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도서]
상마도는 상,중,하도의 3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공에서 보면 테트리스 게임 형태로 조각을 맞추는 듯한 형태의 모습을 띄고 있다.
상마도는 상마군도 중에서 가장 위쪽에 있는 섬으로, 섬의 형태가 말과 같다 하여 상마도라 불려왔고 현재는 해남의 유인도서 10개의 섬 중 하나이다.
상마도의 특이한 점은 물이 빠지는 간조에는 하루에 두 차례 두 섬이 연결된다는 것인데 시간 때가 맞으면 경이로운 체험을 하게 되는 섬이다.
주소 : 전남 해남군 화산면 삼마리
[한국의 등대문화유산]
1907년 12월에 무인등대로 처음 불을 밝힌 가거도 등대는 주변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이 늘어나면서 1935년 9월 등대원이 상주하는 유인등대가 되었다.
가거도 등대는 매일 밤 15초에 한 번씩 50km 떨어진 바다까지 불빛을 비추며 동중국해와 서해 사이를 드나드는 선박의 뱃길을 안내하고 있다.
100여 년의 역사와 독특한 건축양식을 지녀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역사 등대로써의 가치가 매우 큰 등대이며 선착장까지 안내하며 가거도 이야기를 들려주신 노등대장님께 감사드립니다.
최초 점등일 : 1907년 12월 1일 제 5 호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한국의 등대문화유산]
홍도등대는 목포항과 서해안의 남북항로를 이용하는 선박들의 뱃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이며, 일제강점기 1931년 설치되었다.
대륙 진출을 꿈꾸는 일본이 침략전쟁에 참여하는
자국 함대의 안전항해를 위해서였으며, 약 45km의 먼 곳에 있는 선박에까지 불빛을 전달한다.
등탑의 높이는 10m로 높지는 않으나 보통 원형으로 만들어진 다른 등대와 달리 사각형 콘크리트구조로 내부에는 등탑으로 올라가는 주물 사다리가 원형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
최초 점등일 : 1906년 3월 10일 제 3 호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2길 5
[우리나라 영해 표지]
홍도에 우리나라 영해 표지가 있음을 알고 있는 국민들은 얼마나 될까? 라는 물음을 던지면 영해 표지 조차 무엇인지를 모르는 분들이 더 많을 듯 하다.
어쩌면 흘러간 옛노래에서 나오는 홍도가 더 유명할 줄 모르나 홍도는 안가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 가고 또 가지 않은 사람은 없을 정도로 많은 이들을 부르는 아름다운 절경의 섬이다.
1구에서 2구를 가는 길목에 숨어있는 영해표지는 관심있는 사람이 아니면 보고도 무엇인지를 모를 표지가 영해표지이기에 아쉬움이 클 뿐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 해상
[우리나라 영해 표지]
홍도 고서는 우리나라 23개 영해기점 무인도서 중 하나로, 고서에서부터 12해리(약 22.2㎞)까지의 바다가 우리나라 영해에 속하기에 중요한 위치의 섬이다.
고서는 작은 바위섬 하나로 이루어져 입도하지 못하는 절대보존 지역이고 다양한 해양 생태 자원이 관찰되고 있으며 해식애가 발달된 섬이다.
거센 파도가 지나간 자리에는 층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독립문 바위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 유람선에서는 주전자 바위 정도밖에 보이지 않으며 수직에 가까운 해식애는 아름답기 그지없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무인도서]
홍도 고서는 우리나라 23개 영해기점 무인도서 중 하나로, 고서에서부터 12해리(약 22.2㎞)까지의 바다가 우리나라 영해에 속하기에 중요한 위치의 섬이다.
고서는 작은 바위섬 하나로 이루어져 입도하지 못하는 절대보존 지역이고 다양한 해양생태 자원을 관찰되고 있으며 해식애가 발달된 섬이다.
거센 파도가 지나간 자리에는 층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독립문 바위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 유람선에서는 주전자 바위 정도밖에 보이지 않으며 수직에 가까운 해식애는 아름답기 그지없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홍도 고서는 우리나라 23개 영해기점 무인도서 중 하나로, 고서에서부터 12해리(약 22.2㎞)까지의 바다가 우리나라 영해에 속하기에 중요한 위치의 섬이다.
고서는 작은 바위섬 하나로 이루어져 입도하지 못하는 절대보존 지역이고 다양한 해양생태 자원을 관찰되고 있으며 해식애가 발달된 섬이다.
거센 파도가 지나간 자리에는 층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독립문 바위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 유람선에서는 주전자 바위 정도밖에 보이지 않으며 수직에 가까운 해식애는 아름답기 그지없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우리나라 영해 표지]
소국흘도는 신안군 가거도리에 속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안군에서 가장 먼바다에 위치하고 있는 영해표지가 있는 섬이다.
낚시꾼들에게는 생소한 이름은 아니지만 일반인에게는 워낙 먼바다에 있는 섬이어서 생소할 수밖에 없지만 우리 영해로서는 중요한 섬에 해당한다.
작은 여 여러개와 더불어 있는 바위섬에 불과하지만 소국흘도가 지니는 영해로서의 역사적 의의로서는 없어서는 안될 우리의 소중한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소국흘도는 신안군 가거도리에 속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안군에서 가장 먼바다에 위치하고 있는 영해표지가 있는 섬이다.
낚시꾼들에게는 생소한 이름은 아니지만 일반인에게는 워낙 먼바다에 있는 섬이어서 생소할 수밖에 없지만 우리 영해로서는 중요한 섬에 해당한다.
작은 여 여러개와 더불어 있는 바위섬에 불과하지만 소국흘도가 지니는 영해로서의 역사적 의의로서는 없어서는 안될 우리의 소중한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무인도서]
소국흘도는 신안군 가거도리에 속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안군에서 가장 먼바다에 위치하고 있는 영해표지가 있는 섬이다.
낚시꾼들에게는 생소한 이름은 아니지만 일반인에게는 워낙 먼바다에 있는 섬이어서 생소할 수밖에 없지만 우리 영해로서는 중요한 섬에 해당한다.
작은 여 여러개와 더불어 있는 바위섬에 불과하지만 소국흘도가 지니는 영해로서의 역사적 의의로서는 없어서는 안될 우리의 소중한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무인도서]
대국흘도는 신안군 가거도리에 속하는 우리나라 최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안군에서 가장 먼바다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다.
얼마전 생태 조사에서 대국흘도 동사면에서 한라산 정상에만 자생하는 돌매화 나무 군락지를 발견하여 학계에 보고 되기도 했다.
또한 바로 옆 소국흘도에는 가거도 영해표지와 직선거리에 있는 소국흘도가 있으며 대국흘도를 중심으로 3개의 무인도서로 이루어져 있는 섬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유인도서]
가거도는 우리나라 최서남단에 위치해 국토 끝단을 지키는 영토이자 아름다운 자연경관 속에 녹아든 자연환경 자체가 보물인 섬으로 남아 있다.
6.25때도 주민들이 전쟁 사실을 몰랐을 정도로 외지에 있는 외딴섬이기에 지금도 생태환경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산거머리가 서식할 정도인 섬이다.
가거도에는 등대와 더불어 옛날 생활양식을 엿볼 수 있는 신석기 유적지와 구굴도와 함께 자연경관과 해넘이가 아름다운 명승 섬등반도가 있다. 해안절경 등은 태고의 신비감을 안겨준다.
최초 점등일 : 1907년 12월 1일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