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구/선착장]
노화도 이목항은 섬사항8호와 또 한척의 소형 카페리 2척이 운용중인데 이마저 운행을 안하게 되면 인근 작은 섬 주민들에게 불편을 주게된다.
몇해전 정규 여객선이 지원금 문제로 운행을 중단한 뒤 주민들의 불편을 초래했던 일을 상기시키면 얼마나 섬사랑 카페리가 큰 일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작은 규모이다 보니 매표소가 따로 있지 많고 주로 선박안에서 매표를 카페리직원이 현장 발권을 해주고 있으며, 인근 섬을 운행한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이포리
[항구/선착장]
노화도 동천항은 노화도 산양진항과 해남 땅끝을 통해 와래가 되던 항구였고, 노화도와 보길도가 다리로 이어져 많은 이들의 왕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70년대까지만 해도 이목항을 통해 목포와 왕래가 이루어졌지만 지금은 이목보다도 동천항이 주요 선착장이 되어 보길도의 관문이 되고 있다.
인근 당사도와 소안도를 노화도에서 갈 수가 있어 여행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동천항은 작은 항구이긴 하지만 인근 섬과 섬을 연결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노화리
[항구/선착장]
한국 서남 해안에서 전형적으로 보이는 해안산맥이 침강해 생성된 섬으로 주봉인 상황봉 지금의 완도타워가 있는 산을 중심으로 중앙을 차지하고 있다.
섬 중심부를 산들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해안가를 따라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온은 대체로 온화한데 1차적인 이유는 위도가 낮기 때문이다.
또한 지리적 특성상 해양성 기후를 보여서 연중 온화한 기후를 보이며, 남해안을 타고 흐르는 난류의 영향으로 해수온도도 따뜻한 편이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대로 341
[항구/선착장]
완도항의 지난 모습은 어떨까? 지금은 많이 변화된 모습이지만 과거에는 따뜻함이 묻어나는 항구였지만 지금은 볼거리가 풍성한 항구로 탈바꿈하였다.
완도는 우리나라에서 8번째로 넓은 섬이었지만 지금은 사통팔달 연륙교로 이어져 육지화가 된 섬이 되었고, 해안선 길이는 약 105.9㎞이다.
연륙교를 통해 해남군과 사이에 있는 달도를 징검다리 삼아 연결되어 섬의 중심지인 완도항까지의 길이는 20Km나 더 들어가야 한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대로 341
[항구/선착장]
77번 해안도로를 따라 가다 보면 당인리 가기 전에 작은 선착장이 보이는데 이곳이 신정 방파제로 화흥포항을 곁에 두고 있다.
완도가 과거에는 섬으로서 존재할 때 섬의 크기를 가름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방파제가 건설되었지만 지금은 어민의 감소로 이곳 역시 쇠락의 길을 걸었다.
주로 양식업을 하는 어민들의 어선을 주선하고, 김양식과 전복 양식을 하고 있으며, 가을에는 감성돔 낚시터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완도읍 대신리
[항구/선착장]
석장리는 화흥포항을 가기전에 망석항과 함께 나란히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방파제인데 해안도로에 있는 방파제로는 오래된 곳이다.
인근 망석항은 어선이 드나드는 경우가 많지만 석장리는 낚시군 외에는 여행객은 쉽게 찾아 보기 힘든 방파제 중에 하나이다.
석장리를 돌아보고 망석항 방향으로 걷다 보면 완도도 큰 섬임을 잠시 잊고 한적한 어촌항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완도읍 망석리
[항구/선착장]
과거에는 당인리도 도로 사정이 좋지 않았을 때 뭍으로 나가는 사람이 별로 없었지만 교통의 발달로 당인리도 이제는 한적한 곳으로 변했다.
물양장은 방파제에 남아 있어 양식과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어부들이 주로 활동하는 선착장이며 작은 어선의 주선의 역할을 하는 방파제이다.
주변에 갯바위는 선착장이 만들어 지면서 육지로 변하여 썰물에는 모두 돌아 볼 수 있는 갯바위로 되어 돌아보기에 용이하게 되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군외면 당인리
[항구/선착장]
보길도와 노화도, 소안도를 가기 위해서는 화흥포항을 찾아야 하는 것이 기본이 되는데 요즘은 노화도와 보길도 대교로 이어져 노화도에서 입도한다.
새벽녘 화흥포항을 찾는 이들은 대부분 당사도 등대를 가기 위한 여행객이지만 나름 독립의 섬 소안도를 찾는 이들도 눈에 띈다.
왕복에 동계와 하계에 따라 변동은 있지만 하루 11차례 정도 왕복 운항하기에 입도하기가 용이하긴 하지만 당사도는 하루 2회 왕복이라 입도가 쉽지 않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완도읍 화흥포길 242
[항구/선착장]
독립의 섬 소안도를 가기 위해서는 화흥포항을 가게 되는데 50여분 가다 보면 맨처음 노화도 동천항에 이르게 되는데 주로 필자는 이곳에서 내려 차를 두고 바로 당사도로 이동하지만 대개는 소안도에서 당사도 철부선으로 갈아타게 된다.
어쩌면 배도 환승해야 하기에 그만큼 당사도로 들어가는 길이 험란하고 멀다라는 뜻이기도 하다.
소안도행 배를 타자마자 당사도행 선장에게 (010-3604-1739) 당사로 들어간다는 연락을 주어야 소안도에서 배를 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소안면
[항구/선착장]
8월말에 제주를 가면 가파도를 들려 보리밭에 피어난 주황색 황화 코스모스가 바다 바람에 살랑거리며 지천에 피어난 황색 물결을 보게 된다.
마라도와 가파도를 가기 위해서는 운진항에서 도선을 해야 하는데 언제나 여행객으로 붐비는 항이다 보니 대기하기가 일쑤지만 그래도 기다리는 그들의 얼굴에는 언제나 미소가 가득이다.
가을에 운진항을 가게 되면 한 손에 시집 한 권을 들고 가보길 권하고 싶을 정도로 이동하는 뱃길이 아름답기 그지없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항구/선착장]
가파도는 한국에 있는 섬 중에서 가장 낮게 자리한 섬, 보리밭 사잇길로 30분 정도 평지를 걸으면 하동포구에 닿을 정도로 작은 섬이다.
하동포구로 오는 길은 5월부터 6월가지 보리의 변화를 볼 수 있으니 매일 매일이 길이 보여지는 것이 달라지는 곳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집집마다 쌓아진 제주의 전통적인 돌담이 오랜 세월 비바람을 이겨낸 흔적들이 역력하게 보이며, 가파도의 특징을 벽화로 그려 정겨움을 준다.
하동포구는 상동과는 달리 주로 작은 어선이 드나들며 해경 경비장과 응급 환자를 이송하는 배들이 정박을 하고 있으며 어선들의 피난처 역할을 한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항구/선착장]
제주 가파도에는 두개의 포구가 있는데 운진항에서 여객선이 들어오는 포구가 바로 상동포구인데 이곳은 접안이 용이하여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동 포구 위쪽 언덕에는 걸터앉기만 해도 날씨가 나빠진다는 보름바위가 있는데 가파도 사람들이 날씨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말해주고 있다.
보름바위를 신주 모시듯이 조심히 모셔야 바다에 나가 일할 수 있는 좋은 날이 이어진다니 바다에 대한 그들의 경외심을 헤아려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주소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