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일본 구 카시노사키樫野埼灯台) 등대는 에든 버러에 있는 스티븐슨 사무소의 등대 표준 설계 사양에 따라 리처드 헨리 브런튼이 설계하고 아서 블런델의 건설로 일본에서 처음으로 불을 밝힌 석조 등대이다. 일본 최초의 회전 등대이며 초기 건물이 지금도 남아 있다.
에르투그룰 난파 되었던 현장으로도 알려진 가시노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외부 계단을 통해 등대를 오를 수 있다.
등대 주변에는 메이지 시대 초기에 등대 기술자였던 영국인이 심은 수선화가 오래된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사택은 전시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870년 7월 8일(명치 3년 6월 10일)
주소 :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이 군 구시모토초
[한국의 등대문화유산]
해남 구 목포구 등대는 다도해에서 목포로 들어오는
바닷길의 길목인 해남군 화원반도와 목포시 달리도
사이의 협수로를 통항하는 선박의 길잡이 역할을 한
시설물이다.
원형 평면에 등롱부가 등명기를 받칠 수 있도록 2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면 출입구 포치는 상부 캐노피가 둥근 아치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돔형 지붕 위에는 풍향계가 있고, 등롱 위에는 계단과 등롱 지붕의 손잡이가 원형 그대로 남아 있으며 앞 등대와 함께 되어있으며, 등록문화재 379호이다.
최초 점등일 : 1964년 12월 제 4 호
주소 : 전남 해남군 화원면 매봉길 582(산6-1)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일본 이마즈 항의 상징으로 사랑을 받고 있는 등롱 모양을 한 목조 등대이며 일본 최초의 목조 등대로 알려져 있으며 얼마전 항구 확장 공사로 8개월 정도의 이전과 수리 기간을 거쳐 현재의 위치에 이전되었다.
에도 시대 후기에 제작 되었으니 벌써 2백년이 넘은 등대이며 우리로 보면 도대불 형태로 석축을 쌓은 다음 위에 목조를 올린 형태로 제작되었다.
현재 사용 중인 등대로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이며, 지금도 항로 표지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으며, 야간에는 조명이 첨가 되어 아름다운 등대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810년
주소 : 일본 니시노 미야 이마즈 항
[해외 등대 속의 시간여행]
일본 이마즈 항의 상징으로 사랑을 받고 있는 등롱 모양을 한 목조 등대이며 일본 최초의 목조 등대로 알려져 있으며 얼마전 항구 확장 공사로 8개월 정도의 이전과 수리 기간을 거쳐 현재의 위치에 이전되었다.
에도 시대 후기에 제작 되었으니 벌써 2백년이 넘은 등대이며 우리로 보면 도대불 형태로 석축을 쌓은 다음 위에 목조를 올린 형태로 제작되었다.
현재 사용 중인 등대로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이며, 지금도 항로 표지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으며, 야간에는 조명이 첨가 되어 아름다운 등대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810년
주소 : 일본 니시노 미야 이마즈 항
[대산 지방 해양수산청]
죽도 방파제 등대 최근에 신설된 등대로써 남당항에서 뱃길로 10분이면 닿는 곳인지라 남당항 선착장과 멀리서도 관찰이 되는 등대이다.
많은 피서객과 섬앤산 인증지인 관계로 여행 삼아 입도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어 언제나 붐비는 곳이며 주변 풍경이 아름다워 등대 역시 풍경의 일부가 된다.
점등일은 짧지만 등대가 문화의 한축으로써 자리하는 곳 중에 하나이며 멀리서도 방파제 등대의 불빛을 보고 항해하는 어선들이 많아 든든한 항로 표지 중에 하나이다.
최초 점등일 : 2022년 03월 24일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죽도리 46-1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충청 수영성은 천수만 입구와 오천항이 모두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하여 탁트인 경관이 어우러지는 빼어난 아름다움을 보여 주는 장소인지라 조선 때 시인과 묵객들의 왕래가 많았던 장소이다.
성내의 영보정이 유명했고, 서문 밖 갈마진두는 충청 수영의 군율 집행터로 병인박해 때 천주교 신부 다섯 명이 순교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성주사지는 절의 중창자인 낭혜가 입적 한 뒤 그의 업적을 기린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국보)를 비롯하여, 오층석탑(보물), 중앙 삼층석탑(보물) 서 삼층석탑(보물), 동 삼층석탑(보물) 등 많은 석물이 남아 있다.
