 만선과 무사귀환을 바라는 제단이 있어 어민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제주 제주시 이호1동 현사항
[대산 지방 해양수산청]
2013년에 세워진 방포항 방파제 등대는 5초 간격으로 불빛을 깜빡이며 서해안과 방포항을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등대 등탑에 그려진 벽화는 인근 할미‧할아비 바위에 전해져 내려오는 금슬 좋은 노부부의 전설을 형상화 하여 벽화로 그린 그림이다. 이 한 쌍의 바위는 만조, 간조에 따라 바다 위 섬이 되기도 하는 나치도에 해당한다.
나치도는 간조에 육지와 연결되기도 하면서 다양한 경관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바위 뒤로 펼쳐지는 일몰이 뛰어나 명승 제69호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충남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 1317-15
[대산 지방 해양수산청]
마도 등대는 인근 신진항 개발로 여러 개의 등대가 신축 되면서 다소 역할이 떨어진 듯 보이고 마도 역시 연륙교 개통으로 육지가 된 이후에 주변이 변화하여 조금은 변화된 섬이 되었다.
그렇지만 높은 위치에서 인천으로 올라가는 선박에게는 육지에서 보이는 등대이기에 중요한 위치에 있긴 하지만 국가 시설이 있어 육로로는 일반인이 접근하기 힘들며 바다에서만 볼 수 있는 등대이다.
등대 역시 등주는 없고 나무가 많이 자라 윗부분만 보여 등대를 바라 보는데 조금은 불편할 수 있지만 한밤 중 항해하는 선박에게는 항로 표지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충남 태안군 근흥면 신진도리 산2-9
[대산 지방 해양수산청]
흑도 등대는 우리나라 섬에 있는 3개의 철탑 등대 중 하나이며 서해에는 유일한 철탑으로 된 등대를 사용하고 있는 등대이다.
가까운 곳에 역사 등대인 옹도 등대와 오륙도 등대를 닮은 안도 등대 그리고 궁시도 등대가 인근에 설치되어 있는 서해 먼바다와 인천으로 오가는 항로를 지키고 있는 등대라고 할 수 있다.
물살이 거세고 주변 암초 군락이 많아서 항상 주의해야 하는 수로인데다가 간조에 수심이 낮아져 선박이 간혹 바닥에 걸리는 경우가 있어 언제나 주의를 요하는 수로에서 묵묵히 등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충남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산51
[평택 지방 해양수산청]
한진 포구는 선착장이라기 보다는 어선들이 주로 입출입을 하는 아주 작은 항구이며 선착장 앞은 수심이 낮고 암초가 있어 등부표와 등주가 선착장 앞에 설치되어 있는 특이한 구조의 선착장이다.
근래에는 주변 둘레길에 데크길과 전망대가 설치되어 주말이면 전망대에서 노을을 보는 여행객들로 붐비는 장소로 탈바꿈하고 있다.
삼국 시대에는 당나라와 해상 무역을 한 항구였을 정도로 화려한 과거의 명성을 지니고 있는 포구이고 인근 해역에서 송대의 도자기가 발견되기도 한 수로에 해당하며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인천을 오가는 여객선이 다녔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충남 당진시 송악읍 한진리
[평택 지방 해양수산청]
볼라드의 원래 의미는 부두에 배를 밧줄로 묶어두기 위해 설치한 말뚝으로, 주재료는 나무, 철, 돌 등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안섬 포구 방파제 등대는 일부 방파제 등대와 달리 디자인 등대의 형태로 한적한 항구에 어울리는 모습으로 세워져 있어 많은 여행객이 찾아 오는 노을 등대 중 하나가 되고 있다.
볼라드에 수직으로 막대를 붙여 놓은 경우도 있는데, 이는 밧줄을 8자 형태로 묶어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 만들어져 있으며 안섬 포구에는 아직도 볼라드가 시멘트로 만들어져 곳곳에 세워져 있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충남 당진시 송악읍 고대리 166-49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감포항 북방파제 등대는 경주 항구 중에 가장 큰 어항인 감포항의 방파제 끝 단에 설치되어 있는 등대로 신라시대 호국 사찰인 감은사지의 삼층석탑을 형상화한 등대와 마주 보고 있는 등대이다.
등대는 내측 안 쪽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야간에는 경관 조명이 등탑을 비추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등대 중에 하나이다.
특히 에밀레 종을 형상화한 등대와 마주 보고 있어 항구 안쪽으로 입출항하는 선박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항구 안쪽 수심이 낮은 쪽과 암초로부터 선박을 유도하고 있는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감포리 504-50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경주 척사항 방파제에는 유명한 성덕대왕의 신종 에밀레 종 모양을 한 방파제 등대가 있는데 등대 안에 들어 있는 종에는 유명한 문양까지 새겨져 있어 설치시 많은 노력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의 흔적에 보답하는 양 등대 매니아 사이들에선 입소문으로 퍼져 경주를 가게 되면 반드시 들리는 항구로 자리 잡으면서 더욱 알려지게 되었고 얼마전 리모델링 하여 재탄생하였다.
항구를 드나드는 어선의 보호를 위해 세워진 등대이긴 하지만 나아가서는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등대가 지켜주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최초 점등일 :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척사길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경주 송대말 등대를 가게 되면 등대 리모델링으로 내부를 볼 수 없지만 완공 이후로는 전시관이 들어서 등대를 찾는 분들에게 볼거리를 줄 듯 하다.
기와로 된 등대를 보고 바다쪽으로 내려가면 나무 데크와 함께 홀로 바람과 싸우며 바다를 지키는 등대를 하나 더 만나게 된다.
이 등대는 바다에 직접 빛을 보내 육지임을 알리고 항해하는 선박에게 희망을 빛을 주는 등대로 홀로 서 있지만 큰 힘을 느낄 수 있는 등대이며 실내는 일반인에게 공개하면서 전시실로 탈바꿈하였다.
최초 점등일 : 1955년 6월 30일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척사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