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울산 범월갑 등대는 한가운데 펼쳐진 2km 남짓의 방파제이며 영해 표지를 안고있는 장소이기도 하지만 너울이 심하여 출입제한이 있는 곳이다.
파도와 너울을 막는 이안제 형태로 동떨어진 방파제이며 일명 피사의등대로 알려진 예술작품처럼 아름다움까지 뽐내는 등대이다.
울산항의 명물이 된 이곳은 현대건설이 2009년 5월에 완공한 울산신항 남방파제와 범월갑 방파제인데 지금은 일반인 출입제한이 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9년 5월
주소 : 울산시 울주군 온산읍 범월갑 방파제
[울산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동양에서 가장 큰 등대 1961년 이후 울산에 공업단지가 조성되면서부터 지금의 자리로 이설되었으며 선박의 왕래가 잦아지게 되면서 개설되었다.
이 등대는 역사 등대는 아니지만 동양 최대크기와 영해표지가 있는 지역의 등대로써 그 의미를 부여하여 등대 문화유산으로 선정해 보았다.
1994년 12월 동양최대 규모의 등대가 건립되었으며 이곳에서 직선 방향으로 범월갑의 영해표지와 함께 우리나라 내륙의 영해 표지가 세워졌다.
최초 점등일 : 1983년 1월 28일
주소 : 울산시 동구 화암등대길 50 항로표지관리소
[울산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울산 정자항에 가면 누구나 꿈을 꾸게 되는 등대가 된 귀신고래가 있는데 이곳에 오면 고래가 꾸는 꿈을 가슴에 안고 돌아올 수 있을 법하다.
바비킴의 고래의꿈을 들으며 대양을 누비며 고래가 꾸는 꿈을 오감을 동원하여 온몸으로 받아들이고 희망을 가지며 꿈을 꿀 수 있다.
주변에 역사 등대인 송대말 등대 외에는 많은 볼거리가 있어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고 꿈을 꾸는 방파제를 걸어 보도록 하자.
최초 점등일 : 1991년 08월 07일
주소 : 울산시 북구 정자동 638
[울산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울산 울주군 대송항에는 사랑의 멜로디를 들려주며 희미해져 가는 사랑도 부활 시켜주는 메신저 역할의 등대가 있다.
항상 간절곶에 가려져그렇게 빛을 보지 못했지만 이곳을 가게 되면 끊어질 인연도 이어줄 듯 한 사랑의 등대가 우뚝 자리를 지키고 있다.
모양은 하트 모양으로 되어 있지만 항로표지법을 준수한 실제 등대이며, 하트 모양 센서 위에 사람이 서면 프러포즈 음악과 함께 조명이 비친다.
주소 :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대송리
[울산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울산 간절곶 등대는 동해안에서 맨 먼저 떠오르는 해를 볼 수 있는 곳이며, 영일만의 호미곶보다 1분 빠르게, 강릉의 정동진보다 5분 빨리 해돋이가 시작된다.
간절곶 등대로 들어가는 입구는 얼마전 개설된 출런다리와 입구 주변의 아름다운 공원은 걷는 것만으로 힐링이 되는 걷기의 명소이다.
간절곶 등대는 바다를 바라보고 우뚝 서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가치가 높은 등대이며, 등대 앞에 조성된 여러 조형물은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주소 : 울산 울주군 서생면 간절곶1길 39-2
[울산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겨울 바다는 많은 이들이 찾는 여름보다도 철지난 바다라는 이름으로 찾는 이들에게 무언가를 주나 보다. 유독 겨울에 바다를 찾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으니 말이다.
슬도 등대가 있는 쪽으로 가다 보면 끝자락에서 다시 만나게 되는 예쁜 조형물의 등대를 보게 되는데 타일로 벽화를 꾸며 색다른 등대임을 알게 된다.
고래 형상의 벽화에서 어부들의 고기잡이가 그려진 등대는 바다를 향 한 염원이라는 표현이라고 한다.
주소 : 울산시 동구 방어동
[울산지방해양수산청 관리등대]
동해안은 속초 죽도 등대를 제외하고는 거의가 내륙에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거기에 모양과 조형물이 있어 더욱 많은 이들을 부르고 있다.
얼마전 도시재생 사업으로 방파제와 주변 마을이 정리가 되고 예술 작품이 들어서서 여행객에게 볼거리를 많이 주고 있다.
이 등대의 안은 볼 수 없고 3층 정도의 높이여서 올려다 보면 하늘과 대비해 아름답게 보이며 등대에서 바라보는 방어진 항구는 최고의 사진 명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최초 점등일 : 1958년 5월 1일
주소 : 울산시 동구 방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