주소 : 충남 보령시 오천면 충청수영로(수영성)
주소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성주사지)
[대전·세종·충남북도 두루워킹투어]
남당항 입구에는 매우 큰 해양 분수 공원이 조성되어 화려한 조명과 함께 흘러나오는 음악에 맞추어 시원한 물줄기가 솟아 나는 분수 쇼를 즐길 수 있다.
피서철에는 많은 여행객이 즐길 수 있도록 한 여름밤의 낭만을 시원한 물줄기 속에서 시원한 밤을 보낼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았다.
바다에서 해수욕을 즐긴 후에 바닥 분수에서 뿜어져 나오는 시원한 물줄기를 맞아 가는 시간은 또 다른 추억을 만들어 갈 수 있으며 음악 분수는 6600㎡ 규모에 바닥 분수 및 안개 분수, 레이저 및 야간 경관 조명 등으로 구성돼 있다.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남당리
[기적의 바다 갈라짐]
홍성 월이도는 죽도 내에 있는 부속섬으로 간조시에는 육지와 연결되어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섬으로 작은 달섬과 함께 나란히 마주 보고 있는 섬이다.
어촌계에서 굴과 조개 캐기 체험 학습을 하고 있기에 주말에는 많은 여행객이 방문하고 있다. 소규모 해식애와 파식대를 이루고 있으며, 염풍화로 인하여 섬 둘레가 거대한 타포니 구조로 되어 있다.
월이도1은 어민들이 작은 달섬이라고도 부르는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섬이며 죽도와 간조시에 사주로 연결되는 소규모 간석 지형이다.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죽도리 46-2
[무인도서]
홍성 월이도는 죽도 내에 있는 부속섬으로 간조시에는 육지와 연결되어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섬으로 작은 달섬과 함께 나란히 마주 보고 있는 섬이다.
어촌계에서 굴과 조개 캐기 체험 학습을 하고 있기에 주말에는 많은 여행객이 방문하고 있다. 소규모 해식애와 파식대를 이루고 있으며, 염풍화로 인하여 섬 둘레가 거대한 타포니 구조로 되어 있다.
월이도1은 어민들이 작은 달섬이라고도 부르는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섬이며 죽도와 간조시에 사주로 연결되는 소규모 간석 지형이다.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죽도리 46-2
[기적의 바다 갈라짐]
홍성 월이도는 죽도 내에 있는 부속섬으로 간조시에는 육지와 연결되어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섬으로 작은 달섬과 함께 나란히 마주 보고 있는 섬이다.
어촌계에서 굴과 조개 캐기 체험 학습을 하고 있기에 주말에는 많은 여행객이 방문하고 있다. 소규모 해식애와 파식대를 이루고 있으며, 염풍화로 인하여 섬 둘레가 거대한 타포니 구조로 되어 있다.
식탁에 올라 오는 꼬시래기와 구멍갈파래가 주 서식에 해당하며 상부역의 타포니 구조에 총알 고동류가 군락을 이루고 서식하고 있다.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죽도리 46-1
[무인도서]
홍성 월이도는 죽도 내에 있는 부속섬으로 간조시에는 육지와 연결되어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섬으로 작은 달섬과 함께 나란히 마주 보고 있는 섬이다.
어촌계에서 굴과 조개 캐기 체험 학습을 하고 있기에 주말에는 많은 여행객이 방문하고 있다. 소규모 해식애와 파식대를 이루고 있으며, 염풍화로 인하여 섬 둘레가 거대한 타포니 구조로 되어 있다.
식탁에 올라 오는 꼬시래기와 구명갈파래가 주 서식에 해당하며 상부역의 타포니 구조에 총알 고동류가 군락을 이루고 서식하고 있다.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죽도리 46-1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내장산 국립공원은 말하지 않아도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최고의 단풍으로 알려진 곳이며 이곳에도 억새와 겨울철 빛축제가 있으며 밤이 이름다운 정읍 만들기 일환으로 아양나무 숲을 화려한 조명을 더해 밤의 도시로 꾸며 놓았다.
단풍이 아름다워 옛날부터 조선 8경의 하나로 꼽혔으며 백제 때 영은 조사가 세운 내장사와 임진왜란 때 승병들이 쌓은 내장산성이 있다.
등산로 입구에는 시립 미술관 옆으로 조성된 아름다운 자연 환경이 펼쳐진 정읍사 공원이 고대 가요의 스토리로 꾸며져 단풍 나무와 조화를 이룬다. 단지 아쉬운 점은 스토리가 없고 조명 색의 조화와 시선을 끌 수 있는 조형물의 부재이다.
주소 : 전북 정읍시 내장산로 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