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우리나라 최북단에 위치한 대진 등대는 설치 년도가 역사 시기로는 역등에 해당되지 않으나 민통선 가까운 최북단의 의미로 역등에 포함시켰다.
대진 등대 위로는 바로 민통선에 해당하며 동해안 끝자락에 위치하여 동해의 바다를 수호하고 있으며 몇해전에 무인화 되어 지금은 비어진 상태이다.
등탑 위 전망대에 올라서면 동해바다의 아름다운 모습을 조망할 수 있고 시야가 좋은 날에는 멀리 해금강은 물론이고 북한지역까지 바라볼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1973년 1월 20일
주소 :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한나루로4길 16-38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고성의 아야진 등대는 아야진항으로 들어올 때 1차로 보게 되는 항해목표물로 30미터 높이(등탑 15미터)의 등대이다.
일반적인 등대처럼 외부나 산 위에 있는 위치가 아니고 군부대에 있다 보니 일반인은 쉽게 접근하기 어렵기에 동해수산청 관계자의 도움을 받았다.
아쉽게도 군사 지역 내부에 자리하고 있어서 여러 관계 기관을 거쳐 최종 군부대의 허가를 득하여 출입한 후 짧은 시간에 만나고 온 역사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58년 12월 12일
주소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아야진리 173-2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거진 등대는 거진항이 내려다 보이는 정상에 위치하고 있어 유인 등대였지만 현재는 무인 등대로 전환되어 체육공원과 해맞이 공원으로 새롭게 거듭났다.
등대 주변으로 스페인 등대 이름의 FARO 조형물과 등대 담장에 그려진 아름다운 등대 모습이 인상적인 고성의 역사 등대이다.
금강송 소나무 숲이 길게 이어진 계단으로 된 산책로를 따라 잠시 올라 가다 보면 만나게 되는 곳이지만 현재는 문이 잠겨 있어 멀리서 볼 수 밖에 없다.
최초 점등일 : 1958년 2월 27일
주소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거탄진로 209번길 19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일반적인 역사 등대의 위치는 섬이나 정상에 위치하기 마련이지만 대진항은 60년대에 설치된 등대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방파제에서 역할을 하고 있다.
5단의 거푸집 흔적이 그대로 나타나 있으며 둥근 타원의 창문이 3개로 이루어져 60년대에 설치된 등대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이런 등대의 모습은 주로 남해에 설치된 60년대의 등대 모습이기에 등대에 가진 분들이라면 쉽게 오래된 등대임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1965년 6월 19일
주소 :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 대진항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속초시의 동쪽 청호동 속초해수욕장 앞에 위치한 무인도인 조도는 새가 많이 앉아 있어 조도라 부른다고 전해진다.
고지도에는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데, 양양읍지 도서조에 무로도(無路島)는 부 북쪽 30리 속초진에 있는데 대나무가 산출된다는 기록이 있다.
풀과 소나무가 무성해 초도라 불리기도 했고 지금은 정자가 헐리고 그 자리에 1984년에 세워진 무인등대가 있고 속초 해수욕장에서 바라보이는 섬이다.
최초 점등일 : 1984년 6월 22일
주소 : 강원도 속초시 해오름로 190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속초시 설악항에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은 스키점프대 모형의 등대가 속초 해맞이공원 설악항에 설치되어 있다.
벽면에는 동계올림픽 6개 종목의 경기모습을 그린 타일벽화를 붙여 올림픽 현장의 분위기를 살렸다.
해수부 지정 이달의 등대로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며 시즌 3에 빠진 것도 많이 아쉬울 정도의 등대이다.
주소 : 강원도 속초시 동해대로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묵호등대는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통합하여 탄생한 도시를 지키는 등대로써 묵호진이라는 항구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묵호등대 등탑에는 전망대가 갖춰져 있으나 현재는 코로나로 미개방되고 있고, 야외광장은 야외전망대와 천사의 날개 포토존이 꾸며져 있으며 모닥불 형상물 등 다양한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장에는 1968년 정소영 감독의 영화 미워도 다시 한 번의 촬영지임을 기념하기 위해 영화의 고향 기념비가 세워졌다.
최초 점등일 : 1963년 6월 8일
주소 : 강원도 동해시 해맞이길 289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일반적으로 국가 어항을 가보면 좌측과 우측으로 어항 입구에 등대가 마주보고 서 있을 보게 되는데 주로 여행객들이 가 보게 되는 곳이 빨간 등대이다.
아마도 많은 이들이 눈에 띄는 색을 바다에서는 선호한다고 보면 맞을 성 싶은데 그래서 그런지 사람이 몰리지 않는 백색 등대는 더욱 외롭게 보인다.
붉음은 우선 눈에 띄고 걸어도 방향이 자연스럽게 붉음으로 흘러가는데 아마도 그 붉음에 설레는 맛까지 더해져 빨간 등대는 언제 보아도 좋아 보인다.
주소 : 경북 영덕군 축산면 축산항길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몇해 전 해양수산부는 이달의 등대로 강원 양양군 강현면에 위치한 물치항 등대를 10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누에섬을 27일 각각 선정했을 정도로 예쁜 등대가 물치항의 두 개의 등대이다.
물치항 등대는 송이버섯 모양을 닮아 송이버섯 등대로 유명하며, 각각 방사제(흰색등대)와 방파제(빨간색등대)에 있다.
매일 밤 5초에 한 번씩 불빛을 반짝이며 만선의 꿈을 안고 물치항을 드나드는 어선들의 안전을 지키고 있는 물치항의 등대가 그립기만 하다.
주소 : 강원 양양군 강현면 동해대로 3584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길 43에 있는 작은 항구이며 안인진항이라고도 한다. 항구와 안인 해수욕장이 바로 인접해 있으며 2개의 방파제가 항구를 에워싸고 있다.
항구 북쪽으로 군선강이 있고 강물과 바닷물이 합류하는 지점에는 다양한 어종의 물고기가 잡혀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많다.
안인항은 가자미로 유명한 곳인데 항구 주변으로 가자미 활어회를 판매하는 회센터가 들어서있다. 7월 말에서 8월 중순까지 이 일대로 가자미 축제가 열린다.
주소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길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