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완도군과 북제주군 간에 영해 다툼을 벌이다가 2005년에야 비로소 해결된 섬이 사수도인데 지역간의 바다의 경계에 있는 섬을 26년간이나 분쟁을 벌였다.
제주항에서 1시간 30분 가량 가면 만나게 되는 사수도는 먼바다에 해당하고 날씨가 받쳐주지 않으면 다가가기가 어려운 등대 중 하나이다.
사수도는 절대보존 지역이기에 사전에 관련시와 해당 문화재청에 허가를 득해서 사진촬영 등을 해야하는 제약이 많아 접근이 쉽지 않다.
최초 점등일 : 1989년 10년 26일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산121
[우리나라 영해 표지]
완도군과 북제주군 간에 영해 다툼을 벌이다가 2005년에야 비로소 해결된 섬이 사수도인데 지역간의 바다의 경계에 있는 섬을 26년간이나 분쟁을 벌였다.
북제주군에서는 사수도라 부르고 완도군은 장수도라 부르면서 서로 관리권을 주장하면서 시작된 영해 분쟁은 26년만에 제주도 영해로 해결되었다.
사수도는 제주도와 추자도 사이에 우리나라의 영해임을 표시한 영해표지가 있으며 현재 절대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어 있는 섬이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무인도서]
완도군과 북제주군 간에 영해 다툼을 벌이다가 2005년에야 비로소 해결된 섬이 사수도인데 지역간의 바다의 경계에 있는 섬을 26년간이나 분쟁을 벌였다.
북제주군에서는 사수도라 부르고 완도군은 장수도라 부르면서 서로 관리권을 주장하면서 시작된 영해 분쟁은 26년만에 제주도 영해로 해결되었다.
사수도는 현재 절대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어 있으며 주변은 천연기념물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해수부 지정 이달의 무인도서]
완도군과 북제주군 간에 영해 다툼을 벌이다가 2005년에야 비로소 해결된 섬이 사수도인데 지역간의 바다의 경계에 있는 섬을 26년간이나 분쟁을 벌였다.
북제주군에서는 사수도라 부르고 완도군은 장수도라 부르면서 서로 관리권을 주장하면서 시작된 영해 분쟁은 26년만에 제주도 영해로 해결되었다.
사수도는 현재 절대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어 있으며 주변은 천연기념물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추자도의 방서섬은 작은 바위로 이루어진 섬인데 이섬은 대부분이 바다에 잠겨 있고, 상부의 일부만 해면 위에 노출됐다.
해초가 자라지 않아 비어 있는 섬이라고도 하며, 해수의 영향으로 육상식물은 생육할 수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섬 형상이 모가 나 있어서 모여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방서(方嶼)로 표기한다.
바위섬 위에 무인등대가 있고 서쪽 해역은 수심이 매우 얕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대형선박이 잘못 들어왔다가는 좌초될 위험성이 존재하는 곳이다.
최초 점등일 : 1984년 9월 19일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모여)
[무인도서]
추자도의 방서섬은 작은 바위로 이루어진 섬인데 이섬은 대부분이 바다에 잠겨 있고, 상부의 일부만 해면 위에 노출됐다.
해초가 자라지 않아 비어 있는 섬이라고도 하며, 해수의 영향으로 육상식물은 생육할 수 없는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섬 형상이 모가 나 있어서 모여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방서(方嶼)로 표기한다.
바위섬 위에 무인등대가 있고 서쪽 해역은 수심이 매우 얕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대형선박이 잘못 들어왔다가는 좌초될 위험성이 존재하는 곳이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모여)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방두포등대는 제주도 동쪽 끝에 있는 바람의 언덕 위에서 4초에 한 번씩 불빛을 깜빡이며 제주 동쪽바다의 뱃길을 비춰준다.
방두포등대는 붉은 화산송이로 덮여 붉은오름이라고 불리는 기생화산의 봉우리에 자리잡고 있어 먼 바다에서도 잘 보인다.
등대로 이어진 계단을 따라 전망대에 오르면, 탁 트인 바다와 함께 유채꽃이 만발한 드넓은 초원지대 풍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1980년 3월 23일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무인도서]
추자도에 속한 무인도서인 보론섬은 특정도서로 지정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보름섬이라고도 하며 제주항과 완도항을 오가는 선박에서 보이는 섬이다.
보론섬은 섬천남성, 덩굴민백미꽃 등 희귀식물이 생육하고, 멸종위기야생동물인 매, 팔색조, 흑비둘기, 섬개개비가 서식하고 있어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등대로 오르는 길은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무인도서화 되어 길마저 잡풀로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지만 생태 보존은 우수한 편이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 산 154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망도 등대는 무인등대로 추자군도의 가장 동쪽 끝에 위치한 섬인 보론섬(큰보론섬)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등대이지만 무인화 되어 길도 사라지고 있다.
보론섬 남서쪽 바로 앞에는 노출암에 가까운 바위섬인 작은 보른섬이 자리하고 있으며, 추자도의 추자항에서 육지 방향으로 운행하는 선박과 제주항과 완도항 등을 오가는 선박이 이 등대의 남쪽과 동편을 지나서 운항을 하는 항로를 이용한다.
최초 점등일 : 1985년 6월 17일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대봉안곶 등대는 일몰이 아름다운 제주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인근에는 작은 항구인 태흥리 포구가 자리하고 있다.
올레길 제4코스에 해당하는 길이지만 해변과의 거리가 조금 있고 나무에 가려져 길이 아니면 해변으로 내려가 등대를 만나기 어려운 해변가에 있다.
일몰 후에는 길이 어두워서 안전을 위하여 밤에는 방문하기가 꺼려지는 위치이며 그나마 전경 초소가 있기에 등대를 만나기는 쉽지만 일몰 이후에는 해변으로 내려가기가 위험한 해변이다.
최초 점등일 : 1991년 12월 23일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태흥리 1167-3
[무인도서]
제주도의 부속섬인 달서도는 북촌리 포구 바로 앞에 있는 무인도서이지만 수싶이 깊지 않아 도선이 쉽지 않은 무인도서이다.
마을 주민과 낚시객의 이용도가 높은 섬이지만 간조에는 멀리서 등대와 섬만 보기만할뿐 접안하지 못하는 섬 중에 하나이다.
섬 자체는 사유지이며 단일한 섬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4개의 암초가 모여 하나의 섬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며 섬 위에는 낚시객과 해녀들을 위한 팔각정이 자리하고 있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산 90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제주 달서 등대는 달서도, 다려도, 달여도라고도 부를 정도로 여러 이름이 있지만 등대는 해수부 지정으로 보면 달서등대로 총칭하고 있다.
제주 동편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 등대로 수심이 깊지 않아서 간조에는 작은 어선도 접안이 힘들고 곳곳에 암초가 많아 등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등대를 중심으로 북쪽에는 보이지 않는 암초가 있고, 동쪽에는 간출암들이 초맥을 이루고 있어서 좌초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하는 지역이다.
최초 점등일 : 1986년 9월 15일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산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